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5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6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8
1.3. 연구의 흐름도 19
제2장 치유환경으로서 명상공간의 이론적 고찰 21
2.1. 치유환경과 명상의 고찰 22
2.1.1. 치유의 개념 22
2.1.2. 치유환경의 배경 및 정의 24
2.1.3. 명상의 이해 27
2.2. 명상공간의 고찰 37
2.2.1. 명상공간의 개념 및 배경 37
2.2.2. 명상공간의 기능 38
2.2.3. 명상공간의 유형 41
2.3. 명상공간구성의 특성 47
2.3.1. 명상공간의 구성 47
2.3.2. 명상공간구성의 특성 54
제3장 다감각자극의 이론적 고찰과 디자인표현요소 61
3.1. 다감각자극의 고찰 62
3.1.1. 감각과 감각 자극의 이해 62
3.1.2. 다감각자극의 이해 65
3.1.3. 다감각자극의 치유성 69
3.2. 다감각자극의 특성 72
3.2.1. 선행연구 분석 72
3.2.2. 다감각자극의 특성 74
3.3. 다감각자극의 특성 및 디자인표현요소 76
3.3.1. 확장성 77
3.3.2. 관계성 83
3.3.3. 시간성 88
3.3.4. 무의식성 93
제4장 사례조사 및 분석 99
4.1. 사례조사 대상범위 및 분석방법 100
4.2. 국외사례분석 103
4.2.1. Won Dharma Center (원 달마 센터) 103
4.2.2. Ekouin Nenbutsudo Temple (도쿄에코인 불교사원) 105
4.2.3. Windhover Contemplative Center (스탠포드대학교 명상센터) 107
4.2.4. Kamadhenu Yoga Center (카마데누 요가센터) 109
4.3. 국내사례분석 111
4.3.1. 힐리언스 선마을 111
4.3.2. 지니어스 로사이 (Genius Loci) 113
4.3.3. 깊은 산속 옹달샘 (아침편지 명상치유센터) 115
4.3.4. 탄허대종사기념박물관 117
4.4. 분석의 종합 119
제5장 공간 계획 123
5.1. 계획의 개요 124
5.2. 대상지 선정 및 분석 126
5.2.1. 대상지 선정 126
5.2.2. 대상지 분석 128
5.2.3. 대상 공간 현황 및 분석 130
5.3. 공간 계획 131
5.3.1. 디자인 컨셉 131
5.3.2. 컨셉 프로세스 132
5.3.3. 공간 프로그래밍 및 동선 133
5.4. 디자인 전개 135
5.4.1. 디자인 프로세스 135
5.4.2. 평면 계획 137
5.4.3. 입단면 계획 140
5.5. 투시도 142
5.6. 패널 147
제6장 결론 148
참고문헌 152
Abstract 158
[표 2-1] 치유와 치료의 개념 23
[표 2-2] 치유환경의 정의 26
[표 2-3] 국내외 명상의 정의 29
[표 2-4] 명상의 종류 34
[표 2-5] 명상의 치유효과 36
[표 2-6] 명상공간의 기능 40
[표 2-7] 명상공간의 유형에 관한 선행연구 42
[표 2-8] 명상공간의 유형 42
[표 2-9] 진입 공간의 요소 및 특징 49
[표 2-10] 전이 공간의 요소 및 특징 51
[표 2-11] 주 공간의 요소 및 특징 52
[표 2-12] 부속 공간의 요소 및 특징 53
[표 3-1] 감각 자극의 분류 64
[표 3-2] 다감각자극의 치유성에 관한 선행연구 70
[표 3-3] 다감각자극의 특성에 관한 선행연구 74
[표 4-1] 국내·외 사례분석 대상 101
[표 4-2] 사례조사 분석 틀 102
[표 4-3] Won Dharma Center (원 달마 센터) 분석 103
[표 4-4] Ekouin Nenbutsudo Temple (도쿄에코인 불교사원) 분석 105
[표 4-5] Windhover Contemplative Center (스탠포드대학교 명상센터) 분석 107
[표 4-6] Kamadhenu Yoga Center (카마데누 요가센터) 분석 109
[표 4-7] 힐리언스 선마을 분석 111
[표 4-8] 지니어스 로사이 (Genius Loci) 분석 113
[표 4-9] 깊은 산속 옹달샘 분석 115
[표 4-10] 탄허대종사기념박물관 분석 117
[표 4-11] 국내·외 사례 유형별 공간구성 비교표 119
[표 4-12] 국내·외 사례 공간구성의 특성 및 다감각자극 디자인표현요소 비교표 120
[표 5-1] 계획의 개요 124
[표 5-2] 대상 공간 현황 130
[표 5-3] 공간 프로그래밍 133
[그림 1-1] 연구의 흐름도 19
[그림 2-1] 명상공간의 개념도 37
[그림 2-2] 종교형 명상공간 사례 43
[그림 2-3] 문화형 명상공간 사례 44
[그림 2-4] 수련형 명상공간 사례 45
[그림 2-5] 파빌리온형 명상공간 사례 46
[그림 2-6] 명상공간의 구성 48
[그림 2-7] 위계성 사례 55
[그림 2-8] 추상성 사례 56
[그림 2-9] 탈 경계성 사례 58
[그림 2-10] 연결성 사례 59
[그림 3-1] 다감각자극의 상호작용 개념도 65
[그림 3-2] 선행연구를 통한 다감각자극의 특성 75
[그림 3-3] 다감각자극의 특성 및 디자인표현요소 76
[그림 3-4] 자연 재료(나무, 돌)의 본질적 물성 강조 사례 80
[그림 3-5] 콘크리트의 본질적 물성을 강조한 사례 80
[그림 3-6] 재료의 변형을 통한 물성의 강조 사례 81
[그림 3-7] 우회적 동선의 사례_물의 사원[Ando Tadao] 85
[그림 3-8] 동선의 연속성 및 다양성 사례 86
[그림 3-9] 가변적 벽체 사례 87
[그림 3-10] 장소의 의미화 구성도 89
[그림 3-11] 장소의 의미화 형성 요소 90
[그림 3-12] 장소의 의미화 사례 91
[그림 3-13] 변화적 요소 사례 92
[그림 3-14] 공간의 상호 관입과 중첩 사례 95
[그림 3-15] 우연성에 의한 요소 사례 98
[그림 5-1] BACKGROUND & PURPOSE 125
[그림 5-2] SITE 127
[그림 5-3] SITE ANALYSIS 129
[그림 5-4] CONCEPT 131
[그림 5-5] CONCEPT PROCESS 132
[그림 5-6] CIRCULATION & SPACE PROGRAM 134
[그림 5-7] DESIGN PROCESS 136
[그림 5-8] 지상 1층 평면도 137
[그림 5-9] 지상 2층 평면도 138
[그림 5-10] 지상 3층 평면도 139
[그림 5-11] 입단면도 AA' 140
[그림 5-12] 입단면도 BB' 141
[그림 5-13] 1F OPEN STEP GARDEN 142
[그림 5-14] 1F ENTRANCE PROMENADE 143
[그림 5-15] 1F HALL & RECEPTION 144
[그림 5-16] 1F CABANA COUNSELING CENTER 145
[그림 5-17] 2F TEA HALL & GATE TO MOUNTAIN 146
[그림 5-18] PANEL 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