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연구에서 혈장 총 ω-3 다가불포화지방산, EPA, DHA는 경동맥-대퇴 맥파속도 (carotid-femoral pulse wave velocity, PWV; cf-PWV)의 감소와 혈장 총 ω-6 다가불포화지방산, 리놀렌산 (LA)은 PWV의 증가와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보고하였다. 그러나 FADS1 유전자형에 따라 혈장 ω-3, ω-6 다가불포화지방산과 동맥경화와의 상관관계가 달라질 것이라고 제기되었다.
본 전향적 코호트 연구에서는 건강한 성인 (800명)을 대상으로 3년의 기간 동안 FADS1 rs174547 의 유전자 다형성을 분석하였고, 혈장 다가불포화지방산의 조성과 신체질량지수 (BMI), 상완 발목 동맥맥파속도 (brachial-ankle PWV, ba-PWV)를 측정하여 동맥경화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혈장 ω-3, ω-6 다가불포화지방산은 GC-MS를 통해 측정되었고, 동맥경화는 ba-PWV로 검사하였으며, FADS1 rs174547 T〉C 유전자형이 분석되었다. 3년 후, 나이, 성별, 흡연, 음주를 보정했을 때 FADS1 rs174547 T〉C 유전자형과 BMI는 혈장 아라키돈산 (AA) 농도, 에이코사펜타엔산/아라키돈산 (EPA/AA) 비율, ba-PWV 변화에서 각각 P=0.036, 0.033, 0.001 의 유의성을 보였다. 정상 체중 C allele (n=112)과 과체중 TT (n=47)는 정상체중 TT (n=91)보다 AA 농도가 조금 증가하였다. 과체중 C allele(n=37)은 나머지 3군보다 혈장 EPA/AA 비율이 매우 감소하였고 ba-PWV가 매우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FADS1 rs174547T〉C의 minor C allele을 보유한 과체중인에서 EPA/AA 비율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ba-PWV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FADS1 rs174547 C allele를 보유한 과체중인이 EPA/AA 비율 감소와 동맥경화위험성 증가와 매우 관련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