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코로나 홀을 이용한 CIR과 지자기 폭풍의 경험적 예보 연구 / 이지혜 ; 문용재 ; 최윤희 ; 유계화 1
요약 1
Abstract 1
1. 서론 2
2. 사용자료 3
2.1. 코로나 홀(CH) 선택 3
2.2. CIR과 지자기 폭풍 자료 선택 4
3. 분석방법 5
3.1. 코로나 홀의 크기 계산 5
3.2. 코로나 홀 면적의 특징과 지구영향 코로나 홀 조건 6
3.3. 분할표(Contingency Table) 7
4. 연구결과 8
4.1. 코로나 홀을 통한 CIR의 예보결과: CH-CIR 8
4.2. 코로나 홀을 통한 지자기 폭풍의 예보결과: CH-storm 10
4.3. 코로나 홀과 halo CME를 이용한 예보 비교 11
5. 결론 11
감사의 글 12
참고문헌 12
이 연구에서 우리는 코로나 홀(Coronal hole, CH)의 정보(위치, 면적)를 이용하여 CIR(Corotating Interaction Regions)과 지자기폭풍(Geomagnetic Storm)에 대한 경험적인 예보를 수행하였다. 이것을 위해 1996년 1월 ~ 2003년 11월까지의 미국 국립 천문대-Kitt Peak 관측소의 He I 10830{\AA} 영상으로부터 코로나 홀 자료를 얻고, Choi et al.(2009)로부터 확인된 CIR과 지자기 폭풍 자료를 활용하였다. 지자기 폭풍을 일으키는 코로나 홀의 특성을 고려하여 코로나 홀의 중심이 N40$^\circ$와 S40$^\circ$ 사이, E40$^\circ$와 W20$^\circ$ 사이에 위치하고 태양 반구에 대한 면적 비율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경우를 선택하였다: (1) case 1: 0.36% 이상, (2) case 2: 0.66% 이상, (3) case 3: 1996 ~2000년 동안에는 0.36%, 2001 ~ 2003년 동안에는 0.66% 이상. 우리는 각 경우에 대하여 예보의 성공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예보 분할표(Contingency Table)를 만들고, 그들의 태양 주기 위상(Solar cycle phase)에 대한 의존성을 조사하였다. 분할표로부터 우리는 PODy(the probability of detection yes), FAR(the false alarm ratio), Bias(the ratio of ``yes" predictions to ``yes" observations) 그리고 CSI(critical success index)와 같은 예보 평가 지수를 결정하였다. 이와 같은 예보에서 PODy와 CSI가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사실을 고려하여, 우리는 가장 좋은 후보가 case 3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경우에 두 가지 예보에 대한 예보평가 지수는 아래와 같다: CH-CIR의 경우는 PODy=0.77, FAR=0.66, Bias=2.28, CSI=0.30이고, CH-storm의 경우는 PODy=0.81, FAR=0.84, Bias=5.00, CSI=0.16이다. 또한 태양 활동 극대기 이후 감쇄기간 동안의 지수들이 태양 극대기 이전의 값들 보다 훨씬 잘 예보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코로나 홀을 이용한 CIR의 예보는 충분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으나, 지자기 폭풍의 예보는 너무 많은 허위 예보로 인하여 다소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
In this study, we suggest an empirical forecast of CIR (Corotating Interaction Regions)
and geomagnetic storm based on the information of coronal holes (CH). For this we
used CH data obtained from He I 10830 °A maps at National Solar Observatory-Kitt
Peak from January 1996 to November 2003 and the CIR and storm data that Choi
et al. (2009) identified.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among coronal holes, CIRs, and
geomagnetic storms (Choi et al. 2009), we propose the criteria for geoeffective coronal
holes; the center of CH is located between N40± and S40± and between E40± and
W20±, and its area in percentage of solar hemispheric area is larger than the following
areas: (1) case 1: 0.36 %, (2) case 2: 0.66 %, (3) case 3: 0.36 % for 1996-2000, and
0.66% for 2001-2003. Then we present contingency tables between prediction and
observation for three cases and their dependence on solar cycle phase. From the contingency
tables, we determined several statistical parameters for forecast evaluation
such as PODy (the probability of detection yes), FAR (the false alarm ratio), Bias
