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초록 11
1. 서론 13
가. 연구 배경 및 목적 13
나. 연구 범위 및 방법 15
2. 이론적 고찰 17
가. 건설현장 안전관리 17
1) 안전관리 개념 17
2) 건설현장 안전관리 특징 17
3) 건설현장 안전관리 중요성 23
나. 건설현장 위험유발요인 25
1) 건설현장 위험의 개념 25
2) 건설현장 산업재해 현황 29
3) 2020년 건설업 사망사고 현황 32
다. 건설안전 관리시스템 35
1) 건설안전 관리시스템 개념 35
2) 건설안전관리시스템 세부사항 36
라. 조직 신뢰와 이직의도 38
1) 조직신뢰 38
2) 이직의도 40
마. 선행연구 42
1) 건설안전 일반 선행연구 42
2) 연구자의 선행연구 44
3) 조직 신뢰에 관한 선행연구 46
4) 이직의도에 관한 선행연구 48
5) 연구자의 선행연구와 기존 연구자의 선행연구 차별성 49
6) 소결 50
3. 건설안전 관련 요인별 구성 및 영향요인 52
가. 위험유발요인의 구성요인 52
나. 건설안전 관리시스템의 구성요인 55
다. 조직신뢰의 영향요인 57
라. 이직의도의 영향요인 61
1) 직무 관련 요인 61
2) 개인특성 요인 62
3) 외부환경 요인 62
마. 설문조사 항목과의 연관 관계 66
바. 소결 71
4. 연구 모형(RSOT MODEL) 및 가설설정 73
가. RSOT MODEL 개념 및 조작적 정의 73
1) RSOT MODEL 개념 73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73
나. ROST MODEL 변인 설계 및 가설설정 76
1) 연구모형(RSOT MODEL) 76
2) RSOT MODEL-변인 설계 76
3) 가설설정 78
다. ROST MODEL-분석방법 80
1) 통계자료의 분석방법 80
라. 소결 82
5. 설문조사 및 상관관계 분석 83
가. 조사 및 측정 항목 83
1) 설문개요 83
2) 설문대상 85
3) 설문항목 87
나. 설문분석결과 신뢰도 및 상관관계 분석 92
1) 대상자의 타당도와 신뢰도 상관관계 92
2) 위험유발 요인 92
3) 건설안전관리시스템 95
4) 조직신뢰와 이직의도 97
다. 변인 요인의 인식 차이 분석 101
1) 위험유발요인 101
2) 건설안전 관리시스템 104
3) 조직신뢰 107
4) 이직의도 108
라. 연구 변인 상관관계 분석 110
1) 연구 변인 간의 관련성 110
2) 상관관계 분석결과 110
마. 소결 113
6. 연구 검증결과 115
가. 연구모형 검증결과 115
나. 연구가설 검증의 방향성 116
다. 연구가설의 설정 방법 116
라. 연구가설의 검증결과 117
1) 위험유발요인 vs 조직신뢰(가설1) 117
2) 건설안전관리시스템 vs 조직신뢰(가설2) 118
3) 조직신뢰 vs 이직의도(가설3) 120
4) 위험유발요인 vs 이직의도(가설4) 121
5) 건설안전관리시스템 vs 이직의도(가설5) 122
6) 위험유발 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조직신뢰의 매개 효과 검증(가설 6) 124
7) 건설안전관리시스템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조직신뢰의 매개 효과 검증(가설 7) 125
8) 연구모형을 통한 연구가설 검증결과 요약 127
마. 소결 129
7. 결론 131
가. 연구 결론 131
나. 논점 및 향후 연구 방향 134
참고문헌 136
Abstract 146
부록. 설문지 150
〈Table 2.1〉 소규모 건설현장의 안전 관련 법규 내용(건설산업기본법) 20
〈Table 2.2〉 소규모 건설현장의 안전 관련 법규 내용(건설산업기본법) 22
〈Table 2.3〉 산업별 재해자 현황 31
〈Table 2.4〉 2020년 총괄, 금액별 사망사고 만인율 32
〈Table 2.5〉 2020년 재해유형별 사망자 수 33
〈Table 2.6〉 2020년 나이별 사망자 수 33
〈Table 3.1〉 조직신뢰의 유형 58
〈Table 3.2〉 요인별 구성항목과 설문조사항목 67
〈Table 4.1〉 변수의 조작적 정의 73
〈Table 5.1〉 설문조사 내용 85
〈Table 5.2〉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86
〈Table 5.3〉 위험유발 요인 측정 항목 87
〈Table 5.4〉 건설안전관리시스템 측정 항목 89
〈Table 5.5〉 조직신뢰 측정 항목 90
〈Table 5.6〉 이직의도 측정 항목 91
〈Table 5.7〉 건설현장에서의 위험유발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 94
〈Table 5.8〉 건설안전관리시스템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 97
〈Table 5.9〉 조직신뢰와 이직의도 측정 항목의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 98
〈Table 5.10〉 연구 변인의 기술 통계량 100
〈Table 5.11〉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건설현장 위험유발 요인에 대한 인식 차이 101
〈Table 5.12〉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건설안전관리시스템에 대한 인식 차이 105
〈Table 5.13〉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조직신뢰 차이 107
〈Table 5.14〉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 인식차이 108
〈Table 5.15〉 연구 변인 간의 상관관계 112
〈Table 6.1〉 건설현장 위험유발 요인이 조직신뢰에 미치는 검증결과 118
〈Table 6.2〉 건설안전관리시스템이 조직신뢰에 미치는 검증결과 119
〈Table 6.3〉 조직신뢰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검증결과 121
〈Table 6.4〉 건설현장 위험유발 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검증결과 122
〈Table 6.5〉 건설안전관리시스템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검증결과 123
〈Table 6.6〉 위험유발 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조직신뢰의 매개 효과 결과 124
〈Table 6.7〉 건설안전관리시스템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조직신뢰의 매개 효과 결과 126
〈Table 6.8〉 연구가설 검증결과 요약 127
〈Fig. 1.1〉 연구방법의 프로세스 16
〈Fig. 2.1〉 건설현장 위험 발생의 연쇄 상관성. 27
〈Fig. 2.2〉 버드의 재해 연쇄이론 28
〈Fig. 2.3〉 우리나라 산업재해자수 및 산업재해율 추이 30
〈Fig. 2.4〉 산업별 산업재해 현황도 31
〈Fig. 4.1〉 연구모형(RSOT)의 모델 개념도 77
〈Fig. 6.1〉 연구모형 검증 결과(표준화 계수) 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