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Abstract 10
제1장 서론 15
1. 연구의 필요성 15
2. 연구의 목적 18
제2장 이론적 배경 19
1. 신축성 소재의 일반적 고찰 19
1) 신축성 소재의 개요 19
2) 신축성 소재의 특징 20
2. 니트의 일반적 고찰 21
1) 편성기계에 따른 분류 21
2) 니트 제품생산방식에 따른 분류 22
3) 니트와 직물의 특성 비교 25
3. 환편니트 의류의 특성 27
1) 환편니트 의류의 특성 27
2) 최근 환편니트 의류제품의 경향 28
3) 환편니트 의류산업 현황 29
4. 신축성 소재의 의복설계 31
1) 패턴과 여유량에 관한 선행연구 31
2) 니트 패턴에 관한 선행연구 37
5. 원피스 패턴연구 42
6. 3차원 가상착의 시스템 44
1) 가상착의 시스템의 개요 44
2) i-Designer 원리 및 특징 45
3) 가상착의 평가에 관한 선행연구 48
제3장 연구방법 및 절차 49
1. 의류업체의 환편니트 제품 생산현황 조사 51
1) 환편니트 소재 사용현황 조사 51
2) 환편니트 패턴설계방법 현황 조사 51
3) 자료분석 52
2. 환편니트 실험소재 선정과 원단 물성측정 53
1) 실험복 소재 선정 53
2) 실험복 소재의 물성 53
3) 치수변화율 54
4) 가상봉제를 위한 소재의 물성 측정 55
5) 신장률 측정방법 및 조건 56
3. 환편니트 원피스 실험복제작 57
1) 실험복 원피스 디자인 선정 및 봉제 57
2) 피험자 선정 58
3) 실험복 원피스 패턴설계 60
4. 환편니트 원피스 연구패턴의 적합성 평가 61
1) 실험복 원피스 치수변화 분석 61
2) 실험복 외관 및 착용만족도 평가 65
5. 자료분석 67
제4장 결과 및 고찰 68
1. 의류업체의 환편니트 제품 생산현황 조사 결과 68
1) 환편니트 소재 사용현황 조사 68
2) 환편니트 패턴설계방법 현황 조사 72
2. 실험복에 사용된 환편니트 소재특성 고찰 83
1) 치수변화율 측정결과 83
2) 신장률 측정 결과 84
3. 업체방식에 따른 환편니트 실험복의 기준패턴설계 86
1) Size korea 인체치수와 조사결과를 통한 누드스펙 설정 86
2) 업체방식에 따른 환편니트 상의 기준패턴 추출 87
3) 업체방식에 따른 환편니트 원피스 실험복 기준패턴 추출 92
4. 환편니트 원피스 여유량과 워싱 후 수축률 산출 96
1) 환편니트 원피스 1차 실험복 제작 96
2) 1차 실험복에 대한 봉제와 워싱 후 치수변화 분석결과 97
3) 1차 실험복에 대한 외관 및 착용만족도 평가결과 99
4) 기본 여유량을 적용한 1차 원피스 연구패턴 추출 104
5. 환편니트 원피스 연구패턴의 적합성 평가 113
1) 수축률을 적용한 2차 원피스 연구패턴 추출 113
2) 1차와 2차 실험에 의한 워싱 후 치수변화 비교 118
3) 외관 및 착용만족도 평가 120
4) 가상착의 시스템에 의한 패턴의 객관적 평가 125
6. 환편니트 신축특성에 따른 원피스 패턴 132
제5장 결론 136
1. 환편니트 실험소재 물성측정 결과 136
2. 환편니트 패턴설계방법 현황조사 결과 137
3. 기본 여유량이 적용된 연구패턴 산출 결과 137
4. 워싱 후 수축률 산출 결과 137
5. 환편니트 기본 여유량과 워싱 후 수축률 적용에 대한 적합성 검증 138
6. 실제착의와 가상착의 평가 비교분석 결과 138
7. 여유량과 수축률이 적용된 연구패턴 도출 결과 139
참고문헌 141
국문초록 146
부록 149
〈부록 I〉 환편니트 소재사용현황 조사 설문지 150
〈부록 II〉 환편니트 패턴설계방법 조사 설문지 155
〈부록 III〉 실험복 외관평가지 160
