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5

1. 연구의 목적 및 의의 15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16

II. 일반적 고찰 18

1. 용어정의 18

2. 얼룩말 패턴의 특성과 활용 19

1) 얼룩말 패턴의 특성 19

2) 얼룩말 패턴의 활용 22

3. 얼룩말 패턴이 표현된 조형사례 26

1) 미술에 표현된 얼룩말 패턴 26

2) 산업 디자인에 표현된 얼룩말 패턴 30

3) 패션에 표현된 얼룩말 패턴 35

4. 얼룩말 패턴이 활용된 패션디자인의 추이 43

1) 현대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얼룩말 패턴 활용 변화 추이 43

2) 얼룩말 패턴을 활용한 디자이너 분석 46

III. 얼룩말 패턴이 활용된 패션디자인 분석 49

1. 아이템 및 실루엣 49

1) 아이템 49

2) 실루엣 59

2. 색채 및 색채대비 67

1) 색채 대비 67

2) 톤 74

3. 소재 및 재질감 78

1) 소재 78

2) 재질감 92

4. 패턴 표현 방법 98

1) 표현기법 99

2) 표현 공간 107

IV. 현대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얼룩말 패턴의 미적특성 117

1. 관능미 117

2. 저항미 120

3. 야성미 123

4. 퇴폐미 126

V. 결론 129

참고문헌 133

Abstract 137

표목차

〈표 1〉 얼룩말의 종류와 패턴 20

〈표 2〉 얼룩말 패턴이 나타난 아이템의 빈도 50

〈표 3〉 얼룩말 패턴이 나타난 실루엣의 빈도 60

〈표 4〉 얼룩말 패턴의 소재 활용 빈도 79

〈표 5〉 얼룩말 패턴이 나타난 디자인의 재질감 빈도 94

〈표 6〉 얼룩말 패턴이 표현된 기법 빈도 100

〈표 7〉 얼룩말 패턴 표현 공간별 빈도 108

〈표 8〉 얼룩말 패턴을 활용한 현대 패션디자인의 미적특성 116

그림목차

〈그림 1〉 '다즐 위장' 군함, 미국 USS 엘런호 버넬 포올 레이트 1918 21

〈그림 2〉 얼룩말 패턴 코트를 입은 젊은 장교, 1787 25

〈그림 3〉 얼룩말 가죽을 사용한 의자, 1800년대 25

〈그림 4〉 얼룩말 패턴 패브릭 스와치, 영국, 1896-97 26

〈그림 5〉 얼룩말 마차, 리오넬 로스차일드, 1900년경 26

〈그림 6〉 옵아트 화가, 바사렐리 빅토르, 1908~1997 27

〈그림 7〉 Zebres, 바사렐리, 1938 27

〈그림 8〉 ZEBRA, 바사렐리, 1950 28

〈그림 9〉 옵아트 화가, 브리짓 라일리, 1931- 28

〈그림 10〉 무제, 브리짓 라일리, 1966 28

〈그림 11〉 Vanity, 시게키 마츠야마, 2016 29

〈그림 12〉 Room Feb 2016, 시게키 마츠야마, 2016 29

〈그림 13〉 '다즐 위장' 전투함, SS West Mahomet, 1918 30

〈그림 14〉 "Golden Zebra" 내부, Daimler-DK400, 1955 30

〈그림 15〉 "GoldenZebra"Daimler-DK400, Louwman Museum 31

〈그림 16〉 인테리어 소품, 조르서치 콜린스, 1989 31

〈그림 17〉 영화 "로얄 테넌테움" 벽지, 2001. 32

〈그림 18〉 레드 얼룩말 냅킨, 2015 32

〈그림 19〉 얼룩말 패턴, 구찌, 2017 S/S Men's Wear 34

〈그림 20〉 자동차 브랜드 '포르쉐' 로고 34

〈그림 21〉 위치 추적 데이터 관리 서비스 회사 '제브라' 로고 34

〈그림 22〉 얼룩말 가죽 케이프, 1920년대 35

