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I. 서론 10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0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1
3. 선행연구의 검토 11
II. 소방행정조직에 관한 일반적 고찰 20
1. 소방행정의 역할 및 환경변화 20
1) 국민안전관리의 중추적인 역할 증대 20
2) 사회환경 변화와 소방행정수요의 증가 20
2. 소방행정의 특성 21
3. 우리나라의 소방조직 22
4. 경상북도 소방조직 현황 25
5. 경상북도 소방본부 최근 3년간 임시 과업조직(T/F) 운영 현황 27
III. 관료제 및 탈관료제에 대한 이론적 고찰 32
1. 관료제의 특징 32
2. 관료제의 순기능과 역기능 33
3. 탈관료제 38
1) 탈관료제의 의의 38
2) 탈관료제의 특징 38
3) 탈관료제의 조직 유형 38
IV. 경상북도 소방본부 임시 과업조직(T/F)운영에 관한 조사 분석 46
1. 조사 설계 46
1) 조사의 목적 47
2) 조사의 대상 47
3) 설문지 구성 50
2. 자료의 수집 및 통계처리 51
1) 설문지 배포 및 회수 현황 51
2) 통계처리 방법 51
3. 자료의 분석 및 해석 51
1) 설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51
2) 구성원의 적합성 53
3) 낮은 복잡성 63
4) 비공식화 69
5) 분권적 의사결정 75
6) 팀 성과, 구성원의 팀 내 역할 만족도, 학습 85
7) 개방형 설문 결과 94
V. 결론 99
1. 연구결과의 요약 및 함의 99
2. 임시 과업조직(T/F)의 활성화 방안 101
3. 연구의 한계 103
참고문헌 105
설문지 107
Abstract 112
〈표 I-1〉 탈관료조직에 대한 선행연구 16
〈표 II-1〉 경상북도 소방본부 최근 3년간 임시 과업조직(T/F) 운영 현황 30
〈표 II-2〉 경상북도 소방본부 최근 3년간 임시 과업조직(T/F) 업무성격별 분류 31
〈표 III-1〉 활동의 대상과 지속성에 따른 팀제 구분 45
〈표 IV-1〉 소속별 분포 48
〈표 IV-2〉 계급별 분포 48
〈표 IV-3〉 담당업무별 분포 48
〈표 IV-4〉 재직기간별 분포 49
〈표 IV-5〉 연령별 분포 49
〈표 IV-6〉 학력별 분포 49
〈표 IV-7〉 설문의 구성 및 내용 50
〈표 IV-8〉 설문지 회수현황 51
〈표 IV-9〉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52
〈표 IV-10〉 전문성 53
〈표 IV-11〉 구성원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도(1) 54
〈표 IV-12〉 구성원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도(2) 55
〈표 IV-13〉 공동의 목적과 목표의 공유 정도 56
〈표 IV-14〉 공동의 목적과 목표의 공유에 대한 인식도(1) 57
〈표 IV-15〉 공동의 목적과 목표의 공유에 대한 인식도(2) 58
〈표 IV-16〉 리더의 역할 59
〈표 IV-17〉 리더의 역할에 대한 인식도(1) 60
〈표 IV-18〉 리더의 역할에 대한 인식도(2) 61
〈표 IV-19〉 리더의 역할에 대한 인식도(3) 62
〈표 IV-20〉 수평적 운영 및 낮은 계층화 63
〈표 IV-21〉 수평적 분화에 대한 인식도(1) 64
〈표 IV-22〉 수평적 분화에 대한 인식도(2) 65