〈부록 IV〉 실험복 착용만족도 평가지 161
〈부록 V〉 조사대상업체 환편니트 상의패턴 비교착의 평가결과 162
〈부록 VI-1〉 실험소재별 1차 연구패턴 : 플레인조직(OP1_S) 163
〈부록 VI-2〉 실험소재별 1차 연구패턴 : 폰테디롬조직(OP1_D) 164
〈부록 VI-3〉 실험소재별 1차 연구패턴 : 2×2리브조직(OP1_R) 165
〈부록 VI-4〉 실험소재별 1차 연구패턴 : 스판함유된 플레인조직(OP1_SS) 166
〈부록 VI-5〉 실험소재별 1차 연구패턴 : 스판함유된 폰테디롬조직(OP1_DS) 167
〈부록 VI-6〉 실험소재별 1차 연구패턴 : 스판함유된 2×2리브조직(OP1_RS) 168
〈부록 VII-1〉 실험소재별 2차 연구패턴 : 플레인조직(OP2_S) 169
〈부록 VII-2〉 실험소재별 2차 연구패턴 : 폰테디롬조직(OP2_D) 170
〈부록 VII-3〉 실험소재별 2차 연구패턴 : 2×2리브조직(OP2_R) 171
〈부록 VII-4〉 실험소재별 2차 연구패턴 : 스판함유된 플레인조직(OP2_SS) 172
〈부록 VII-5〉 실험소재별 2차 연구패턴 : 스판함유된 폰테디롬조직(OP2_DS) 173
〈부록 VII-6〉 실험소재별 2차 연구패턴 : 스판함유된 2×2리브조직(OP2_RS) 174
〈부록 VIII〉 1차 실험결과에 의한 봉제와 워싱 후 치수변화(OP) 175
〈부록 IX〉 2차 실험결과에 의한 봉제와 워싱 후 치수변화(OP2) 176
〈부록 X〉 실험소재별 기본 여유량과 워싱 후 수축률(OP1과 OP2) 177
〈표 1〉 의류소재의 신장률에 따른 피트성과 용도 20
〈표 2〉 편기의 종류와 특성 22
〈표 3〉 니트 제품생산방식별 생산 공정도 22
〈표 4〉 니트와 직물의 특성비교 26
〈표 5〉 환편니트 의류의 아이템 29
〈표 6〉 환편니트(60수 싱글) 상의용 fit 분류에 따른 여유량 32
〈표 7〉 실루엣에 따른 직물상의용 패턴의 허리둘레 여유량 32
〈표 8〉 니트 원단의 신장률에 따른 분류 34
〈표 9〉 3차원 가상착의 시스템 및 프로그램의 종류 45
〈표 10〉 조사대상 브랜드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52
〈표 11〉 실험복 소재의 물성 54
〈표 12〉 KES-FB System의 구성과 측정물성 55
〈표 13〉 실험대상과 20대 성인여성 치수비교 59
〈표 14〉 봉제와 워싱에 의한 치수변화 측정 63
〈표 15〉 조사대상 브랜드의 생산현황 69
〈표 16〉 조사대상 브랜드의 환편니트 생산비율 70
〈표 17〉 조사대상 브랜드별 기준치수 사용현황 73
〈표 18〉 조사대상 브랜드 기본 신체사이즈 비교 74
〈표 19〉 컨펌 시 스펙과의 오차 허용치수 비교 75
〈표 20〉 환편니트 소재의 신축성 측정 및 문제점 현황 77
〈표 21〉 환편니트 제품 패턴설계현황 조사 결과 78
〈표 22〉 조사대상 브랜드의 직물과 환편니트에 대한 기본원형치수 79
〈표 23〉 직물과 환편니트 패턴의 여유량 비교 82
〈표 24〉 실험복 소재의 치수변화율 비교 84
〈표 25〉 실험용 환편니트 샘플의 신장특성 계측치 85
〈표 26〉 20대 성인여성의 상의제작을 위한 누드스펙 추출 87
〈표 27〉 둘레항목 치수 및 제도법 89
〈표 28〉 너비항목 치수 및 제도법 89
〈표 29〉 길이항목 치수 및 제도법 90
〈표 30〉 어깨부위 치수 및 제도법 91
〈표 31〉 목부위 치수 및 제도법 91
〈표 32〉 소매부위 치수 및 제도법 92
〈표 33〉 환편니트 원피스 기준패턴 제도법 및 여유량 94
〈표 34〉 1차 실험복에 대한 외관평가 결과 101