〈그림 23〉 모델 캐시 쉬림튼과 디자이너 오시 클락, 1965 35

〈그림 24〉 코트, 빌깁슨 컬렉션, 1983 37

〈그림 25〉 드레스, 니나리치, 1962 37

〈그림 26〉 투피스, 켄 스코트, 이탈리아 '보그'지, 1969 37

〈그림 27〉 옵아트 수영복, 1966 38

〈그림 28〉 옵아트 드레스, 게투리오 알비아니, 1960년대 38

〈그림 29〉 브로치, 다비드 웹 39

〈그림 30〉 '101 달마티안의 크루엘라 드빌 의상, 1996 39

〈그림 31〉 동물 패턴 의상 디자인, 루디 게른라이히, 1966 40

〈그림 32〉 'WILD: Fashion Untamed' 전시회, 로베르토 까발리, 2004 40

〈그림 33〉 'Paul Smith Jean' 로고, 2000년대 후반 42

〈그림 34〉 얼룩말 패턴의 활용 변화 추이 44

〈그림 35〉 얼룩말 패턴의 계절별 활용 비율 44

〈그림 36〉 계절별 얼룩말 패턴 활용 그래프 45

〈그림 37〉 조끼, Roberto Cavalli, 2016 S/S 47

〈그림 38〉 미니 원피스, Just Cavalli, 2016 F/W 47

〈그림 39〉 얼룩말 패턴이 나타난 아이템 종류별 비율 51

〈그림 40〉 원피스, Blumarine, 2010 F/W 51

〈그림 41〉 탑, Akris, 2014 S/S 51

〈그림 42〉 구두, Tom Ford, 2014 F/W 51

〈그림 43〉 스커트, Iceberg, 2010 F/W 53

〈그림 44〉 재킷, Fausto Puglisi, 2015 F/W 53

〈그림 45〉 바지, Louis Vuitton, 2011 S/S 53

〈그림 46〉 코트, Vivienne Westwood Red Label, 2013 F/W 55

〈그림 47〉 가방, Blumarine, 2010 F/W 55

〈그림 48〉 스타킹, Betsey Johnson, 2011 F/W 55

〈그림 49〉 조끼, Chalayan, 2014 F/W 57

〈그림 50〉 넥 워머, Dkny, 2014 F/W 57

〈그림 51〉 모자, Marc Jacobs, 2012 F/W 57

〈그림 52〉 카디건, Gregory Parkinson, 2011 S/S 58

〈그림 53〉 벨트, Emilio Pucci, 2013 F/W 58

〈그림 54〉 팔찌, Blumarine, 2010 F/W 58

〈그림 55〉 얼룩말 패턴이 나타난 실루엣의 비율 61

〈그림 56〉 '스트레이트', Victor Alfaro, 2017 S/S 62

〈그림 57〉 '슬림 앤 바디 컨셔스', Tom Ford, 2014 S/S 62

〈그림 58〉 '핏 앤 플레어', Zuhair Murad, 2017 S/S 62

〈그림 59〉 'A 라인', Saint Laurant, 2013 S/S 64

〈그림 60〉 'Y 라인', Rodarte, 2014 S/S 64

〈그림 61〉 '배럴', Edun, 2012 F/W 64

〈그림 62〉 '머메이드', Ellery, 2017 S/S 66

〈그림 63〉 얼룩말 패턴이 나타난 컬러 비율 68

〈그림 64〉 드레스, Roberto Cavalli, 2015 S/S 69

〈그림 65〉 슈트, Willow, 2011 F/W 69

〈그림 66〉 레깅스, Balmain, 2017 F/W 70

〈그림 67〉 코트, Versace, 2013 F/W 70

〈그림 68〉 드레스, Louis Vuitton, 2011 S/S 71

〈그림 69〉 망토, Veronique Leroy, 2017 F/W 71

〈그림 70〉 무채색 컬러 활용 빈도 72

〈그림 71〉 무채색 컬러비율 73

〈그림 72〉 유채색 컬러비율 73

〈그림 73〉 얼룩말 패턴이 나타난 유채색 분포 74

〈그림 74〉 얼룩말 패턴의 톤 차트 (Tone Chart) 75

