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생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 관점을 확인하고 선호하는 교수행동과 학업적응도와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교육 패러다임의 흐름을 분석하여 좋은 수업 연구 접근을 반영한 네 가지의 좋은 수업 관점을 도출하였고, 도출된 좋은 수업 관점이 실제로 대학생에게 적용되는지 실증적으로 확인하려 하였다. 이를 위해 좋은 수업 관점을 판별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하여 세 번에 걸친 예비조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수정· 보안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좋은 수업 관점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으로 교수행동 선호와 학업적응도를 선정하여 좋은 수업 관점에 따라 선호하는 교수행동과 학업적응도의 차이를 확인하려 하였다. 이를 위해 Murray(2007)가 제시한 9가지 교수행동의 상위요인과 27가지 하위요인을 번안하여, 역번역을 통한 동등화 과정 및 예비 조사를 통한 수정·보안을 하였고 학업적응도는 주관적 학업 적응의 지표로 Baker와 Siryk(1984)가 제작하고 연세대학교 학생 상담소에서 번안한 학업적 적응(AA)과 객관적 지표인 학년평점평균을 통하여 학업적응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좋은 수업 관점은 무엇이며, 좋은 수업 관점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도구는 적합한가?
둘째, 대학생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 관점은 어떻게 분류 되는가?
셋째, 대학생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 관점, 선호하는 교수행동, 학업적응도는 성별, 학년, 전공, 학교소재지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넷째, 대학생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 관점에 따라 선호하는 교수행동과 학업적응도는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이를 확인하기 위한 통계적 분석 방법으로 연구자가 제시한 좋은 수업 관점 판별문항에 대한 적합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AMOS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분석을 실시하였고, 좋은 수업 관점에 따른 집단 분류와 집단 간 차이 및 사후비교를 위하여 요인점수, 평균차이검정(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및 Duncan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좋은 수업 연구의 접근을 반영하여 도출한 좋은 수업 관점은 전통적 관점, 체제적 관점, 구성주의 관점, 상호작용 관점이며 좋은 수업 관점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도구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패러다임 속에서 좋은 수업 연구의 접근이 네 가지 방향(전통적 접근, 체제적 접근, 구성주의 접근, 상호작용 접근)으로 구분된다.
둘째, 대학생 집단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 관점은 좋은 수업의 의미를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전통적 관점, 체제적 관점, 구성주의 관점, 상호작용 관점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대학생 집단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 관점은 하나의 특정 관점으로 정의할 수 없으며, 이는 성인 학습자로서 대학생은 개인의 경험과 특성에 따라 좋은 수업을 정의할 때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기 때문이다.
셋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좋은 수업 관점, 선호하는 교수행동, 학업적응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좋은 수업 관점의 차이는 성별, 학년, 전공, 학교소재지 차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선호하는 교수행동은 성별, 학년, 전공, 학교소재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남자보다 여학생, 1학년, 인문계열, 지방 소재지의 학교를 다니는 학생 집단이 교수행동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업적응도는 학년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였는데 2학년이 다른 학년에 비하여 학업적응도가 낮았다.
넷째, 좋은 수업 관점에 따른 교수행동 선호와 학업적응도의 차이는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교수행동 요인 중 명료성과 표현력 요인에 대한 선호의 차이는 좋은 수업 관점에 따른 차이라고 볼 수 있으며 전통적 관점은 다른 관점 보다 명료성의 교수행동을 선호하며, 체제적 관점과 상호작용 관점은 표현력의 교수행동을 다른 관점보다 선호하였다. 그러나 교수행동 요인 전체를 보았을 때, 좋은 수업 관점에 따라 교수행동의 선호가 다르다고 볼 수 없으며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이 다르더라도 공통적으로 명료성과 과제지향의 교수행동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좋은 수업 관점에 따른 학업적응도 차이 역시 수행의 항목만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성주의 관점은 전통적, 체제적 관점과 비교하여 수행의 항목이 높게 평정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절차와 결과에 근거하여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좋은 수업 연구 접근을 반영하여 도출된 좋은 수업 관점은 전통적 관점, 체제적 관점, 구성주의 관점, 상호작용 관점으로 구분된다. 교육 패러다임 속에서 좋은 수업 연구의 접근은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문헌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좋은 수업 관점은 본 연구에서 실증적 실험의 근거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좋은 수업 관점을 바탕으로 한 좋은 수업 관점 연구 도구는 대학생뿐만 아니라 초등학교, 중·고등학교 및 성인학습의 다양한 학습자들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되고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고 본다.
둘째, 대학생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 관점은 수업의 의미에 대한 개인의 관점 차이에 따라 다양하다. 좋은 수업에 대한 대학생 집단의 관점은 하나의 관점으로 정의될 수 없으며 개인의 경험과 특성에 따라 좋은 수업을 정의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이 다양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대학 수업에서 학습자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이를 고려하여 다양한 학습자의 특성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교수방법 활용의 중요성을 제고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좋은 수업 관점은 개인적, 사회적 상호작용 등 다양한 요인이 결부되어 형성된다. 좋은 수업에 대한 정의는 용어가 가진 주관성, 복합성, 다면성에 의해 개인, 사회, 문화, 시대에 따라 재해석될 수밖에 없으며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의 형성도 마찬가지이다. 즉, 좋은 수업 관점은 한 개인과 사회, 문화, 시대에 대한 재해석에 따른 주관적이고 복합적이며 다면적인 요인이 결합된 결과이다.
다섯째, 대학생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 관점은 달라도 선호하는 교수행동은 같다. 즉, 대학생은 좋은 수업에 대한 의미의 판단에 있어 교수자의 수업행위가 주요한 준거로 작용하지 않으며 수업의 방향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높은 비중을 두어 생각하지 않는다. 개인이 생각하는 좋은 수업의 관점은 다양하지만 대학수업에서 학습자가 기대하는 교수자의 수업 행위는 수업의 내용을 이해하기 쉽도록 명료하게 설명하고 과제와 시험에 직접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전달' 능력 이다. 교수자는 기본적으로 수업 내용을 학생들에게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교수능력을 1차적으로 습득해야 하며,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다양한 관점을 인정하고 수용하려고 노력하며 수업에 대한 학생의 요구를 파악하여 좋은 수업이 되도록 하는 태도를 갖추어야 한다. 또한 대학당국은 좋은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와 교수자의 노력을 위한 지원 시스템 구축에 관심을 갖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