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비만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유전자 다형성에 따라 나타나는 운동효과를 검정하여 남성 비만자의 치료와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26명의 비만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FTO rs9939609 Polymorphism 분석을 통해 AA+AT 집단 10명, TT 집단 16명으로 독립표집(independence sample)하고, 12주간 댄스스포츠 운동 후 신체구성과 혈중지질을 비교분석하였다. 신체구성의 변화에서 fat%와 BMI는 TT유전자 집단이 AA+AT유전자 집단보다 운동처치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혈중지질에서 HDL-C 변인은 TT유전자 집단이 AA+AT유전자 집단보다 운동처치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LDL-C는 TT유전자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This study sampled obese male college students with above 27 of BMI who were attending to W university, I city of Jeollabukdo and obtained independence sample with 10 of AA+AT and 16 of TT according to obesity gene polymolphism. The exercise program was given four times a week for 12 weeks with the following intensities: 45~55%HRmax for 1~6 weeks and 55~65%HRmax for 7~12 weeks. After the dance sport program, the study analysed changes of variables, Body composition and Blood lipids and the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At the change of body composition, the rate of body fat and BMI decreased in TT gene group and AA+AT gene group as the period of exercise treatment became longer(p〈.05)
Second, At the change of blood lipid, HDL-C of TT gene group increased more than that of AA+AT gene group as the period of exercise treatment became longer and longer. On the other hand, LDL-C showed a tendency of a decrease in the statistics(p〈.05).
To sum up the results, AA+AT group with obesity genes received more influence from genes according to Body composition and Blood lipids than TT group. It is suggested that the variation according to FTO polymolphism should be considered for an exercise program, but future extensive studies are needed for more definite results.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초등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체육의 가치 탐색 | 이동호, 이대형 | pp.1-14 |
|
|
'좋은 수업'의 관점과 특징에 대한 중등학교 초임과 경력 체육교사 간 중요도 인식 차이 | 이성흠, 최상봉, 정주혁 | pp.15-28 |
|
|
체육교사의 교수행동에 대한 학생의 인식과 선호도 | 이병준, 김정완, 이주욱 | pp.29-42 |
|
|
초임 교사의 체육수업 멘토링을 통한 체육교수의 변화 | 고문수, 이대형 | pp.43-58 |
|
|
호주 Gold-coast 지역 청소년 학생들의 스포츠참가 동기 심층 분석 | 임종은 | pp.59-73 |
|
|
댄스스포츠 지도자의 직업사회화에 관한 생애사적 이해 | 엄석주, 최희진 | pp.75-89 |
|
|
배드민턴 선수의 완벽주의와 성취목표 성향에 관한 관계탐색 | 장덕선, 황지만, 이인화 | pp.105-118 |
|
|
단공십계(丹功十戒)에 나타난 고조선의 신체활동 교육사상 | 김형묵 | pp.131-143 |
|
|
청소년의 주관적 운동능력 인식과 사회적 걱정 및 체육수업에서의 소외와의 관계 | 이창섭, 남상우, 여정권 | pp.91-104 |
|
|
고교 사격선수들의 자기효능감과 심리기술학습의 관계 | 김계주 | pp.119-130 |
|
|
에어로빅체조 지도자의 거래적·변혁적 리더십이 학습자의 팀 응집력 및 운동만족에 미치는 영향 | 최석환, 김영환 | pp.145-158 |
|
|
청소년기 여학생의 척추측만증 개선을 위한 운동프로그램 | 임용택 | pp.159-167 |
|
|
건강체력 프로그램이 FTO유전자 다형에 따른 비만 남자대학생의 신체구성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 이경희 | pp.169-180 |
|
|
비만과 과체중에 대한 도전 : 새로운 세계적 합의성명 | 노성규 | pp.183-191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Approximate Exercise Intensity in Dancesports(Latin American Dances) | 소장 |
2 | Effect of 12-weeks aerobic exercise on the components of the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FTO gene variant in obesity mid-aged women | 소장 |
3 | 문채련(2002). 점증 부하 운동 전·후 회복기 비만학생들의 운동 수행력 및 혈청 지질의 변화.한국체육교육학회. 7(3), 192-200. | 미소장 |
4 | 신덕수, 이찬진, 노동진(2010). 걷기 및 덤벨 걷기운동이 비만 여대생의 건강관련체력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15(2), | 미소장 |
5 | effects of 12weeks training depending on existing or non-existing obese genes to metabolic regulatory hormones, blood lipids and body compositions | 소장 |
6 | 이명천, 김기진, 김미혜, 박현, 이대택, 조정호, 차광석, 홍성찬(2003). 스포츠영양학. 서울, 라이프사이언스. | 미소장 |
7 | 추신영, 이영웅(2004). 베타-3 아드레날린 수용체유전자 다형이 고등학생들의 인체계측지표와 비만지표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 9(3), 155-167. | 미소장 |
8 | 최문기(2007). 복합운동이 여대생의 FTO 유전자다형에 따른 신체조성, 혈중지질 및cytokine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9 | 유산소운동이 중년여성의 혈중지질, 체지방, 근력 및 심폐기능에 미치는 효과 ![]() |
미소장 |
10 | 한지혜(2008). 한국인에서 GPR74 및 GNB3 유전자 다형성과 비만과의 연관성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11 | Low physical activity accentuates the effect of the FTO rs9939609 polymorphism on body fat accumulation. ![]() |
미소장 |
12 | Bermejo, A., Clive, J., Petry, M. D., Giorgi, S., Francis, D. Z., David, B. D., & Lourdes, I.(2008). The association betweeen the FTO gene and fat mass in humans develops by the postnatal age of two weeks. Endocrin. Metabolics, 10(1), 236-242. | 미소장 |
13 | Replication of genetic effects of FTO polymorphisms on BMI in a Korean population. ![]() |
미소장 |
14 | Evadnie, R., Braxton, D., Toni, I., Mao, F., Haiqing, S., Jeffery, R., Julie, L., Scott, H., Rosalie, N., & Shuldiner, M.(2008). Physical Activity and the Association of Common FTO Gene Variants with Body Mass Index and Obesity. Arch. International. Medicine. 168(16), 1791-1797. | 미소장 |
15 | A Common Variant in the FTO Gene Is Associated with Body Mass Index and Predisposes to Childhood and Adult Obesity ![]() |
미소장 |
16 | Frayling, T. M.(2007).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provide new insights into type 2 diabetes aetiology. Genetics, 8(9), 657-662. | 미소장 |
17 | Gudat, u., Berger, M., & Lefebvre, P(1994). Physical activity, fitness & NIDDM(Type Ⅱ), diabet mellitus, 669-683. | 미소장 |
18 | Harat. I., Marion, F., Crampes, F., Grampes, F., Glisezinski, I., Berlan, M., Stich, V., & Rivie, D.(2002). Effect of a long-duration physical esercise on fat cell lipolyic reponsiveness to adrenergic agents and insulin in obese men. International Journal. Obesity, 26, 1373-1378. | 미소장 |
19 | Role of set-point theory in regulation of body weight. ![]() |
미소장 |
20 | Association of the FTO gene with BMI. ![]() |
미소장 |
21 | Association studies of genetic polymorphisms in central obesity: a critical review ![]() |
미소장 |
22 | The Obesity-Associated FTO Gene Encodes a 2-Oxoglutarate-Dependent Nucleic Acid Demethylase ![]() |
미소장 |
23 | The common rs9939609 gene variant of the fat mass- and obesity-associated gene FTO is related to fat cell lipolysis. ![]() |
미소장 |
24 |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Preface ![]()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