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 시기 국난 극복의 주역은 조선 수군이었다는 인식이 지배적이다. 이른바 삼도(경상도·전라도·충청도)의 수군이 일본군의 해상 진출을 차단하여 임진왜란의 전황을 조선에 유리하게 이끄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그런데 부산을 중심으로 경상도 동부 지역에 설치, 운영되어 온 경상좌수군은 임진왜란 개전 때부터 일본군의 점령지에 속함으로써 제대로 된 활동을 할 수 없었다.
본고에서는 임진왜란 시기 경상좌수군의 활동 상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경상좌수군도 임진왜란 시기 존재하여 분명히 나름의 임무를 수행한 것으로 확인된다. 따라서 경상좌수군의 활동 내용을 파악하여 정리하는 것은 임진왜란 수군사를 정리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라고 생각된다.
임진왜란 직전 경상좌수군은 2관(官), 12포(浦)로 총 14개 수군부대가 운용되고 있었다. 그렇지만 수군진들이 부산을 중심으로 넓게 분산되어 있었기에 부산 쪽으로 침입해 온 대규모의 일본군을 바다에서 막을 수 없었다. 따라서 초기에는 육전 위주로 전투를 하였다. 경상좌수사 역시 육전에 참여하였으며, 정발의 분전으로 대변되는 부산진성전투, 윤흥신의 순절로 알려진 다대포진전투 등이 대표적 사례이다.
그러다가 강화교섭기에 접어들면서 경상좌도 지역에 남아있던 일본군에 대한 공세를 강화하였다. 이때 울산군수 김태허 등은 육전과 수전을 막론하고 나름의 전과를 거두었다. 와중에 경상좌수사 이수일은 적선 4척을 나포하는 전과를 거두었다. 강화교섭기간 중 조정에서도 경상좌수군의 전력 강화를 위하여 판옥선을 건조하여 지원하는 등 나름의 개선책을 강구하였다. 그러나 경상좌수군의 전투는 게릴라식 전투 환경에서나 가능하였으며, 대규모 적과 맞서서는 수적 열세를 극복할 수 없었다.
이러한 현상은 정유재란 시기에도 마찬가지였다. 1597년 1월 정유재란이 벌어졌을 때 기장현감과 울산군수는 적을 막을 능력은 없었으며 적의 침입 사실을 보고하는 임무만 수행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다가 제1차 울산성전투 시 경상좌수군도 어느 정도 기여를 할 수 있었다. 좌수사 이운룡이 주관하여 명군이 먹을 군량을 동해안을 통해 수송 공급하였으며, 적은 병력이었지만 실제 전투에서 위세를 떨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조정에서는 임진왜란이 끝날 무렵 분산되었던 경상좌수영의 수군진들을 부산 쪽으로 이전하여 집중 배치하는 조치를 취하였다.
요컨대 경상좌수군은 임진왜란 초기에 와해되다시피 한 가운데서도 나름의 활동을 수행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른 지역 수군에 비해 기여도가 미미했다고 하더라도 당시의 여건에서는 최선을 다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erception that the Joseon Navy played a crucial part in overcoming the national crisis during the Imjin War is dominant. The naval forces in three provinces (Gyeongsando, Jeollado, and Chungcheongdo) forbade the Japanese army to advance from the sea, which greatly contributed to leading the war in favor of Joseon. However, the Gyeongsang Left Navy which was established and operated in the eastern part of Gyeongsang province with Busan at the center, was not able to function properly as it occupied by the Japanese forces from the beginning of the wa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ilitary activities of the Gyeongsang Left Navy during the Imjin War. It is verified that the Gyeongsang Left Navy existed and carried out its duty clear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lore and examine the activities of the Gyeongsang Left Navy in order to review the naval history during the Imjin War. A total of fourteen naval troops were in operation, including two Gwans (administrative land districts), and twelve Poes (naval forces administrative districts) in the Gyeongsang Left Navy right before the Imjin War. However, it was impossible to prevent the large-scale Japanese troops from invading Busan in the sea because the naval camps were dispersed widely around Busan. In the early phase of the war, therefore, the battles were mainly fought on the land. The commander of Gyeongsang Left Navy also participated in land battles, including Siege of Busan in which the general Jeong Bal fought hard, and Siege of Dadaepo in which Yun Heung-sin died in the last ditch for Joseon. Then, the Gyeongsang Left Navy strengthened its offensive against the Japanese forces which remained in that area by the time the peace negotiation began. At this time, Kim Taeheo, the governor of Ulsan won a victory both in land battles and sea battles. In the meantime, Lee Suil, the commander of Gyeongsang Left Navy seized four enemy ships. During the period of the peace negotiation, the Joseon court sought for the measures such as the construction of panokseon (board roofed ship) to improve the combat power of the Gyeongsang Left Navy. However, the combat of the Gyeongsang Left Navy was only effective in a guerrilla warfare, and it was not able to overcome its numerical deficit against a large enemy. This situation was the same even during Jeongyoojaeran, the second invasion. When Jeongyoojaeran broke out in January 1597, Gijang Hyeongam and the governor of Ulsan were not able to keep off the enemy and did nothing but reported the invasion of the enemy. However, during the first Siege of Ulsan, the Gyeongsang Left Navy was able to contribute some extent. Lee Unryong, the commander of Gyeongsang Left Navy, supervised the transportation of the provisions for Ming forces through the East Sea and actually exerted great influence in the battle with a small force. The Joseon court commanded the naval camps in the Gyeongsang Left Navy to move toward Busan. So the troops were intensively disposed in Busan. In short, the Gyeongsang Left Navy carried out military activities in its own way although it was almost in the state of collapse in the early phase of the Imjin War. It could be considered that the Gyeongsang Left Navy did its utmost under the circumstances of that time even if the contribution was small compared to other regional nav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