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9
I. 서론 10
1. 연구 배경 및 목적 10
2. 연구 범위 및 방법 12
II. 이론적 고찰 13
1. 와당의 특성 및 연화문의 기원 13
2. 남북조 시대 연화문 와당의 역사와 특징 15
1) 남조의 역사와 특징 15
2) 북조의 역사와 특징 18
3. 백제 시대 연화문 와당의 역사와 특징 22
① 한성시기漢城時期(BC 18 년- AD 475 년) 22
② 웅진시기熊津時期(AD 475 년-AD 583 년) 23
III. 남북조와 백제 와당에 사용된 연화문 문양 비교 분석 27
1. 두 시대의 무역에 따른 역사교류 27
2. 두 시대의 연화문 와당 문양 속의 교류흔적 32
1) 한성시기와 북조 초기 비교분석 33
2) 웅진시기와 남북조 중후기의 비교분석 35
3) 사비시기와 남조시대 비교분석 40
IV. 현대디자인에 나타난 연화문 문양 45
1. 중국의 현대디자인에 나타난 연화문 46
2. 한국의 현대디자인에 나타난 연화문 50
V. 중국 남북조 시대와 백제 시대 연화문 와당을 이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52
1. 제작의도 및 제작방법 52
1) 제작의도 52
2) 제작방법 및 디자인 설명 52
2. 디자인 제작 53
1) 디자인1 53
2) 디자인2 56
3) 디자인3 59
4) 디자인4 62
5) 디자인5 65
VI. 결론 68
참고문헌 70
ABSTRACT 72
〈표 1〉 와당의 분류기준 15
〈표 2〉 남조 시대 연화문 와당의 특징 18
〈표 3〉 북조 시대 연화문 와당의 특징 21
〈표 4〉 백제 시대 연화문 와당의 특징 26
〈표 5〉 한성시기와 북조 초기의 연화문 와당 비교 34
〈표 6〉 웅진시기와 북조 중후기의 연화문 와당 비교 37
〈표 7〉 웅진시기와 남조 시기의 연화문 와당 비교 40
〈표 8〉 사비시기와 남조 시기의 판단곡절형 연화문 와당 비교 42
〈표 9〉 사비시기와 남조 시기의 판단삼각돌기형 연화문 와당 비교 44
〈그림 1〉 남조 초기 대표적인 연화문 와당 18
〈그림 2〉 남조 중기 대표적인 연화문 와당 18
〈그림 3〉 남조 후기 대표적인 연화문 와당 18
〈그림 4〉 북조 초기 대표적인 연화문 와당 21
〈그림 5〉 북조 중기 대표적인 연화문 와당 21
〈그림 6〉 북조 후기 대표적인 연화문 와당 21
〈그림 7〉 한성시기 대표적인 연화문 와당 26
〈그림 8〉 웅진시기 대표적인 연화문 와당 26
〈그림 9〉 사비시기 대표적인 연화문 와당 26
〈그림 10〉 연화문 와당의 각 부분 명칭 32
〈그림 11〉 한성시기 풍납토성 출토된 양각선형 연화문 와당 34
〈그림 12〉 한성시기 몸촌토성 출토된 양각선형 연화문 와당 34
〈그림 13〉 북조 초기 낙양 출토된 양각선형 연화문 와당 34
〈그림 14〉 웅진시기 용정리사지 출토된 판단첨형 연화문 와당 37
〈그림 15〉 웅진시기 서혈사지 출토된 판단첨형 연화문 와당 37
〈그림 16〉 북조 중후기 출토된 판단첨형 연화문 와당 37
〈그림 17〉 웅진시기 공주 정치산 판단원형돌기형 연화문 와당 40
〈그림 18〉 웅진시기 공산성 출토된 판단원형돌기형 연화문 와당 40
〈그림 19〉 웅진시기 대통사지 출토된 판단원형돌기형 연화문 와당 40
〈그림 20〉 남조 시기 남조대묘 출토된 판단원형돌기형 연화문 와당 40
〈그림 21〉 사비시기 용정리 폐사지 출토된 판단곡절형 연화문 와당 42
〈그림 22〉 사비시기 금강사지 출토된 판단곡절형 연화문 와당 42
〈그림 23〉 남조 시기 남경대학교 출토된 판단곡절형 연화문 와당 42
〈그림 24〉 사비시기 군수리사지 출토된 판단삼각돌기형 연화문 와당 44
〈그림 25〉 남조 시기 중산2호사지유적 출토된 판단삼각돌기형 연화문 와당 44
〈그림 26〉 송시기의 도자기 47
〈그림 27〉 명시기의 청화자기 47
〈그림 28〉 베이징 지하철의 로비 47
〈그림 29〉 제29회 중국 베이징 올림픽의 푸와 47
〈그림 30〉 LIEBO의 14년 S/S컬렉션 작품1 49
〈그림 31〉 LIEBO의 14년 S/S컬렉션 작품2 49
〈그림 32〉 한국 대우전자 브랜드의 전자레인지와 에어컨 50
〈그림 33〉 이상봉의 03/04년 SS켈렉션의 디자인 51
〈그림 34〉 앙드레김의 08년 켈렉션 디자인 51
〈그림 35〉 촬영 현장 54
〈그림 36〉 한국 고대 복식 54
〈그림 37〉 중국 고대 복식 54
〈그림 38〉 필름 54
〈그림 39〉 백제 웅진시기의 와당 54
〈그림 40〉 남조 시기 와당 54
〈그림 41〉 돋보기로 보다 57
〈그림 42〉 자갈길 57
〈그림 43〉 측정 공구 57
〈그림 44〉 한성시기의 와당 57
〈그림 45〉 북조 초기의 와당 57
〈그림 46〉 중국 우표 60
〈그림 47〉 한국 우표 60
〈그림 48〉 편지 봉투 60
〈그림 49〉 북조 중후기의 와당 60
〈그림 50〉 백제 웅진시기의 와당 60
〈그림 51〉 고대 건축 63
〈그림 52〉 퍼즐을 맞추다 63
〈그림 53〉 백제 웅진시기 와당 63
〈그림 54〉 남조 시기 와당 63
〈그림 55〉 고대 건물 66
〈그림 56〉 중국 전통공예 지엔지(剪紙) 66
〈그림 57〉 전자 회로 66
〈그림 58〉 백제 사비시기 와당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