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문 12
I. 서론 15
1. 연구배경 및 목적 15
2. 연구내용 및 범위 18
II. 문헌 고찰 19
1. 도랑정책 동향 및 사례 분석 19
1.1. 도랑정책 동향 19
1.2. 도랑정책 사례 20
1.3. 도랑정책에 대한 고찰 22
2. 도랑연구 동향 및 사례 분석 23
2.1. 도랑연구 동향 23
2.2. 국내 도랑연구 사례 26
2.3. 국외 도랑연구 사례 33
2.4. 도랑연구에 대한 고찰 35
3. 도랑 평가지표 연구 37
3.1. 기존 평가지표 사례 37
3.2. 기존 평가지표에 대한 고찰 49
III. 연구 방법 50
1. 조사도랑 선정방법 50
1.1. 공간정보 분석 50
1.2. 실태조사표 개발 51
2. 평가항목 구성 및 평가지표 개발 54
2.1. 평가항목 구성 54
2.2. 평가지표 개발 56
3. AHP 분석 57
3.1. AHP 분석 활용 57
3.2. AHP 설문조사표 개발 58
IV. 연구 결과 및 고찰 63
1. 시범도랑 선정 및 분포현황 63
2. 평가지표 적용결과 71
2.1. AHP 조사 결과 71
2.2. AHP 적용 결과 74
2.3. 실태조사 대상 도랑선정 결과 76
3. 선정 도랑의 특성 78
3.1. 인접형태별 도랑 분포 비율 78
3.2. 유형별 도랑 분포 비율 80
3.3. 유형별 도랑 특성 82
4. 마을형 도랑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 124
4.1. 마을형 도랑 AHP 개발 및 적용 124
4.2. 기존 AHP 및 마을형 AHP 경향성 검토 133
4.3. 마을형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 140
5. 마을형 도랑복원 및 사후관리 143
5.1. 마을형 도랑복원 목적 143
5.2. 기능에 따른 복원 방법 143
5.3. 사후관리 145
V. 결론 및 제언 147
결론 147
제언 151
참고문헌 153
ABSTRACT 157
부록 161
Table 1. 시대별 물관리정책 구분 17
Table 2. 도랑연구 동향 25
Table 3. 도랑연구 사례 32
Table 4. 낙동강유역 마을도랑 오염 실태조사의 평가항목 38
Table 5. 낙동강유역 마을도랑 오염 실태조사의 점수에 따른 우선순위 38
Table 6. 금강수계 도랑복원 표준모델 개발 및 사후관리 방안의 평가항목 40
Table 7. 도랑의 생태환경성 평가지표 개발의 평가항목 42
Table 8. 마을하천복원을 위한 우선순위 선정방법의 평가부문 44
Table 9. 마을하천복원을 위한 우선순위 선정방법의 평가부문 및 평가항목 46
Table 10. 새만금유역 도랑살리기 기본계획 수립의 평가부문 및 평가항목 48
Table 11. 평가부문 및 평가항목 55
Table 12. 평가항목 및 평가점수 56
Table 13. 부문간 평가 양식 59
Table 14. 수질현황 양식 60
Table 15. 도랑현황 양식 60
Table 16. 도랑자연성 양식 60
Table 17. 주민참여도 양식 61
Table 18. 유역에 따른 권역 63
Table 19. 지역별 도랑수 및 총 연장 70
Table 20. 부문별 가중치 71
Table 21. 수질현황 항목별 가중치 72
Table 22. 도랑현황 항목별 가중치 72
Table 23. 도랑자연성 항목별 가중치 73
Table 24. 주민참여도 항목별 가중치 73
Table 25. 종합가중치에 따른 순위 75
Table 26. 지역별 실태조사 도랑 수 77
Table 27. 인접형태별 분포 비율 78
Table 28. 유형별 분포 비율 80
Table 29. 유형별 유속 82
Table 30. 유형별 수심 85
Table 31. 유형별 SS 농도 88
Table 32. 유형별 BOD 농도 91
Table 33. 유형별 T-P 농도 94
Table 34. 유형별 인공구조물 97
Table 35. 유형별 수변식생상태 100
Table 36. 유형별 상수원 이격거리 103
Table 37. 유형별 마을 리더의 적극성 106
Table 38. 유형별 주민참여 의지 109
Table 39. 협의체 구성상황 112
Table 40. 유형별 타 사업 수행여부 115
Table 41. 유형별 행정지원 118
Table 42. 도랑주변 가구수 121
Table 43. 부문별 가중치 126
Table 44. 수질현황 항목별 가중치 127
Table 45. 도랑현황 항목별 가중치 127
Table 46. 도랑자연성 항목별 가중치 128
Table 47. 주민참여도 항목별 가중치 128
Table 48. 종합가중치에 따른 AHP 순위 130
Table 49. 종합가중치에 따른 AHP 점수 및 순위 132
Table 50. 종합가중치에 따른 마을형 평가지표 선정 141
Table 51. 종합가중치에 따른 마을형 평가지표 점수 및 순위 142
Fig. 1. Procedure of study. 18
Fig. 2. Contents of the survey in this study. 53
Fig. 3. 6 basin boundary. 64
Fig. 4. Anseong stream basin. 64
Fig. 5. Downstream of Paldang dam basin. 65
Fig. 6. Hantan river basin. 65
Fig. 7. Imjin river basin. 66
Fig. 8. The west coast of the river basin. 66
Fig. 9. Upstream of Paldang dam basin. 67
