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가 가장 먼저 의복으로 사용한 소재는 동물의 가죽으로 알려져 왔다. 동물의 가죽은 현대 패션디자인에 이르기까지 오랫동안 인류의 의복에 다양하게 활용되어 오고 있다. 이 가죽에 나타난 패턴들은 패션디자인에서 애용되었는데, 그 중에도 표범, 얼룩말, 치타, 호랑이, 기린과 같은 동물의 무늬들이 패션 디자인에 자주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애니멀 패턴 중 선행연구가 미진한 얼룩말 패턴을 활용한 현대 패션디자인의 미적특성을 연구하고 자 한다. 연구 방법은 국내외 학술지, 학위 논문과 관련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하여 얼룩말 패턴이 나타난 패션디자인을 분석하여 미적특성을 유추하도록 했다. 연구 범위는 2010년부터 2017년까지 8년간의 vogue.com에 나타난 4대 컬렉션 ready to wear를 참고하였다.
얼룩말 패턴을 활용한 현대 패션디자인을 분석하기 위해 얼룩말 패턴이 사용된 패션디자인의 아이템, 얼룩말 패션디자인의 실루엣, 그 색채 및 색채대비, 소재 및 재질감, 패턴 표현 방법 등 크게 4가지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각 분석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얼룩말 패턴 패션디자인의 아이템을 분석한 결과, 주로 원피스, 블라우스, 탑 종류 등에서 활용되었다. 실루엣은 '스트레이트' 와 '슬림 앤 바디 컨셔스' 실루엣이 가장 많이 표현되었다. 이 실루엣들과 얼룩말 패턴이 동물 고유의 특질을 살리고 거기서 표출되는 강렬하고 육감적인 이미지가 효과적으로 표출되었다.
둘째, 얼룩말 패턴에 활용된 색채로는 흑백 대비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이 배색은 시인도가 가장 높고 모던해 보인다. 나아가 선명한 유채색 컬러와 블랙의 대비도 나타났는데, 얼룩말 패턴을 활용해 반체제적인 반항 이미지로 표출하는데 주로 이용되었다. 이는 도발적인 저항미를 나타내는데 효과적이다.
셋째, 주로 애용된 소재는 실크, 가죽, 퍼 소재 등이 있다. 실크에 표현된 얼룩말 패턴은 관능적이고 여성스러운 아름다움을 연출하는데 자주 활용되었다. 또, 가죽과 퍼는 실용적인 디자인이나 가방, 구두 등에 활용되거나, 거칠게 다듬어져 야성미가 표현되기도 하였다. 얼룩말 패턴이 가장 많이 활용된 재질감으로는, 소프트 재질감과 하드한 재질감이 있다. 이는 대조적인 재질감으로 독특한 조형미를 표현하기도 하였다.
넷째, 얼룩말 패턴 표현 방법으로 표현 기법과 표현 공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표현 기법 중에서는 프린트가 가장 많이 나타나 관능적, 혹은 반항적인 이미지 등 다양한 조형성으로 표현되었다. 비딩 역시 애용되어 얼룩말 패턴이 활용된 디자인이 화려하고 퇴폐적인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데 쓰였다. 표현 공간에서 얼룩말 패턴은 인체의 윗부분에 전면적으로 활용된 사례가 많아, 전체적인 이미지를 결정하는데 많은 영향을 주었다.
위와 같이 분석한 결과, 현대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얼룩말 패턴의 미적특성은 관능미, 저항미, 야성미, 퇴폐미 등으로 도출되었다.
첫 번째, 가장 많이 드러난 미적특성은 관능미이다. 관능미는 성적인 감각을 자극하여 느껴지는 아름다움으로, 인체를 그대로 드러내는 실루엣에 나타났다. 또, 반짝이거나 광택감, 투시성 있는 스팽글 패브릭이나 시폰 등을 이용하여 인체의 곡선이나 피부를 노출하였다. 이는 얼룩말이 동물로써, 특유한 패턴과 인체의 육감적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표현한 결과로 이해된다.
두 번째, 많이 표현된 저항미는 암울한 , 현실에 대한 저항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주로 의상의 형태를 왜곡하거나 모순을 결합, 변형하여 연출되었다. 이는 도발적이고 강렬한 이미지로 활용될 수 있는 재킷 등의 아이템 종류와, 가죽 같은 소재, 아플리케 등의 표현 기법에서 보인다. 얼룩말 패턴에 반체제적인 반항 이미지에 더해 도발적이고 존재감 있게 표현되었다.
세 번째, 그 다음은 야성미가 표출되었다. 자연 그대로 거친 성질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원시시대의 의복형태처럼 다듬어지지 않은 디자인에서 야성미가 느껴졌다. 동물의 털가죽을 그대로 사용한 느낌의 거친 가죽, 모피 소재의 사용도 야성적으로 표현되었다. 또, 얼룩말의 갈기처럼 보이도록 효과를 주는 프린지 같은 표현 기법과 사실적인 배색 등에서도 다수 보이고 있다.
네 번째, 극단적인 성의 모습으로 가시화, 형상화한 퇴폐미도 표출되었다. 가치와 존엄성을 상실하고, 절망한 인간의 모습을 여성의 성적 아름다움과 물신화된 인체로 표현하는 퇴폐미는 얼룩말 패턴이 응용된 디자인에서 주로 신비로운 이미지를 표현하기에 적합한 원피스나 드레스 등의 아이템에서 나타났다. 또, 인체가 드러나는 밀착된 실루엣에서도 보이고 있다. 한편으로, 극적이고 몽환적인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스팽글 패브릭 같은 소재나 프린트와 같은 표현 기법 등을 통해 퇴폐적인 아름다움을 효과적으로 표현되기도 하였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얼룩말 패턴이 현대 패션디자인에 다각도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다의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었다. 이러한 얼룩말 패턴이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패션디자인에 등장할 것으로 예상하며, 이러한 얼룩말 패턴디자인이 창의적 디자인 개발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