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3
I. 서론 15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5
2. 연구 과제 18
3. 용어의 정의 19
가. 유의미 수용학습 (meaningful reception learning) 19
나. 선행조직자 (advanced organizer) 19
II. 이론적 배경 20
1. 수학 교수-학습의 연구 동향 20
2. 수학 교수-학습을 위한 Ausubel의 이론 33
가. 유의미 수용학습의 정의와 종류 34
나. 동화 이론(Assimilation Theory) 59
다. Joyce와 Weil의 선행조직자 모델 65
3. 수학 수업에서 교사의 교수활동 73
III. 연구 방법 및 절차 79
1. 연구 대상 80
2. 연구 절차 83
가.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에 근거한 수업 모델 개발 83
나.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에 근거한 수업 모델의 수업에의 적용 88
3. 자료 수집 및 분석 92
가. 자료 수집 92
나. 자료 분석 95
IV. 연구 결과 및 해석 97
1.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에 근거한 수업 요소 선정 97
가. 수업 요소 선정 97
나. 수업 요소의 상세화 104
2.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에 근거한 수업 모델 개발 117
가. Joyce와 Weil의 선행조직자 모델 분석 117
나. 수업 모델 개발 122
3.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에 근거한 수업 모델의 수업에의 적용 129
가. 수업에의 적용 129
나. 수업에의 적용에 대한 반성 140
V. 결론 및 제언 177
1. 요약 및 결론 177
2. 제언 180
참고문헌 182
부록 6
〈부록 1〉 수업 요소 선정 과정 196
〈부록 2〉 수업 요소 선정에 대한 분석자의 의견 203
〈부록 3〉 Joyce와 Weil의 선행조직자 모델 소개 자료 216
〈부록 4〉 Joyce와 Weil의 선행조직자에 따른 학습지도안 219
〈부록 5〉 Joyce와 Weil의 선행조직자 모델에 대한 논의 내용 238
〈부록 6〉 새로운 모델 적용 1차시 ~ 3차시 학습지도안 247
〈부록 7〉 본 수업 1차시 ~ 3차시 : 녹취론 258
〈부록 8〉 연구자의 관찰일지 286
〈부록 9〉 교사의 수업일지 297
〈부록 10〉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에 근거한 수업 모델 적용 전·후 학생 설문지 302
〈부록 11〉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에 근거한 수업 모델 적용 후 교사 면담 내용 306
〈부록 12〉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에 근거한 수업 모델 적용 전·후 설문지 분석 결과 308
ABSTRACT 314
[그림 II-1] 메타인지의 내면화 과정(이봉주, 2002) 25
[그림 II-2] 수학적 탐구 과정 모형(도종훈, 2007) 27
[그림 II-3] 학교 수학에서의 창의성 모델(황우형 외, 2006) 31
[그림 II-4] 유의미 수용학습을 위한 조건 사이의 관계(Ausubel, 1969, p.55) 38
[그림 II-5] 학습의 종류와 예시(Ausubel, 1978. p.25 39
[그림 II-6] 학습자가 알고 있다고 가정한 관련 개념과 명제의 집합 43
[그림 II-7] 하위적 학습의 예에 대한 도식(Ausubel, 1969, p.68) 47
[그림 II-8] 상위적 학습의 예에 대한 도식(Ausubel, 1969, p.68) 48
[그림 II-9] 병위적 학습의 예에 대한 도식(Ausubel, 1969 ,p.68) 49
[그림 II-10] Novok(1979)이 소개한 선행조직자의 인지적 다리 역할 53
[그림 IV-1]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에 근거한 수업 모델 124
[그림 IV-2] 1차시 선행조직자를 도입하는 최 교사 132
[그림 IV-3] 순회지도하는 최 교사 136
[그림 IV-4]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에 근거한 수업 모델을 적용한 수업에 대한 흥미도 140
[그림 IV-5] 수업 일지 반응 1 142
[그림 IV-6] 수업 일지 반응 2 142
[그림 IV-7] 수업 일지 반응 3 142
[그림 IV-8]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에 근거한 수업 모델을 적용한 수업 중 가장 흥미 있었던 활동 143
[그림 IV-9] 수학에 대한 흥미도 변화 144
[그림 IV-10] 설명식 수업에 대한 흥미도 변화 147
[그림 IV-11] 수학과 선수지식과의 관련성에 대한 견해 변화 149
[그림 IV-12] 수학 선호도에 대한 견해 변화 151
[그림 IV-13] 학습 내용 기억에 대한 견해의 변화 154
[그림 IV-14] 수준에 맞는 수업에 대한 견해 변화 155
