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3
I. 서론 15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5
2. 연구 과제 18
3. 용어의 정의 19
가. 유의미 수용학습 (meaningful reception learning) 19
나. 선행조직자 (advanced organizer) 19
II. 이론적 배경 20
1. 수학 교수-학습의 연구 동향 20
2. 수학 교수-학습을 위한 Ausubel의 이론 33
가. 유의미 수용학습의 정의와 종류 34
나. 동화 이론(Assimilation Theory) 59
다. Joyce와 Weil의 선행조직자 모델 65
3. 수학 수업에서 교사의 교수활동 73
III. 연구 방법 및 절차 79
1. 연구 대상 80
2. 연구 절차 83
가.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에 근거한 수업 모델 개발 83
나.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에 근거한 수업 모델의 수업에의 적용 88
3. 자료 수집 및 분석 92
가. 자료 수집 92
나. 자료 분석 95
IV. 연구 결과 및 해석 97
1.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에 근거한 수업 요소 선정 97
가. 수업 요소 선정 97
나. 수업 요소의 상세화 104
2.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에 근거한 수업 모델 개발 117
가. Joyce와 Weil의 선행조직자 모델 분석 117
나. 수업 모델 개발 122
3.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에 근거한 수업 모델의 수업에의 적용 129
가. 수업에의 적용 129
나. 수업에의 적용에 대한 반성 140
V. 결론 및 제언 177
1. 요약 및 결론 177
2. 제언 180
참고문헌 182
부록 6
〈부록 1〉 수업 요소 선정 과정 196
〈부록 2〉 수업 요소 선정에 대한 분석자의 의견 203
〈부록 3〉 Joyce와 Weil의 선행조직자 모델 소개 자료 216
〈부록 4〉 Joyce와 Weil의 선행조직자에 따른 학습지도안 219
〈부록 5〉 Joyce와 Weil의 선행조직자 모델에 대한 논의 내용 238
〈부록 6〉 새로운 모델 적용 1차시 ~ 3차시 학습지도안 247
〈부록 7〉 본 수업 1차시 ~ 3차시 : 녹취론 258
〈부록 8〉 연구자의 관찰일지 286
〈부록 9〉 교사의 수업일지 297
〈부록 10〉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에 근거한 수업 모델 적용 전·후 학생 설문지 302
〈부록 11〉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에 근거한 수업 모델 적용 후 교사 면담 내용 306
〈부록 12〉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에 근거한 수업 모델 적용 전·후 설문지 분석 결과 308
ABSTRACT 314
〈표 II-1〉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의 구성 요소 범주별 하위 요소의 정의 22
〈표 II-2〉 창의성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 32
〈표 II-3〉 유의미한 학습과제를 구분하기 위한 항목 35
〈표 II-4〉 유의미 수용학습을 위한 조건 사이의 관계(Ausubel, 2000, p.69) 38
〈표 II-5〉 학습의 위계 42
〈표 II-6〉 유의미 학습과 인지적 영역 요소와의 관계 42
〈표 II-7〉 분류학에 맞춘 논증기하의 실제적 과제 44
〈표 II-8〉 유의미 수용학습을 위한 학습변인 51
〈표 II-9〉 동화 이론 흐름도 59
〈표 II-10〉 Andrews의 설명식 수업 모델 65
〈표 II-11〉 Heywood의 안내형태에 따른 수업 유형 분류 66
〈표 II-12〉 Jacobsen의 설명식 수업 모델 66
〈표 II-13〉 손용일의 설명식 교수-학습 활동 절차 67
〈표 II-14〉 Joyce와 weil의 선행조직자 모델 68
〈표 II-15〉 수학과 수업전문성 기준의 일부분 77
〈표 III-1〉 연구 수행 과정 79
〈표 III-2〉 Joyce와 Weil의 선행조직자 모델에 따른 학습지도안을 작성해줄 협력자 81
〈표 III-3〉 수업 요소 선정 절차 85
〈표 III-4〉 Joyce와 Weil의 선행조직자 모델에 따른 학습지도안 준비 절차 87
〈표 III-5〉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에 근거한 수업 모델 개발 절차 88
