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년 성인의 건강통제위,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과 건강증진행위 간의 관계와 건강증진행위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충북과 충남지역의 2개 도시의 중년 성인 137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6년 7월부터 8월까지 2개월간 시행되었다. 수집한 자료는 기술통계와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s,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건강증진행위는 일반적 특성 중 주관적 건강(F=10.14, p<.001)과 경제 수준(F=3.32, p=.039)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주요 변수 간의 관계에서 건강증진행위는 자기효능감 (r=.44, p<.001) 및 사회적 지지 (r=.45, p<.001)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일반적 특성, 건강통제위,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 (ß=.24, p=.002), 자기효능감 (ß=.29, p<.001), 사회적 지지 (ß=.30, p<.001)가 주요 영향요인이었으며, 이 모델은 36.4%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연구결과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건강증진행위의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므로 중년 성인의 건강행위 증진을 위해서는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를 반영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 Locus of Control (HLC), social support (SS), self-efficacy (S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HPB) in middle-aged adult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HPB. Data were collected from 137 middle-aged adults in the cities of Chungbuk and Chungnam for 2 months from July to August 2016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he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PB vari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subjective health (F=10.14, p<.001) and economic level (F=3.32, p= .039)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jor variables, the HPB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E (r=.44, p<.001) and SS (r=.45, p<.001).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HLC, SE, and SS on the HPB,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HPB were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β=.24, p=.002), SE (β=.29, p<.001), and SS (β=.30, p<.001), and these factors showed a combined explanatory power of 36.4%.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SE and SS a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HPB.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 health promotion program reflecting the SE and SS, in order to (promote) the (HPB) of middle-aged ad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