Fig. 10. BOD distribution of stream in Gyeonggi do (More than 3 ㎎/L). 68
Fig. 11. Selection process of ditch. 76
Fig. 12. Number of ditchs in each Village. 79
Fig. 13. Number of ditchs in each type. 81
Fig. 14. Flow rate (village). 83
Fig. 15. Flow rate (Farmland). 83
Fig. 16. Flow rate (Mountain). 84
Fig. 17. Depth of water (Village). 86
Fig. 18. Depth of water (Farmland). 86
Fig. 19. Depth of water (Mountain). 87
Fig. 20. SS (Village). 89
Fig. 21. SS (Farmland). 89
Fig. 22. SS (Mountain). 90
Fig. 23. BOD (Village). 92
Fig. 24. BOD (Farmland). 92
Fig. 25. BOD (Mountain). 93
Fig. 26. T-P (Village). 95
Fig. 27. T-P (Farmland). 95
Fig. 28. T-P (Mountain). 96
Fig. 29. Artificial structures (Village). 98
Fig. 30. Artificial structures (Farmland). 98
Fig. 31. Artificial structures (Mountain). 99
Fig. 32. Waterside vegetation condition (Village). 101
Fig. 33. Waterside vegetation condition (Farmland). 101
Fig. 34. Waterside vegetation condition (Mountain). 102
Fig. 35. Distance of water source (Village). 104
Fig. 36. Distance of water source (Farmland). 104
Fig. 37. Distance of water source (Mountain). 105
Fig. 38. Activeness of village leaders (Village). 107
Fig. 39. Activeness of village leaders (Farmland). 107
Fig. 40. Activeness of village leaders (Mountain). 108
Fig. 41. Willingness to participate (Village). 110
Fig. 42. Willingness to participate (Farmland). 110
Fig. 43. Willingness to participate (Mountain). 111
Fig. 44. Council structure (Village). 113
Fig. 45. Council structure (Farmland). 113
Fig. 46. Council structure (Mountain). 114
Fig. 47. Conducting other business (Village). 116
Fig. 48. Conducting other business (Farmland). 116
Fig. 49. Conducting other business (Mountain). 117
Fig. 50. Administrative support (Village). 119
Fig. 51. Administrative support (Farmland). 119
Fig. 52. Administrative support (Mountain). 120
Fig. 53. Number of houses (Farmland). 122
Fig. 54. Number of houses (Farmland). 122
Fig. 55. Number of houses (Mountain). 123
Fig. 56. Significance review (BOD). 133
Fig. 57. Significance review (T-P). 133
Fig. 58. Significance review (Flow rate). 134
Fig. 59. Significance review (Depth of water). 134
Fig. 60. Significance review (Distance of water source). 135
Fig. 61. Significance review (Artificial structures). 135
Fig. 62. Significance review (Waterside vegetation condition). 136
Fig. 63. Significance review (Activeness of village leaders). 136
Fig. 64. Significance review (Willingness to participate). 137
Fig. 65. Significance review (Council structure). 137
Fig. 66. Significance review (Conducting other business). 138
Fig. 67. Significance review (Administrative support). 138
Fig. 68. Significance review (Number of houses). 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