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4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4
1.2. 연구 목적 16
1.3. 연구 방법 및 범위 17
제2장 이론적 배경 19
2.1. 트렌드 19
2.1.1. 트렌드의 개념 19
2.1.2. 트렌드 변화 요인 20
2.1.2.1. 사회적 요인 20
2.1.2.2. 문화적 요인 21
2.1.2.3. 경제적 요인 21
2.1.2.4. 신기술의 발전 요인 22
2.1.3. 트렌드컬러 22
2.1.3.1. 트렌드컬러의 개념 22
2.1.3.2. 트렌드컬러의 속성 23
2.1.3.3. 트렌드컬러의 주기 23
2.2. 컬러마케팅 24
2.2.1. 감성 컬러마케팅 24
2.2.2. 컬러마케팅의 개념과 등장배경 26
2.2.2.1. 컬러마케팅의 개념 26
2.2.2.2. 컬러마케팅의 등장배경 28
2.2.3. 컬러심리와 컬러마케팅 29
2.2.4. 컬러마케팅의 중요성 30
2.2.5. 국가 아이덴티티에 따른 컬러감성 32
2.2.5.1. 사회 문화적 요인에 의한 컬러 33
2.2.5.2. 자연 환경적 요인에 의한 컬러 34
2.2.5.3. 한국의 컬러감성 36
2.2.5.4. 중국의 컬러감성 38
2.3. 중국시장 분석 40
2.3.1. 중국의 성장 40
2.3.2. 중국 인구의 변화 41
2.3.2.1. 소득 증가 41
2.3.2.2. 인구의 고령화 43
2.3.2.3. 여성의 사회진출의 증가 43
2.3.3. 소비 패턴의 변화 44
2.3.4. Made for China 44
2.3.4.1. 글로벌 기업의 사례 45
제3장 현황 분석 48
3.1. 분석범위 및 방법 48
3.1.1. 분석 범위 48
3.1.2. 분석 방법 48
3.1.2.1. 분석 자료 48
3.1.2.2. 컬러 추출 49
3.1.2.3. 컬러 분석방법 49
3.2. 시즌 / 년도 별 결정색, 한국, 중국 TREND COLOR 50
3.2.1. 2012 SS 분석 50
3.2.2. 2012 FW 분석 56
3.2.3. 2013 SS 분석 62
3.2.4. 2013 FW 분석 68
3.2.5. 2014 SS 분석 74
3.2.6. 2014 FW 분석 80
제4장 COLOR 분석 86
4.1. HUE&TONE 분석 86
4.1.1. RED 계열 분석 87
4.1.2. YELLOW 계열 분석 88
4.1.3. GREEN 계열 분석 89
4.1.4. BLUE계열 분석 90
4.1.5. PURPLE 계열 분석 91
4.2. COLOR 선호도 설문 분석 및 결과 92
4.2.1. 연구 목적 92
4.2.2. 연구 대상 92
4.2.3. 연구 절차 93
4.2.4. 측정도구 93
4.2.5. 분석 결과 93
제5장 결론 100
5.1. 연구의 결론 100
5.2. 연구의 한계점 104
참고문헌 105
부록 108
ABSTRACT 112
〈표 2-1〉 컬러의 연상과 상징성 30
〈표 2-2〉 중국과 한국의 색에 대한 인식 33
〈표 2-3〉 환경 색채에 대한 색군의 추출 35
〈표 3-1〉 2012 SS HUE& TONE 분석 50
〈표 3-2〉 2012 SS RED 계열 51
〈표 3-3〉 2012 SS YELLOW 계열 52
〈표 3-4〉 2012 SS GREEN 계열 53
〈표 3-5〉 2012 SS BLUE 계열 54
〈표 3-6〉 2012 SS PURPLE 계열 55
〈표 3-7〉 2012 FW HUE & TONE 분석 56
〈표 3-8〉 2012 FW RED 계열 57
〈표 3-9〉 2012 FW YELLOW 계열 58
〈표 3-10〉 2012 FW GREEN 계열 59
〈표 3-11〉 2012 FW BLUE 계열 60
〈표 3-12〉 2012 FW PURPLE 계열 61
〈표 3-13〉 2013 SS HUE & TONE 분석 62
〈표 3-14〉 2013 SS RED 계열 63
〈표 3-15〉 2013 SS YELLOW 계열 64
〈표 3-16〉 2013 SS GREEN 계열 65
〈표 3-17〉 2013 SS BLUE 계열 66
〈표 3-18〉 2013 SS PURPLE 계열 67
〈표 3-19〉 2013 FW HUE & TONE 분석 68
〈표 3-20〉 2013 FW RED 계열 69
〈표 3-21〉 2013 FW YELLOW 계열 70
〈표 3-22〉 2013 FW GREEN 계열 71
〈표 3-23〉 2013 FW BLUE 계열 72
〈표 3-24〉 2013 FW PURPLE 계열 73
〈표 3-25〉 2014 SS HUE & TONE 분석 74
〈표 3-26〉 2014 SS RED 계열 75
〈표 3-27〉 2014 SS YELLOW 계열 76
〈표 3-28〉 2014 SS GREEN 계열 77
〈표 3-29〉 2014 SS BLUE 계열 78
〈표 3-30〉 2014 SS PURPLE 계열 79
〈표 3-31〉 2014 FW HUE & TONE 분석 80
〈표 3-32〉 2014 FW RED 계열 81
〈표 3-33〉 2014 FW YELLOW 계열 82
〈표 3-34〉 2014 FW GREEN 계열 83
〈표 3-35〉 2014 FW BLUE 계열 84
〈표 3-36〉 2014 FW PURPLE 계열 85
〈표 4-1〉 RED계열 한국/중국 HUE&TONE (2012~2014) 87
〈표 4-2〉 YELLOW 계열 한국/중국 HUE&TONE (2012~2014) 88
〈표 4-3〉 GREEN 계열 한국/중국 HUE&TONE (2012~2014) 89
〈표 4-4〉 BLUE 계열 한국/중국 HUE&TONE (2012~2014) 90
〈표 4-5〉 PURPLE 계열 한국/중국 HUE&TONE (2012~2014) 91
〈표 4-6〉 조사 대상자의 구성 정보 92
〈표 4-7〉 한국 남성의 한·중 INTER COLOR 선호도 94
〈표 4-8〉 한국 여성의 한·중 INTER COLOR 선호도 95
〈표 4-9〉 한국인의 한·중 INTER COLOR, 선호도 96
〈표 4-10〉 중국 남성의 한·중 INTER COLOR 선호도 97
〈표 4-11〉 중국 여성의 한·중 INTER COLOR 선호도 98
〈표 4-12〉 중국인의 한·중 INTER COLOR 선호도 99
〈그림1-1〉 대한민국 국기 / 중국 국기 15
〈그림2-1〉 마케팅 패러다임 변화 26
〈그림2-2〉 컬러 마케팅의 단계 27
〈그림2-3〉 China's continuing GDP growth 40
〈그림2-4〉 Rise of the mainstream consumer 42
〈그림2-5〉 DIOR , Coca-Cola, BMW 제품 46
〈그림2-6〉 오리온 초코파이 & 중국형 아반떼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