〈표 IV-23〉 서열적 의사전달 단계의 축소 66
〈표 IV-24〉 서열적 의사전달 단계의 축소에 대한 인식도(1) 67
〈표 IV-25〉 서열적 의사전달 단계의 축소에 대한 인식도(2) 68
〈표 IV-26〉 권한과 재량권 부여 69
〈표 IV-27〉 권한과 재량권 부여에 대한 인식도(1) 70
〈표 IV-28〉 권한과 재량권 부여에 대한 인식도(2) 71
〈표 IV-29〉 임시·한시적 업무 조직 72
〈표 IV-30〉 임시·한시적 업무 조직에 대한 인식도(1) 73
〈표 IV-31〉 임시·한시적 업무 조직에 대한 인식도(2) 74
〈표 IV-32〉 상호의존, 협력적 의사결정 75
〈표 IV-33〉 상호의존, 협력적 의사결정에 대한 인식도(1) 76
〈표 IV-34〉 상호의존, 협력적 의사결정에 대한 인식도(2) 77
〈표 IV-35〉 신뢰와 과업갈등의 조정 78
〈표 IV-36〉 신뢰와 과업갈등의 조정에 대한 인식도(1) 79
〈표 IV-37〉 신뢰와 과업갈등의 조정에 대한 인식도(2) 80
〈표 IV-38〉 과업 성과에 대한 공동책임 81
〈표 IV-39〉 과업성과에 대한 공동책임에 대한 인식도(1) 82
〈표 IV-40〉 과업성과에 대한 공동책임에 대한 인식도(2) 83
〈표 IV-41〉 과업성과에 대한 공동책임에 대한 인식도(3) 84
〈표 IV-42〉 팀 성과 85
〈표 IV-43〉 팀 성과에 대한 인식도(1) 86
〈표 IV-44〉 팀 성과에 대한 인식도(2) 87
〈표 IV-45〉 구성원의 역할 만족도 88
〈표 IV-46〉 구성원의 팀 내 역할 만족도에 대한 인식도(1) 89
〈표 IV-47〉 구성원의 팀 내 역할 만족도에 대한 인식도(2) 90
〈표 IV-48〉 학습효과 91
〈표 IV-49〉 학습효과에 대한 인식도(1) 92
〈표 IV-50〉 학습효과에 대한 인식도(2) 93
〈표 IV-51〉 응답자별 개방형 설문내용(요약) 94
〈표 IV-52〉 응답자별 개방형 설문내용 95
〈그림 II-1〉 중앙소방조직 체계 24
〈그림 II-2〉 지방소방조직 체계 25
〈그림 II-3〉 경상북도 소방조직 편제 및 주요기능 26
〈그림 IV-1〉 분석 틀 46
〈그림 IV-2〉 구성원의 전문성 53
〈그림 IV-3〉 과업 수행 절차와 방법 숙지 53
〈그림 IV-4〉 과업 목표에 대한 이해도 56
〈그림 IV-5〉 공동의 목표 공유 56
〈그림 IV-6〉 리더에 대한 신뢰도 59
〈그림 IV-7〉 리더의 과업 성격 파악 59
〈그림 IV-8〉 리더의 과업 배분 59
〈그림 IV-9〉 수평적 운영 63
〈그림 IV-10〉 낮은 계층화 63
〈그림 IV-11〉 외부 간섭이나 지시 배제 66
〈그림 IV-12〉 자유로운 의사 소통·토론 66
〈그림 IV-13〉 구성원들의 권한 부여 69
〈그림 IV-14〉 구성원들의 재량권 부여 69
〈그림 IV-15〉 임시직 성격 업무 조직 72
〈그림 IV-16〉 한시적 성격 업무 조직 72
〈그림 IV-17〉 상호의존 협력적 결과 산출 75
〈그림 IV-18〉 과업목표 구체화 과정 75
〈그림 IV-19〉 구성원간의 신뢰 78
〈그림 IV-20〉 과업갈등의 조정 78
〈그림 IV-21〉 전체의 일이라는 마음가짐 81
〈그림 IV-22〉 공동 책임하 업무수행 81
〈그림 IV-23〉 상호적 책임 강조 81
〈그림 IV-24〉 목표에 부합하는 성과물 생산 85
〈그림 IV-25〉 소방행정 반영 85
〈그림 IV-26〉 역할의 적극적 수행 88
〈그림 IV-27〉 팀 내 역할 만족 88
〈그림 IV-28〉 전문성 향상 91
〈그림 IV-29〉 학습 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