〈표 35〉 1차 실험복에 대한 착용만족도 결과 103
〈표 36〉 1차 원피스 연구패턴에 적용된 여유량 105
〈표 37〉 1차 원피스 연구패턴 제도법 및 여유량 112
〈표 38〉 2차 원피스 연구패턴에 적용된 수축률 114
〈표 39〉 2차 실험복에 대한 외관평가 결과 122
〈표 40〉 2차 실험복에 대한 착용만족도 결과 124
〈표 41〉 원피스 연구패턴에 적용된 기본 여유량과 워싱 후 수축률 133
〈그림 1〉 재단봉제용 편성물. 23
〈그림 2〉 가먼트 랭스 편성물. 24
〈그림 3〉 성형제품용 편성물. 24
〈그림 4〉 무봉제 완성형 편성물. 25
〈그림 5〉 국내 니트의류제품 시장 규모 : 캐주얼 시장. 30
〈그림 6〉 제품품목별 산업경쟁력 수준 : 환편 봉제니트의류. 30
〈그림 7〉 i-Designer의 가상착의 시스템 개요. 46
〈그림 8〉 i-Designer의 시뮬레이션 순서. 46
〈그림 9〉 여유량, 의복압, 신축률 및 단면형태. 47
〈그림 10〉 연구 구성도. 50
〈그림 11〉 실험복 소재의 물성. 54
〈그림 12〉 실험복 원피스 디자인. 57
〈그림 13〉 외관평가를 위한 실제착의와 가상착의 평가용 바디. 60
〈그림 14〉 가상착의에 의한 여유량, 신축률, 수평과 수직단면의 공극량. 64
〈그림 15〉 착용만족도 평가를 위한 동작자세. 66
〈그림 16〉 조사대상 브랜드 기본 신체사이즈 비교. 74
〈그림 17〉 컨펌시 스펙과의 오차 허용치수 비교. 75
〈그림 18〉 조사대상 업체의 직물과 환편니트 상의 기본패턴비교. 80
〈그림 19〉 업체별 환편니트 상의 기본패턴 중합도. 80
〈그림 20〉 조사대상 브랜드별 직물과 환편니트 패턴치수 비교. 81
〈그림 21〉 브랜드별 직물과 환편니트 패턴의 여유량평균 비교. 82
〈그림 22〉 실험복 소재의 치수변화율 비교. 84
〈그림 23〉 실험복 소재의 신장특성 계측치. 85
〈그림 24〉 20대 성인여성의 상의제작을 위한 누드스펙 추출. 87
〈그림 25〉 환편니트 원피스 기준패턴. 95
〈그림 26〉 1차 실험복 원피스 봉제 후와 워싱 후 수축률 비교 97
〈그림 27〉 1차 원피스 연구패턴별 여유량 비교. 105
〈그림 28〉 T/R 성분의 조직별 1차 원피스 연구패턴의 중합도. 107
〈그림 29〉 T/R/S 성분의 조직별 1차 원피스 연구패턴의 중합도 108
〈그림 30〉 조직과 성분별 여유량이 적용된 1차 원피스 연구패턴의 중합도. 109
〈그림 31〉 T/R 성분의 기준소재 1차 원피스 연구패턴 설계(OP1_S). 110
〈그림 32〉 T/R/S 성분의 기준소재 1차 원피스 연구패턴 설계(OP1_SS). 111
〈그림 33〉 2차 원피스 연구패턴별 워싱 후 수축률 비교. 115
〈그림 34〉 T/R 성분의 조직별 2차 원피스 연구패턴의 중합도. 116
〈그림 35〉 T/R/S 성분의 조직별 2차 원피스 연구패턴의 중합도. 117
〈그림 36〉 1차와 2차 실험복 원피스의 워싱 후 수축률 비교 119
〈그림 37〉 외관평가를 위한 실제착의평가. 120
〈그림 38〉 가상착의에 의한 공극량 비교. 126
〈그림 39〉 가상착의의 와이어 프레임에 의한 여유량 비교. 127
〈그림 40〉 가상착의에 의한 수직단면 비교. 128
〈그림 41〉 가상착의에 의한 수평단면 비교. 129
〈그림 42〉 가상착의에 의한 신축량 비교. 130
〈그림 43〉 가상착의에 의한 의복압 비교. 131
〈그림 44〉 기본 여유량과 워싱 후 수축률이 적용된 원피스 연구패턴 비교. 134
〈그림 45〉 기본 여유량과 워싱 후 수축률이 적용된 원피스 연구패턴 중합도. 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