(the ratio of “yes” predictions to “yes” observations) and CSI (critical success index).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PODy and CSI, we found that the best criterion is case
3; CH-CIR: PODy=0.77, FAR=0.66, Bias=2.28, CSI=0.30. CH-storm: PODy=0.81,
FAR=0.84, Bias=5.00, CSI=0.16. It is also found that the parameters after the solar
maximum are much better than those before the solar maximum. Our results show
that the forecasting of CIR based on coronal hole information is meaningful but the
forecast of goemagnetic storm is challenging.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Properties of the variation of the infrared emission of OH/IR stars ,1 :The K band light curves | Kyung-Won Suh ;Young-Joo Kwon | pp.279-286 |
|
보기 |
On mode correlation of solar acoustic oscillations | Heon-Young Chang | pp.287-294 |
|
보기 |
대마젤란은하 식쌍성 EROS 1010의 광도곡선 분석 | 홍경수 ;강영운 | pp.295-304 |
|
보기 |
코로나 홀을 이용한 CIR과 지자기 폭풍의 경험적 예보 연구 | 이지혜 ;문용재 ;최윤희 ;유계화 | pp.305-316 |
|
보기 |
선형 및 비선형 상대궤도운동 모델들의 정확도 분석 | 박한얼 ;박상영 ;이상진 ;최규홍 | pp.317-328 |
|
보기 |
한국에서 최적의 일광절약시간제 시행기간에 대한 연구 | 민병희 ;안영숙 ;김동빈 ;양홍진 | pp.329-344 |
|
보기 |
Development of a dual-circular polarizer for the KVN receivers | Moon-Hee Chung ;Do-Heung Je ;Seog-Tae Han ;Jung-Won Lee | pp.345-354 |
|
보기 |
동아시아 천문관서의 자동 시보와 타종장치 시스템의 고찰 :수운의상대, 자격루, 옥루, 송이영 혼천시계 등을 중심으로 | 이용삼 ;김상혁 ;정장해 | pp.355-374 |
|
보기 |
조선과 중국의『보천가』연구 | 김상혁 ;양홍진 ;이용복 ;안영숙 | pp.375-402 |
|
보기 |
통신해양기상위성의 열평형 시험 모델 및 예비 예측 | 전형열 ;김정훈 ;한조영 | pp.403-416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Alves, M. V., Echer, E., & Gonzalez, W. D. 2006, JGR, 111, A07S10 | 미소장 |
2 | Choi, Y. H., Moon, Y.-J., Choi, S. H., Beak, J. H., Kim, S. S., Cho, K. S., & Choe, G. S. 2009, Solar Phys., 254, 311 | 미소장 |
3 | Gonzalez, W. D., Tsurutani, B. T., Gonzalez, & AL. CD. 1999, Space Science Reviews, 8, 529 | 미소장 |
4 | Gosling, J. T. & Pizzo, V. J. 1999, Space Science Reviews, 89, 21 | 미소장 |
5 | Guarnieri, F. L., Tsurutani, B. T., Gonzalez, W. D., Echer, E., Gonzalez, A. C., Grande, M., & Soraas, F. 2006, Proceedings of the ILWSWorkshop, eds. N. Gopalswamy & A. Bhattacharyya, ISBN: 81-87099-40-2, p.266 | 미소장 |
6 | Kim, R. S., Cho, K. S., Kim, K. H., Park, Y. D., Moon, Y. J., Yi, Y., Lee, J., Wang, H., Song, H., & Dryer, M. 2008, ApJ, 667, 1378 | 미소장 |
7 | Kim, R. S., Cho, K. S., Moon, Y. J., Kim, Y. H., Yi, Y., Dryer, M., Bong, S. C., & Park, Y. D. 2005, JGR, 110, A11104 | 미소장 |
8 | Richardson, I. G., Webb, D. F., Zhang, J., Berdichevsky, D. B., Biesecker, D. A., Kasper, J. C., Kataoka, R., Steinberg, J. T., Thompson, B. J., Wu, C. C., & Zhukov, A. N. 2006, JGR, 111, A07S09 | 미소장 |
9 | Smith, Z., Dryer, M., Ort, E., & Murtagh, M. 2000, J. Atmos. Terr. Sol. Phys, 62, 1265 | 미소장 |
10 | Vršnak, B., Temmer, M., & Veronig, A. M. 2007a, Solar Phys., 240, 315 | 미소장 |
11 | Vršnak, B., Temmer, M., & Veronig, A. M. 2007b, Solar Phys., 240, 331 | 미소장 |
12 | Zhang, J., Richardson, I. G., Webb, D. F., Gopalswamy, N., Huttunen E., Kasper, J. C., Nitta, N. V., Poomvises, W., Thompson, B. J., Wu, C. C., & Yashiro, S. 2007, JGR, 112, A10102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