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9

I.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11

2. 연구의 목적 13

3. 연구의 제한점 13

4. 용어의 정의 14

1) SSS(Small Scale Science) 14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15

1. 이론적 배경 15

1) SSS(Small Scale Science) 15

2. 선행연구 고찰 17

1) 산과 염기의 반응 17

2) 전기분해실험 18

III. 연구 설계 및 절차 19

1. 연구 대상 19

2. 연구기간 및 절차 20

3. 실험처지 22

가. SSS 실험 보고서 내용 22

4. 검사 도구 28

1) 인지 발달 수준 측정 도구(GALT) 28

2) 사전 과학성취도 검사지 29

3) 사후 과학성취도 검사지 29

4) 1개월 후 과학성취도 검사지 29

5) 과학에 관련된 태도 검사지 31

6) 과학적 태도 검사지 31

5. 자료 분석 및 처리 방법 32

IV. 연구 결과의 분석 및 해석 33

1. 과학성취도 33

1) 사전 사후 집단 간 과학성취도 검사 결과 비교 33

2. 과학성취도 파지효과 검사 33

1) 집단간 처치 직후와 1개월 후 과학성취도 비교 33

2) 인지발달 수준에 따른 집단간 처치 직후와 1개월 후 과학성취도 비교 34

3. 과학에 관련된 태도 검사 35

가. 사전, 사후 과학에 관련된 태도 35

나. 하위요소별 과학에 관련된 태도 비교 36

4. 과학적 태도 검사 42

가. 사전, 사후 과학적 태도 비교 42

나. 하위요소별 과학적 태도 비교 44

다. 실험 후 학생들의 느낀점 비교 53

V. 결론 및 제언 58

1. 결론 58

1) 과학 성취도 검사 결과 분석 58

2) 과학성취도 파지효과 검사 결과 분석 58

3) 과학에 관련된 태도 검사 결과 분석 58

4) 과학적 태도 검사 결과 분석 59

2. 제언 60

참고문헌 62

부록 67

전통적 방법에 의한 실험 보고서 68

학업 성취도 평가A 84

학업 성취도 평가B 93

학업 성취도 평가C 101

과학에 관련된 태도 검사지 110

과학적 태도 측정 연구 113

논리적 사고력 검사지 115

Abstract 132

표목차

[표 III-1] 연구 대상 19

[표 III-2] 비교집단과 실험집단의 인지발달 수준별 사례 수 20

[표 III-3] 과학에 관련된 태도 하위 요소별 문항 30

[표 III-4] 과학적 태도 검사지의 하위 요소별 문항 31

[표 IV-1] 사전·사후 집단 간 과학성취도 검사 결과 33

[표 IV-2] 집단 간 학습내용 지속정도 비교 34

[표 IV-3] 각 집단 간 인지발달 수준에 따른 학습내용 지속 정도 비교 34

[표 IV-4] 집단 간 과학에 관련된 태도 검사 결과 35

[표 IV-5] 각 집단 간 인지발달 수준에 따른 과학에 관련된 태도 분석 결... 36

[표 IV-6] 각 집단 내 과학에 관련된 태도 하위요소별 분석 결과 37

[표 IV-7] 실험집단의 인지발달 수준에 따른 과학에 관련된 태도 하위요... 38

[표 IV-8] 집단 간 인지발달 수준에 따른 과학에 관련된 태도 하위요소... 39

[표 IV-9] 집단 간 인지발달 수준에 따른 과학에 대한 태도 분석 결과 40

[표 IV-10] 집단 간 인지발달 수준에 따른 과학에 관련된 태도 하위요소... 41

[표 IV-11] 집단 간 인지발달 수준에 따른 과학에 관련된 태도 하위요소... 41

[표 IV-12] 집단 간 과학적 태도 검사 결과 42

[표 IV-13] 집단 간 인지발달 수준에 따른 과학적 태도 분석 결과 43

[표 IV-14] 각 집단 내 인지발달 수준에 따른 과학적 태도 분석 결과 44

[표 IV-15] 각 집단 내 과학적 태도 하위요소별 분석 결과 45

[표 IV-16] 실험집단의 인지발달 수준에 따른 과학적 태도 하위요소별... 46

[표 IV-17] 집단 간 인지발달 수준에 따른 과학적 태도 하위요소 중 협동... 47

[표 IV-18] 집단 간 인지발달 수준에 따른 과학적 태도 하위요소 중 호... 48

[표 IV-19] 집단 간 인지발달 수준에 따른 과학적 태도 하위요소 중 개방... 49

[표 IV-20] 집단 간 인지발달 수준에 따른 과학적 태도 하위요소 중 비판... 50

[표 IV-21] 집단 간 인지발달 수준에 따른 과학적 태도 하위요소 중 창의... 50

[표 IV-22] 집단 간 인지발달 수준에 따른 과학적 태도 하위요소 중 자진... 51

[표 IV-23] 집단 간 인지발달 수준에 따른 과학적 태도 하위요소 중 끈기... 52

그림목차

[그림 III-1] 연구의 절차 20

[그림 III-2] 작은 폴리스티렌컵과 페트리 접시를 이용한 크로마토그래피 22

[그림 III-3] 9V전지와 연필심을 이용한 도체와 부도체의 구별 23

[그림 III-4] 24-well을 이용한 밀도차이를 이용한 분리 24

[그림 III-5] ss피펫을 이용한 이온 확인 25

[그림 III-6] 파일용 비닐위의 이온 확인 25

[그림 III-7] 구름 생성 실험(그림없음) 26

[그림 III-8] 뚜껑이 달린 투명 플라스틱 컵을 이용한 물이 상승하는... 27

[그림 III-9] 유리관을 이용한 기체 확산 실험 28

초록보기

 이 연구는 SSS를 활용한 과학 실험 수업이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전통적 실험수업과 비교분석하여 중학교 학생들의 과학성취도와 과학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몇 가지 SSS 실험들이 중학교 9종 과학 교과서에 맞게 고안 되었다. 포항시에 소재한 중학교 3학년에서 두 학급이 선택되었고, 두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26명으로 구성된 실험집단은 SSS를 활용한 과학 실험 수업에 참가하였고, 25명으로 이루어진 비교집단은 전통적 실험 수업에 참여 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SSS를 활용한 과학 실험 수업은 학생들의 과학성취도에서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갖지는 않았다(p>.05). 이는 SSS방법을 이용한 실험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의 인지도에 큰 변화를 주고 있지는 않음을 알 수 있다. 과학 성취도 파지효과 검사에서는 집단 간 실험 처치 직후와 1개월 후 과학성취도 비교 검사를 하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방법의 차이로 인하여 학생들의 장기 기억에 특별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는 않았다.

학생들의 과학태도 향상에는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고 있었다. 과학에 관련된 태도 면에서 두 집단간에는 유의미한 차이는 없지만, 실험집단 내에서 전, 후에 과학에 관련된 태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SSS를 활용한 학급은 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 형성에 바람직한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과학적태도 검사에서도 SSS를 활용한 과학 실험 수업의 실시가 비교집단과의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실험 집단 내에서도 실험 후 실험집단 학생들의 과학적태도에 유의미한 변화를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SSS를 활용한 과학 실험 수업은 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와 과학적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SSS를 활용한 과학 실험 수업은 학습자의 인지수준을 고려하여 여러 가지로 적용될 때 학습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앞으로 학교 현장에 바로 투입할 수 있을 만큼 적합하고 다양한, SSS를 활용한 과학 실험 수업 자료를 개발되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