〈표 III-6〉 최 교사의 학습지도안 수정 전·후 비교표 90
〈표 III-7〉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에 근거한 수업 모델을 적용한 수업 일정 91
〈표 III-8〉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에 근거한 수업 모델의 학습지도안 양식 92
〈표 III-9〉 설문 조사 및 심층 면담 목록 94
〈표 III-10〉 최 교사의 3차시 수업에 대한 자료수집 방법 및 분석 방법 분류표 95
〈표 IV-1〉 ‘수학과 수업평가기준(임찬빈 외, 2006)’로부터 수업 요소 선정 97
〈표 IV-2〉 1차 수업 요소 선정에 대한 전문가 의견 101
〈표 IV-3〉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에 근거한 최종 수업 요소 102
〈표 IV-4〉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에 근거한 수업 요소 분류표 103
〈표 IV-5〉 Joyce와 Weil의 선행조직자 모델을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에 근거한 수업 요소로 분석한 결과표 117
〈표 IV-6〉 Joyce와 Weil의 선행조직자 모델 분석에 대한 분석자 의견 정리표 118
〈표 IV-7〉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에 근거한 수업 모델 내의 수업 내용과 수업 요소 사이의 관계 120
〈표 IV-8〉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에 근거한 1차 수업 모델 122
〈표 IV-9〉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에 근거한 수업 모델 교수-학습 활동 적용 129
〈표 IV-10〉 수학에 대한 흥미도 변화 분석 144
〈표 IV-11〉 수학을 선호하지 않는 이유 145
〈표 IV-12〉 설명식 수업에 대한 흥미도 변화 분석 147
〈표 IV-13〉 수학과 선수지식과의 관련성에 대한 견해 변화 분석 149
〈표 IV-14〉 수학 선호도에 대한 견해 변화 분석 151
〈표 IV-15〉 학습 내용 기억에 대한 견해의 변화 분석 154
〈표 IV-16〉 수준에 맞는 수업에 대한 견해 변화 분석 155
〈표 IV-17〉 SC-2반영표 166
[그림 II-1] 메타인지의 내면화 과정(이봉주, 2002) 25
[그림 II-2] 수학적 탐구 과정 모형(도종훈, 2007) 27
[그림 II-3] 학교 수학에서의 창의성 모델(황우형 외, 2006) 31
[그림 II-4] 유의미 수용학습을 위한 조건 사이의 관계(Ausubel, 1969, p.55) 38
[그림 II-5] 학습의 종류와 예시(Ausubel, 1978. p.25 39
[그림 II-6] 학습자가 알고 있다고 가정한 관련 개념과 명제의 집합 43
[그림 II-7] 하위적 학습의 예에 대한 도식(Ausubel, 1969, p.68) 47
[그림 II-8] 상위적 학습의 예에 대한 도식(Ausubel, 1969, p.68) 48
[그림 II-9] 병위적 학습의 예에 대한 도식(Ausubel, 1969 ,p.68) 49
[그림 II-10] Novok(1979)이 소개한 선행조직자의 인지적 다리 역할 53
[그림 IV-1]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에 근거한 수업 모델 124
[그림 IV-2] 1차시 선행조직자를 도입하는 최 교사 132
[그림 IV-3] 순회지도하는 최 교사 136
[그림 IV-4]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에 근거한 수업 모델을 적용한 수업에 대한 흥미도 140
[그림 IV-5] 수업 일지 반응 1 142
[그림 IV-6] 수업 일지 반응 2 142
[그림 IV-7] 수업 일지 반응 3 142
[그림 IV-8]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에 근거한 수업 모델을 적용한 수업 중 가장 흥미 있었던 활동 143
[그림 IV-9] 수학에 대한 흥미도 변화 144
[그림 IV-10] 설명식 수업에 대한 흥미도 변화 147
[그림 IV-11] 수학과 선수지식과의 관련성에 대한 견해 변화 149
[그림 IV-12] 수학 선호도에 대한 견해 변화 151
[그림 IV-13] 학습 내용 기억에 대한 견해의 변화 154
[그림 IV-14] 수준에 맞는 수업에 대한 견해 변화 155
[그림 V-1]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에 근거한 수업 모델 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