[그림 V-1]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에 근거한 수업 모델 178
본 연구는 수학 교실에서 교사가 전달한 내용을 학습자가 유의미하게 수용하는데 영향을 주는 수업 요소를 선정하고 이러한 수업 요소가 반영된 수업 모델을 개발하며 이 모델이 수학 교실에서 어떻게 적용되어야 할 것인지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우리나라의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수학 교사가 교육 내용과 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발견 학습, 탐구 학습, 협동 학습, 개별 학습 그리고 설명식 교수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이 중에서 발견 학습, 탐구 학습, 협동 학습 및 개별 학습에 대해서는 연구가 활발한 반면 설명식 교수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그러므로 교사가 실제 수학 수업에 적용하고 실행하는데 적합한 설명식 교수 모델 또는 학습자가 교사의 설명을 유의미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수업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을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첫째, Ausubel의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을 재해석하여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에 근거한 수업 요소를 선정하고 상세화한다. 둘째, 선정된 수업 요소를 반영한 수업 모델을 개발한다. 셋째, 개발된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수업을 실시하고 이 수업 모델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한다.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유의미 수용학습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Ausubel의 유의미 수용학습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에 근거한 수업 요소를 추출하고 전문가들의 내용타당도 검사를 통하여 수업 요소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Joyce와 Weil의 선행조직자 모델을 기본모델로 하여 앞서 선정된 수업 요소를 반영한 수업 모델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수업 모델을 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질적 연구방법인 관찰을 통한 사례연구와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을 이용하여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usubel의 유의미 수용학습을 위한 기본 조건 3가지를 수업 영역-'학습자료(LM)', '학습자의 인지구조(SC)' 그리고 '학습자의 자세(SS)'-으로 정하고 하위 수업 요소 14가지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각 수업 요소를 Ausubel의 이론과 최근 수학교육 동향에 근거하여 상세화하였다.
둘째, 선정된 수업 요소를 반영한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에 근거한 수업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수업 모델은 '학습 목표 인식하기', '선행조직자 탐색하기', '학습과제 및 자료 수용하기', '학습 내용 적용하기' 그리고 '정리 및 인지조직 강화하기' 5단계로 이루어졌으며 하위의 수업 내용에는 '선행조직자 제시', '학습의 위계성 고려', '학습자의 인지적인 발달 특성 고려', '통합적 조정의 원리 이용', 그리고 '능동적으로 수업 내용 수용 촉진' 등이 포함되었다.
셋째, 개발한 수업 모델을 고등학교 2학년 <수학Ⅰ>의 로그 단원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이 수업 모델로 수업을 하는 것이 쉽다', '이 수업 모델로 수업 한 후 수학이 더욱 좋아졌다', '선생님이 설명으로 새로운 지식을 지도하는 것이 좋다', '자신의 수준에 맞는 수학을 배운다' 그리고 '이 수업 모델로 수업한 지식은 기억이 오래 간다'는 변화를 보였다. 그리고 교사는 '학생의 수준에 맞추어 다양한 교수법을 선택하기', '선행조직자를 학생이 가능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준비하기', '학생들에게 학습 과제를 위계적으로 제시하기', 수업 정리 단계에서 '통합적 조정의 원리 이용하기'와 '비판적 접근 유도하기' 등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