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초록 11

1. 서론 13

가. 연구 배경 및 목적 13

나. 연구 범위 및 방법 15

2. 이론적 고찰 17

가. 건설현장 안전관리 17

1) 안전관리 개념 17

2) 건설현장 안전관리 특징 17

3) 건설현장 안전관리 중요성 23

나. 건설현장 위험유발요인 25

1) 건설현장 위험의 개념 25

2) 건설현장 산업재해 현황 29

3) 2020년 건설업 사망사고 현황 32

다. 건설안전 관리시스템 35

1) 건설안전 관리시스템 개념 35

2) 건설안전관리시스템 세부사항 36

라. 조직 신뢰와 이직의도 38

1) 조직신뢰 38

2) 이직의도 40

마. 선행연구 42

1) 건설안전 일반 선행연구 42

2) 연구자의 선행연구 44

3) 조직 신뢰에 관한 선행연구 46

4) 이직의도에 관한 선행연구 48

5) 연구자의 선행연구와 기존 연구자의 선행연구 차별성 49

6) 소결 50

3. 건설안전 관련 요인별 구성 및 영향요인 52

가. 위험유발요인의 구성요인 52

나. 건설안전 관리시스템의 구성요인 55

다. 조직신뢰의 영향요인 57

라. 이직의도의 영향요인 61

1) 직무 관련 요인 61

2) 개인특성 요인 62

3) 외부환경 요인 62

마. 설문조사 항목과의 연관 관계 66

바. 소결 71

4. 연구 모형(RSOT MODEL) 및 가설설정 73

가. RSOT MODEL 개념 및 조작적 정의 73

1) RSOT MODEL 개념 73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73

나. ROST MODEL 변인 설계 및 가설설정 76

1) 연구모형(RSOT MODEL) 76

2) RSOT MODEL-변인 설계 76

3) 가설설정 78

다. ROST MODEL-분석방법 80

1) 통계자료의 분석방법 80

라. 소결 82

5. 설문조사 및 상관관계 분석 83

가. 조사 및 측정 항목 83

1) 설문개요 83

2) 설문대상 85

3) 설문항목 87

나. 설문분석결과 신뢰도 및 상관관계 분석 92

1) 대상자의 타당도와 신뢰도 상관관계 92

2) 위험유발 요인 92

3) 건설안전관리시스템 95

4) 조직신뢰와 이직의도 97

다. 변인 요인의 인식 차이 분석 101

1) 위험유발요인 101

2) 건설안전 관리시스템 104

3) 조직신뢰 107

4) 이직의도 108

라. 연구 변인 상관관계 분석 110

1) 연구 변인 간의 관련성 110

2) 상관관계 분석결과 110

마. 소결 113

6. 연구 검증결과 115

가. 연구모형 검증결과 115

나. 연구가설 검증의 방향성 116

다. 연구가설의 설정 방법 116

라. 연구가설의 검증결과 117

1) 위험유발요인 vs 조직신뢰(가설1) 117

2) 건설안전관리시스템 vs 조직신뢰(가설2) 118

3) 조직신뢰 vs 이직의도(가설3) 120

4) 위험유발요인 vs 이직의도(가설4) 121

5) 건설안전관리시스템 vs 이직의도(가설5) 122

6) 위험유발 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조직신뢰의 매개 효과 검증(가설 6) 124

7) 건설안전관리시스템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조직신뢰의 매개 효과 검증(가설 7) 125

8) 연구모형을 통한 연구가설 검증결과 요약 127

마. 소결 129

7. 결론 131

가. 연구 결론 131

나. 논점 및 향후 연구 방향 134

참고문헌 136

Abstract 146

부록. 설문지 150

표목차

〈Table 2.1〉 소규모 건설현장의 안전 관련 법규 내용(건설산업기본법) 20

〈Table 2.2〉 소규모 건설현장의 안전 관련 법규 내용(건설산업기본법) 22

〈Table 2.3〉 산업별 재해자 현황 31

〈Table 2.4〉 2020년 총괄, 금액별 사망사고 만인율 32

〈Table 2.5〉 2020년 재해유형별 사망자 수 33

〈Table 2.6〉 2020년 나이별 사망자 수 33

〈Table 3.1〉 조직신뢰의 유형 58

〈Table 3.2〉 요인별 구성항목과 설문조사항목 67

〈Table 4.1〉 변수의 조작적 정의 73

〈Table 5.1〉 설문조사 내용 85

〈Table 5.2〉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86

〈Table 5.3〉 위험유발 요인 측정 항목 87

〈Table 5.4〉 건설안전관리시스템 측정 항목 89

〈Table 5.5〉 조직신뢰 측정 항목 90

〈Table 5.6〉 이직의도 측정 항목 91

〈Table 5.7〉 건설현장에서의 위험유발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 94

〈Table 5.8〉 건설안전관리시스템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 97

〈Table 5.9〉 조직신뢰와 이직의도 측정 항목의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 98

