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9
1. 서론 11
가.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1
나. 선행연구검토 12
1) 섬지역 활성화 연구 13
2) 지질공원을 활용한 지역 활성화 연구 14
3) 연구의 차별성 14
다.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7
1) 연구의 범위 17
2) 연구방법 19
2. 지질공원의 특성과 필요성 20
가. 지질자원 및 지질공원 20
1) 지질자원 및 지질공원의 정의 20
2) 지질공원의 특성 및 필요성 20
3) 지질공원 인증조건 22
4) 지질공원 현황 23
나. 국내·외 섬 지질공원의 운영 특성 25
1) 섬지역 국내사례 25
2) 섬지역 국외사례 33
3) 소결 38
3. 사례현황 및 조사분석 39
가. 사례지역 개요 39
1) 만재도 연혁 39
2) 만재도 기후 39
나. 사례지역의 자원현황 40
1) 만재도 지형·지질 자원 40
2) 만재도의 자연자원 42
3) 만재도의 생태자원 44
다. 조사설계 44
1) 조사 대상 44
2) 조사 내용과 분석방법 45
라. 조사분석 결과 46
1) 인구통계학적 특성 46
2) 국가지질공원 지정에 대한 인지도 47
3) 국가지질공원의 지역발전 기여도 48
4) 국가지질공원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한 추진사항 49
5) 지역별 비교 분석 49
6) 분석의 종합 55
4. 지질자원을 통한 지역 활성화 방안 57
가. 만재도의 국가지질공원 지정 필요성 57
1) 만재도 자원 보존과 이용의 조화 57
2) 지역 이미지 향상을 통한 관광 증대 57
3) 지역 경제 활성화 58
나. 국가지질공원 지정을 위한 여건 58
1) 만재도의 다양한 지질사이트 발굴 58
2) 관리 및 운영 인프라 59
3) 지질자원에 대한 교육 60
4) 지속가능한 지역 경제 발전 60
다. 국가지질공원 지정을 통한 기대효과 61
1) 섬지역 브랜드 가치 제고 61
2) 지속가능한 섬 관광 활성화 61
라. 소결 62
5. 결론 63
6. 제언 및 향후과제 65
참고문헌 67
부록 71
Abstract 74
〈표 1〉 선행연구 개요 14
〈표 2〉 국립공원·생물권보전지역·지질공원의 주요 특성 비교 21
〈표 3〉 국가지질공원 인증조건 22
〈표 4〉 섬지역 국내사례 개요 25
〈표 5〉 제주도 지오브랜드 현황 31
〈표 6〉 섬지역 국외사례 개요 34
〈표 7〉 2020년 흑산도 기후 40
〈표 8〉 2020년 신안군 흑산도 월별 강수량 40
〈표 9〉 만재도의 지질명소 41
〈표 10〉 설문의 구성과 내용 46
〈표 11〉 인구통계학적 특성 47
〈표 12〉 국가지질공원 지정 인지도 48
〈표 13〉 국가지질공원이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질문 48
〈표 14〉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한 추진사항 49
〈그림 1〉 만재도 지리적 위치 18
〈그림 2〉 지질공원의 개념 21
〈그림 3〉 2021년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분포현황 24
〈그림 4〉 국내 국가지질공원 현황 25
〈그림 5〉 백령·대청 지질공원 지질명소 맵 27
〈그림 6〉 백령·대청(소청)도 지질명소 29
〈그림 7〉 울릉도 국가지질공원 대표명소 30
〈그림 8〉 제주도 세계지질공원 31
〈그림 9〉 운젠 산 및 주변 온천지 36
〈그림 10〉 대만 예류지질공원, 여왕머리바위 37
〈그림 11〉 만재도 지질도 및 주상절리 위치 40
〈그림 12〉 만재도 등고선 도면 43
〈그림 13〉 만재도 돌담길, 마구산 능선 43
〈그림 14〉 상록활엽수림군락 44
〈그림 15〉 설문자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연령대) 50
〈그림 16〉 설문자 인구통계학적특성(직업, 거주기간) 51
〈그림 17〉 국가지질공원 인지도 52
〈그림 18〉 국가지질공원 지역발전 기여도 53
〈그림 19〉 국가지질공원 지역발전 기여도(2) 54
〈그림 20〉 국가지질공원 운영시 중점 추진사항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