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여성운동 단체를 중심으로 1920년대 목포 여성운동의 전개 과정과 주도 인물을 분석한 것이다.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외일보』 등 당대의 신문 기사를 바탕으로 목포에서 발간된 『목포지』, 『목포부사』 등의 지방지와 판결문, 총독부 자료를 비교 분석했다. 세부적인 연구 방향은 크게 세 가지로 구성했다. 첫째, 목포 여성운동의 사회적 배경이다. 여성교육과 독립만세운동 사례를 통해 목포 여성운동의 사회적 배경을 살폈다. 둘째, 목포 여성운동 단체의 설립과 활동이다. 목포지역에 설립된 여성단체를 정리한 뒤 주요 단체인 목포여자수양회, 목포여자청년회, 근우회 목포지회의 설립과정과 활동을 중점적으로 살폈다. 셋째, 목포 여성운동의 주도 인물과 사회상이다. 목포 여성운동을 주도했던 인물을 파악하여 활동상과 특징을 살핀 뒤, 1920년대 목포에서 발생한 주요 사건을 통해 여성운동의 영향력을 분석했다. 연구성과를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문기록 등 사료를 바탕으로 1920년대 목포지역에서 조직된 여성운동 단체를 정리했다. 신문기록을 바탕으로 1920년대 목포지역에 설립된 여성단체를 정리한 뒤, 각 단체의 명칭과 성격을 총괄표로 제시했다. 목포여자수양회와 같이 이칭이 다수 존재하는 경우 근거 자료를 제시하여 해당 단체가 같은 단체를 지칭한 사실을 확인했다.
둘째, 1920년대 목포 여성운동 단체의 활동상을 상세히 분석했다. 본 연구는 신문 자료를 바탕으로 주요 여성단체인 목포여자수양회, 목포여자청년회, 근우회 목포지회의 활동을 정리하여 1920년대 목포지역 여성단체들의 활동 양상을 파악했다. 특히 기존 연구성과에서 조명을 받지 못한 목포여자수양회, 목포여자청년회의 활동 양상을 분석해 두 단체가 여성운동과 더불어 범사회적 활동을 활발히 전개했음을 밝혀냈다.
셋째, 목포지역 여성운동의 주도 인물 46명의 성명과 활동상을 도표로 정리했다. 신문 자료를 바탕으로 목포 여성운동을 주도했던 여성 인물 46명의 성명과 활동상을 간략히 제시했다. 이후 각 단체를 주도한 임원진을 도표로 정리해 제시해 주요 인물의 활동상과 출신학교, 독립운동 관련자, 직업, 출신지 이력을 통해 주도 인물의 특징을 분석했다. 위와 같은 사실을 통해 목포지역 여성운동을 주도한 여성들의 등장이 목포의 지역성과 맞물려 있음을 밝혀냈다.
넷째, 1920년대 목포에서 발생한 주요 사건을 통해 여성운동이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을 살폈다. 1920년대 주요 사건이었던 정명여학교 동맹휴교와 제유노조 파업, 직포공장 파업 사례를 통해 여성운동이 목포지역에 미친 영향력을 분석했다. 또한, 『호남평론』에 게재된 여성들의 기록을 통해 1930년대 지역 여성들의 의식성장을 확인했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1920년대 목포 사회상에서 드러난 여성운동 성격의 사례와 여성운동 단체의 활동이 삼화고무공장 여공 파업과 같은 1930년대 여성운동의 기반이 되었을 것으로 보았다.
본 논문은 1920년대 목포의 여성운동을 여성운동 단체와 주요 사건을 중심으로 지역 여성운동을 정리한 최초의 개별 연구 사례라는 의미가 있다. 또한, 근대 지방사와 여성사의 관점에서 목포지역 여성운동의 흐름과 주도 인물 분석을 시도했다는 면에서 연구사적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