〈Table 5.10〉 연구 변인의 기술 통계량 100

〈Table 5.11〉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건설현장 위험유발 요인에 대한 인식 차이 101

〈Table 5.12〉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건설안전관리시스템에 대한 인식 차이 105

〈Table 5.13〉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조직신뢰 차이 107

〈Table 5.14〉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 인식차이 108

〈Table 5.15〉 연구 변인 간의 상관관계 112

〈Table 6.1〉 건설현장 위험유발 요인이 조직신뢰에 미치는 검증결과 118

〈Table 6.2〉 건설안전관리시스템이 조직신뢰에 미치는 검증결과 119

〈Table 6.3〉 조직신뢰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검증결과 121

〈Table 6.4〉 건설현장 위험유발 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검증결과 122

〈Table 6.5〉 건설안전관리시스템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검증결과 123

〈Table 6.6〉 위험유발 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조직신뢰의 매개 효과 결과 124

〈Table 6.7〉 건설안전관리시스템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조직신뢰의 매개 효과 결과 126

〈Table 6.8〉 연구가설 검증결과 요약 127

그림목차

〈Fig. 1.1〉 연구방법의 프로세스 16

〈Fig. 2.1〉 건설현장 위험 발생의 연쇄 상관성. 27

〈Fig. 2.2〉 버드의 재해 연쇄이론 28

〈Fig. 2.3〉 우리나라 산업재해자수 및 산업재해율 추이 30

〈Fig. 2.4〉 산업별 산업재해 현황도 31

〈Fig. 4.1〉 연구모형(RSOT)의 모델 개념도 77

〈Fig. 6.1〉 연구모형 검증 결과(표준화 계수) 115

초록보기

본 연구는 건설현장의 위험유발요인과 건설안전관리시스템, 건설근로자의 조직신뢰와 이직의도 간의 효과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충청도 건설현장 근로자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SPSS 26.0 프로그램과 AMO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위험유발요인이 건설현장 근로자의 조직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건설현장의 위험유발요인 중 조직 문화적 요인과 제도적 요인이 조직 신뢰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사의 건설안전관리시스템이 근로자의 조직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회사의 건설안전관리시스템 요인 중 관리감독자의 역량, 사내안전관리, 건설 재해평가가 조직 신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근로자의 조직신뢰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조직에 대한 근로자의 신뢰는 이직의도에 유의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위험유발요인이 건설현장 근로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로 건설현장의 위험유발요인 중 조직 문화적 요인과 제도적 요인이 이직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회사의 건설안전관리시스템이 근로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회사의 건설안전관리시스템 요인 중 관리감독자의 역량과 건설안전 교육이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위험유발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조직문화 요인과 제도적 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매개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건설안전관리시스템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직신뢰의 매개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관리감독자의 역량, 사내안전관리, 건설 재해평가의 영향 측면에서 매개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건설근로자들이 건설현장에서 위험요인을 심각하게 받아들이면 조직에 대한 신뢰를 잃게 되고 궁극적으로 이직을 고려하게 되며, 그중 일부는 결국 이직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 반대로, 건설현장 근로자들이 회사의 건설안전관리시스템이 잘 조직되어 있다고 느끼면 근로자들이 조직에 대한 신뢰를 높이고 궁극적으로 이직률을 낮추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조직문화가 위험유발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조직문화의 의사결정과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세우고 선행연구를 실증분석하였으며, 본 논문의 기대효과로는 건설현장에서의 많은 요인 중에 그 요인들을 실증적 분석으로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위험유발요인들이 현장 안전관리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건설안전관리시스템도 종사자들이 실제로 도움이 되도록 시스템을 적용하고, 이를 통하여 조직에 대한 신뢰와 현장을 떠나는 이직 현상도 줄어드는 기대효과가 클 것으로 확신하며 이에 본 연구를 전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