〈그림 75〉 얼룩말 패턴의 톤 이미지 (Tone Image) 76

〈그림 76〉 인조 모피 코트, Versace, 2013 F/W 77

〈그림 77〉 가죽 부츠, Jeremy Scott, 2011 S/S 77

〈그림 78〉 시폰 드레스, Bottega Veneta, 2012 S/S 77

〈그림 79〉 얼룩말 패턴의 소재 활용 비율 80

〈그림 80〉 시폰 드레스, Salvatore Ferragamo, 2012 S/S 81

〈그림 81〉 새틴 드레스, Jason Wu, 2014 F/W 81

〈그림 82〉 자카르 슈트, Anthony Vacarello, 2013 S/S 82

〈그림 83〉 태피터 원피스, Giambattista Valli, 2013 F/W 82

〈그림 84〉 가죽 재킷, Dsquared2, 2014 S/S 83

〈그림 85〉 가죽 드레스, Alexandre Vauthier, 2014 F/W 83

〈그림 86〉 가죽 가방, Carven, 2013 F/W 84

〈그림 87〉 퍼 코트, Bcbg Max aAzia, 2013 F/W 84

〈그림 88〉 면 원피스, Mulberry, 2011 S/S 85

〈그림 89〉 면 니트 원피스, Missoni, 2016 S/S 85

〈그림 90〉 울 코트와 원피스, Dkny, 2014 F/W 87

〈그림 91〉 울 니트 탑, Just Cavalli, 2014 F/W 87

〈그림 92〉 폴리에스테르 점퍼, Bouchra Jarrar, 2016 S/S 88

〈그림 93〉 폴리에스테르 바지, Roberto Cavalli, 2016 S/S 88

〈그림 94〉 스팽글 원피스, Saint Laurent, 2015 F/W 89

〈그림 95〉 스팽글 드레스, Farah Fngsana, 2012 F/W 89

〈그림 96〉 양말, Giamba, 2016 S/S 90

〈그림 97〉 원피스, Holly Fulton, 2012 S/S 90

〈그림 98〉 메쉬 원피스, Temperley London, 2013 F/W 91

〈그림 99〉 메탈벨벳 드레스, Temperly London, 2011 S/S 91

〈그림 100〉 얼룩말 패턴이 나타난 디자인의 재질감의 비율 94

〈그림 101〉 블라우스, Rachel Comey, 2010 S/S 95

〈그림 102〉 팬츠, Balmain, 2017 F/W 95

〈그림 103〉 재킷, MCQ, 2013 F/W 96

〈그림 104〉 드레스, Just Cavalli, 2012 S/S 96

〈그림 105〉 미니 원피스, Holly Fulton, 2012 S/S 97

〈그림 106〉 코트, Sacai, 2017 F/W 97

〈그림 107〉 스커트, Just Cavalli, 2015 F/W 101

〈그림 108〉 미니 원피스, Edun, 2012 F/W 101

〈그림 109〉 원피스, Balmain, 2017 F/W 102

〈그림 110〉 미니 원피스, Jeremy Scott, 2013 S/S 102

〈그림 111〉 조끼, Balmain, 2017 F/W 103

〈그림 112〉 재킷과 스커트, Blumarine, 2010 F/W 103

〈그림 113〉 재킷, Emilio Pucci, 2013 F/W 104

〈그림 114〉 점프 슈트, Mulberry, 2012 S/S 104

〈그림 115〉 원피스, Louis Vuitton, 2017 S/S 105

〈그림 116〉 재킷, 탑, 스커트, Veronique Leroy, 2014 S/S 105

〈그림 117〉 표현한 재킷, Trussardi, 2010 S/S 107

〈그림 118〉 탑, Ashish, 2015 F/W 107

〈그림 119〉 얼룩말 패턴을 표현한 공간의 분류 108

