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토양환경보전법(1996)에 의해 농경지의 중금속 함량에 대한 토양오염 우려 및 대책기준과 2000년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에 따른 쌀의 카드뮴 함량의 허용기준 0.2 mg/kg의 설정으로 인하여 우리나라 논토양과 이들 포장에서 생산되는 쌀의 중금속 함량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농촌진흥청은 전국 도 농업기술원과 공동으로 전국 논토양의 중금속 함량의 현황과 장기적인 변화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9년부터 4년 1주기로 모니터링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3주기의 조사 결과를 검토하였다. 2007년에 조사한 전국 논토양 2,010 지점의 비소, 카드뮴, 구리, 니켈, 납, 아연의 평균함량은 각각 0.87, 0.08, 3.33, 1.19, 4.95 and 4.67 mg kg-1이었고, 조사 논토양의 몇 지점을 제외하고는 토양오염 우려기준을 초과하지 않았다. 비소의 경우 2003년 및 2007년 조사에서 니켈의 경우 1999년과 2007년 조사에서 토양오염 우려기준 초과지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기적인 변화에서는 비소, 니켈, 아연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카드뮴과 구리의 함량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납의 함량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토양내 침출성 중금속의 함량별 분포양상은 중금속별로 최빈수가 토양내 평균함량과 유사하였다. 구리를 제외한 모든 논토양의 중금속 함량의 평균값이 중간값보다 높음으로 논토양의 중금속이 정규분포보다 하향으로 편중된 분포를 보였다.

There is an increasing concern over heavy metal contamination of paddy soils and the subsequent translocation of heavy metals to rice. Objective is to monitor the status and long-term trend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paddy soils, periodically. In 2007 survey,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As(arsenic), Cd(cadmium), Cu(copper), Ni(nickel), Pb(lead), and Zn(zinc) in 2,010 paddy soils nationwide were 0.87, 0.08, 3.33, 1.19, 4.95 and 4.67 mg kg-1, respectively. Few sites, which were contaminated by As in 2003 and 2007 survey and by Ni in 1999 and 2007 survey, were over the threshold level for soil contamination designated by the Soil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 in Korea. Long-term change was shown that As, Ni, and Zn were gradually increased whereas Cd and Cu were decreased. In the distribution of extractable heavy metal contents, the modes of each heavy metal content were similar with the average contents of each heavy metals. Mean value of heavy metals except copper in paddy soils was higher than median value. It means that the downward distribution of heavy metal content in paddy rice was shown against normal distributi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유기농 고추 추비용 유기자원 선발 및 시용효과 최두회 ;성좌경 ;이상민 ;이용환 ;김종문 ;정정아 ;송범헌 pp.153-157

시설재배 수박 엽 적정양분함량 설정 이주영 ;박재홍 ;장병춘 ;이기상 ;현병근 ;황선웅 ;윤영상 ;송범헌 pp.158-163

염스트레스에 의한 토마토 생장반응과 식물체내 nitrate 및 sucrose 변화 이주영 ;장병춘 ;이수연 ;박재홍 ;최근형 ;김삼권 ;김태완 pp.164-169

인삼 재배 예정지의 arbuscular 균근균(AMF) 번식체 밀도 향상 손보균 ;진서영 ;김홍림 ;조주식 ;이도진 pp.170-176

상토에 함유된 Na함량이 오이와 참외의 생육, 광합성 및 잎의 수분상태에 미치는 영향 서영진 ;김종수 ;김찬용 ;박소득 ;박 만 pp.177-183

광산인근 논토양의 카드뮴 존재형태와 쌀의 카드뮴의 함량과의 관계 김원일 ;박병준 ;박상원 ;김진경 ;권오경 ;정구복 ;이종근 ;김정규 pp.184-189

논토양 중금속 함량의 장기변동 모니터링 김원일 ;김명숙 ;노기안 ;이종식 ;윤순강 ;박병준 ;정구복 ;강창성 ;조광래 ; pp.190-198

제주도 화산회토양에서 Ni, Cu 및 Zn의 자연함유량 특성 임한철 ;문경환 ;전승종 ;장공만 ;현해남 pp.199-205

경북 봉화와 강원도 간성 지역의 송이자생지 산림토양의 특성 ,1 :O층과 토양지표층의 이화학적 특성 정덕영 ;이교석 ;이종신 ;윤영남 pp.206-213

전남지역 인삼재배 토양의 arbuscular 균근균 분포 특성 손보균 ;진서영 ;이도진 pp.214-222

Cd 안정동위체를 이용한 토양과 식물계에서 Cd의 거동해석 윤순강 ;정구복 ;김원일 ;이종식 ;김민경 ;김진호 ;신중두 ;이덕배 ;김삼권 pp.223-227

Level Ⅰ fugacity model을 이용한 biopile 내 유기화합물 5종의 분포 예측 김계훈 ;김호진 ;Simon J. T. Pollard pp.228-234

참고문헌 (2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driano, D. C, (1986) Trace elements in the terrestrial environment, Springer Verlag 미소장
2 Bioavailability of nonextractable (bound) pesticide residues to earthworms. 네이버 미소장
3 Cadmium, Lead, Zinc, Copper, and Nickel in Agricultural Soil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네이버 미소장
4 Iimura, K, (1981) Heavy metal problems in paddy soils. In Heavy metal pollution in soils of Japan edited by Kitagishi K., and Yamane, I. Japan Scientific Societies Press 미소장
5 Cadmium in cereal grain and herbage from long-term experimental plots at Rothamsted, UK 네이버 미소장
6 Distribution of Heavy Metal Contents in Medicinal Plants and Soils with Soil Texture 네이버 미소장
7 Jung, G. B., (1999) The effect of irrigation control and the application of soil ameliorators on cadmium uptake in paddy rice, Korean J. Environ. Agri 미소장
8 Kim. B. Y., (1982) Survey on heavy metals in paddy soil and brown rice in Korea, Ann. Report of Agr. Exp. Research 미소장
9 Studies on Uptake by Crops of Lead and Reduction of it's Damage Ⅱ . Effect of application of calcium and phosphate materials on Pb Solubility in Soil 네이버 미소장
10 Heavy Metals in Paddy Soil of Korea 네이버 미소장
11 Effect of Lime Application on Growth and Cd Uptake of Paddy Rice 네이버 미소장
12 Lee, S. R., (1993) Research of food safety, Ewha Women Univ. Press 미소장
13 (1996) MOE(Minister of Environment). 1996. Standard test method for soil pollution, 미소장
14 Nakai, M., (2007) Development of soil-crop inventory on heavy metals in Japan, International Workshop Draft Proceedings of East Southeast Asian Federation of Soil Science Societies(ESAFS) 8. 미소장
15 (2000) NIAST(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00. Analytical methods of soil and plant, 미소장
16 (2003) NIAST(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03, Monitoring project on Agri-environment quality in Kore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미소장
17 Nicholson, F. A., (1997) Effect of soil pH on heavy metal bioavailability, Proceedings of 4th Int. Conf. on the Biogeochemistry of Trace Elements. 미소장
18 Page, A. L., (1981) Cadmium In:Effect of heavy metal pollution on plants. Vol 1, Effects of trace metals on plant function, Applied Science 미소장
19 (1998) RDA(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998. A counter measuring studies to the changes of agricultural environment, 미소장
20 (1999) RDA(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999. Improvement of agricultural product safety: Analysis of research trends and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미소장
21 Stevenson, F. J., (1994) Humus chemistry. 2nd ed, John Wiley & Son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