〈그림 120〉 드레이프 원피스, Alexander Wang, 2013 F/W 110

〈그림 121〉 롱 탑, Saint Laurant, 2014 F/W 110

〈그림 122〉 언발란스 원피스, Jill Stuart, 2010 S/S 111

〈그림 123〉 미니 원피스, Moncler Gamme Rouge, 2014 S/S 111

〈그림 124〉 슬림 스커트, No.21, 2012 S/S 112

〈그림 125〉 언발란스 원피스, Saint Laurant, 2014 S/S 112

〈그림 126〉 오프 숄더 드레스, Carlos Miele, 2013 S/S 113

〈그림 127〉 슬림 핏 드레스, Etro, 2013 F/W 113

〈그림 128〉 패턴 원피스, Alessandra Rich, 2017 F/W 115

〈그림 129〉 패턴 팬츠 슈트, Giambatista Valli, 2012 S/S 115

〈그림 130〉 시폰 드레스, Michael Kors, 2012 S/S 119

〈그림 131〉 오간자 드레스, Roberto Cavalli, 2011 S/S 119

〈그림 132〉 프린트 코트, Dsquared2, 2012 S/S 122

〈그림 133〉 니트 원피스, Gary Graham, 2011 F/W 122

〈그림 134〉 가죽 원피스, Diesel Black Gold Label, 2011 S/S 124

〈그림 135〉 퍼 코트, Ashish, 2015 F/W 124

〈그림 136〉 스팽글 재킷, Gucci, 2013 S/S 127

〈그림 137〉 스팽글 망사 드레스, Tom Ford, 2013 F/W 127

초록보기

 인류가 가장 먼저 의복으로 사용한 소재는 동물의 가죽으로 알려져 왔다. 동물의 가죽은 현대 패션디자인에 이르기까지 오랫동안 인류의 의복에 다양하게 활용되어 오고 있다. 이 가죽에 나타난 패턴들은 패션디자인에서 애용되었는데, 그 중에도 표범, 얼룩말, 치타, 호랑이, 기린과 같은 동물의 무늬들이 패션 디자인에 자주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애니멀 패턴 중 선행연구가 미진한 얼룩말 패턴을 활용한 현대 패션디자인의 미적특성을 연구하고 자 한다. 연구 방법은 국내외 학술지, 학위 논문과 관련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하여 얼룩말 패턴이 나타난 패션디자인을 분석하여 미적특성을 유추하도록 했다. 연구 범위는 2010년부터 2017년까지 8년간의 vogue.com에 나타난 4대 컬렉션 ready to wear를 참고하였다.

얼룩말 패턴을 활용한 현대 패션디자인을 분석하기 위해 얼룩말 패턴이 사용된 패션디자인의 아이템, 얼룩말 패션디자인의 실루엣, 그 색채 및 색채대비, 소재 및 재질감, 패턴 표현 방법 등 크게 4가지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각 분석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얼룩말 패턴 패션디자인의 아이템을 분석한 결과, 주로 원피스, 블라우스, 탑 종류 등에서 활용되었다. 실루엣은 '스트레이트' 와 '슬림 앤 바디 컨셔스' 실루엣이 가장 많이 표현되었다. 이 실루엣들과 얼룩말 패턴이 동물 고유의 특질을 살리고 거기서 표출되는 강렬하고 육감적인 이미지가 효과적으로 표출되었다.

둘째, 얼룩말 패턴에 활용된 색채로는 흑백 대비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이 배색은 시인도가 가장 높고 모던해 보인다. 나아가 선명한 유채색 컬러와 블랙의 대비도 나타났는데, 얼룩말 패턴을 활용해 반체제적인 반항 이미지로 표출하는데 주로 이용되었다. 이는 도발적인 저항미를 나타내는데 효과적이다.

셋째, 주로 애용된 소재는 실크, 가죽, 퍼 소재 등이 있다. 실크에 표현된 얼룩말 패턴은 관능적이고 여성스러운 아름다움을 연출하는데 자주 활용되었다. 또, 가죽과 퍼는 실용적인 디자인이나 가방, 구두 등에 활용되거나, 거칠게 다듬어져 야성미가 표현되기도 하였다. 얼룩말 패턴이 가장 많이 활용된 재질감으로는, 소프트 재질감과 하드한 재질감이 있다. 이는 대조적인 재질감으로 독특한 조형미를 표현하기도 하였다.

넷째, 얼룩말 패턴 표현 방법으로 표현 기법과 표현 공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표현 기법 중에서는 프린트가 가장 많이 나타나 관능적, 혹은 반항적인 이미지 등 다양한 조형성으로 표현되었다. 비딩 역시 애용되어 얼룩말 패턴이 활용된 디자인이 화려하고 퇴폐적인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데 쓰였다. 표현 공간에서 얼룩말 패턴은 인체의 윗부분에 전면적으로 활용된 사례가 많아, 전체적인 이미지를 결정하는데 많은 영향을 주었다.

위와 같이 분석한 결과, 현대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얼룩말 패턴의 미적특성은 관능미, 저항미, 야성미, 퇴폐미 등으로 도출되었다.

첫 번째, 가장 많이 드러난 미적특성은 관능미이다. 관능미는 성적인 감각을 자극하여 느껴지는 아름다움으로, 인체를 그대로 드러내는 실루엣에 나타났다. 또, 반짝이거나 광택감, 투시성 있는 스팽글 패브릭이나 시폰 등을 이용하여 인체의 곡선이나 피부를 노출하였다. 이는 얼룩말이 동물로써, 특유한 패턴과 인체의 육감적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표현한 결과로 이해된다.

두 번째, 많이 표현된 저항미는 암울한 , 현실에 대한 저항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주로 의상의 형태를 왜곡하거나 모순을 결합, 변형하여 연출되었다. 이는 도발적이고 강렬한 이미지로 활용될 수 있는 재킷 등의 아이템 종류와, 가죽 같은 소재, 아플리케 등의 표현 기법에서 보인다. 얼룩말 패턴에 반체제적인 반항 이미지에 더해 도발적이고 존재감 있게 표현되었다.

세 번째, 그 다음은 야성미가 표출되었다. 자연 그대로 거친 성질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원시시대의 의복형태처럼 다듬어지지 않은 디자인에서 야성미가 느껴졌다. 동물의 털가죽을 그대로 사용한 느낌의 거친 가죽, 모피 소재의 사용도 야성적으로 표현되었다. 또, 얼룩말의 갈기처럼 보이도록 효과를 주는 프린지 같은 표현 기법과 사실적인 배색 등에서도 다수 보이고 있다.

네 번째, 극단적인 성의 모습으로 가시화, 형상화한 퇴폐미도 표출되었다. 가치와 존엄성을 상실하고, 절망한 인간의 모습을 여성의 성적 아름다움과 물신화된 인체로 표현하는 퇴폐미는 얼룩말 패턴이 응용된 디자인에서 주로 신비로운 이미지를 표현하기에 적합한 원피스나 드레스 등의 아이템에서 나타났다. 또, 인체가 드러나는 밀착된 실루엣에서도 보이고 있다. 한편으로, 극적이고 몽환적인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스팽글 패브릭 같은 소재나 프린트와 같은 표현 기법 등을 통해 퇴폐적인 아름다움을 효과적으로 표현되기도 하였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얼룩말 패턴이 현대 패션디자인에 다각도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다의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었다. 이러한 얼룩말 패턴이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패션디자인에 등장할 것으로 예상하며, 이러한 얼룩말 패턴디자인이 창의적 디자인 개발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