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제출문
최종(단계)보고서 초록/채장원
요약문
목차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25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 25
제2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25
1. 기술적인 측면 25
2. 경제·산업적인 측면 25
3. 사회·문화적인 측면 26
제3절 연구개발의 범위 28
1. 연구개발의 최종 목표 28
2. 연차별 연구목표 및 내용 28
가. 당해년도 연구내용 30
나. 2004년도 이후 연도 연구내용 30
제2장 국내·외 첨단 항만인프라 구축기술 개발현황 31
제1절 국외 연구개발 실태 분석(유럽,동북아 경쟁 항만) 31
1. 양현하역 부두 33
2. 양현하역 부두의 구조형식 및 기능 36
가. 굴입식 36
나. 기존부두+부유식 36
제2절 국내 연구개발 실태 분석 39
1. 국내 연구실적 40
2. 항만 R&D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41
제3절 국내외 첨단 항만인프라 개발 형태 비교 분석 41
제3장 연구개발 수행내용 및 결과 43
제1절 초컨선 항만에 대한 개념설계 43
1. 과업의 목적 및 범위 43
2. 기초자료조사·분석 44
가. 자연조건조사 44
나. 현황조사 52
3. 초대형 컨테이너선용 항만 후보지 검토 57
가. 항만 예비후보지 선정 57
나. 예비후보지별 개발 가능성 검토 57
4. 초대형 컨테이너선용 항만 배치계획 64
가. 설계조건 64
나. 부두형식 안별 검토 65
다. 접안시설 구조형식 검토 68
라. 가동식 또는 잔교식 부두 규모 검토 71
마. 부산신항 서컨테이너부두 활용가능성 검토 74
바. 광양항 3단계 3차지역 활용가능성 검토 81
5. 성장 동력 산업으로서의 가동식 부두 83
가. 환적화물 전용부두로의 활용성 검토 83
나. 가동식 부두의 시장성 88
다. 가동식 부두의 기술 및 경제적 효과 89
라. 가동식 부두의 향후 연구과제 90
마. 가동식 부두의 애니메이션 (스틸컷) 91
제2절 초컨선 항만에 대한 기술개발 로드맵 96
1. 개요 96
2. 구조물 성능 및 안정성 평가 기술 분야 98
가. 기술의 개요 및 중요성 98
나.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과 우리의 여건 99
다. 주요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100
라. 추진전략 및 체계 102
마. Technology Tree 103
바. 기술로드맵 105
3. 내구성 증진 및 수명 연장 기술 106
가. 기술의 개요 및 중요성 106
나.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과 우리의 여건 107
다. 주요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108
라. 추진전략 및 체계 110
마. Technology Tree 112
바. 기술로드맵 113
4. 항만 정온도 평가 및 향상 기술 113
가. 기술의 개요 및 중요성 113
나.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과 우리의 여건 115
다. 주요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116
라. 추진전략 및 체계 116
마. Technology Tree 117
바. 기술로드맵 118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119
제1절 연구내용의 목표달성도 119
제2절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120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121
제6장 연구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123
제1절 개요 123
제2절 유럽주요항만 123
1. ECT(Europe Combined Terminal) 123
가. ECT 터미널 개요 123
나. ECT 터미널 현황 124
다. 주요도면 및 사진 126
2. Ceres Paragon Terminal 128
가. Ceres Paragon Terminal 개요 128
나. Ceres Paragon Terminal 현황 128
다. 주요도면 및 사진 130
3. HHLA-CTA(Container Terminal Altenwerder) 134
가. CTA 터미널 개요 134
나. CTA 터미널 현황 134
다. 주요도면 및 사진 138
4. Thamesport 141
가. Thamesport 터미널 개요 141
나. Thamesport 터미널 현황 141
다. 주요도면 및 사진 143
제3절 아시아 지역 주요 항만 144
1. PSA(Port of Singapore Authority) 144
가. PSA 항만현황 144
나. PSA의 현재와 미래 148
2. HIT (Hongkong International Terminal) 157
가. HIT 항만현황 157
나. HPH(Hutchison Port Holdings)의 현재와 미래 160
3. YICT(Yantian International Container Terminals) 163
가. YICT 항만현황 163
제7장 참고문헌 169
부록 I 초대형 컨테이너선용 항만기술 연구사업 개요 및 1차년도 연구결과(요약) 171
부록 II 종합추진계획안 195
부록 III 예산설명자료 207
[title page etc.]
SUMMARY
CONTENTS
Chapter 1. Summary 25
Paragraph 1. Objective of Project 25
Paragraph 2. Necessity of Project 25
1. Technical field 25
2. Economical and industrial field 25
3. Social and cultural field 26
Paragraph 3. Scope of Project 28
1. Final objective 28
2. Annual contents 28
a. Contents of this fiscal year 30
b. Contents after 2004 30
Chapter 2. Review of Advanced Harbor Infrastructure Development 31
Paragraph 1. Foreign Research Development 31
1. Berh with both side loading system 33
2. Structural type of berth with both side loading system 36
a. Indented structure 36
b. Existing wharf + floating pier 36
Paragraph 2. Domestic Research Development 39
1. Results of research 40
2. Development plan for harbor R&D projects 41
Paragraph 3. Analysis and Comparison of Technology Development 41
Chapter 3. Contents and Results of Project 43
Paragraph 1. Conceptual Design of Harbor for Very Large Container Ship Harbor 43
1. Objective and scope 43
2. Survey and analysis of data 44
a. Investigation of natural condition site condition 44
b. Investigation of present condition site condition 52
3. Review of harbor site condition for very large container ship 57
a. Selection of a candidate harbor 57
b. Evaluation of pre-feasibility for the selected harbor sites 57
4. Harbor arrangement plan for very large container ship 64
a. Design condition 64
b. Investigation of wharf types 65
c. Suggestion and analysis of design for harbor with both side loading system 68
d. Size of hybrid and pier type wharf 71
e. Use of new busan west-container wharf 74
f. Use of Gwangyang container wharf 81
5. Hybrid quay-wall as growth drive industry 83
a. Evaluation of applicability for T/C wharf 83
b. Marketability of hybrid quay-wall 88
c. Technology and economical effect of hybrid quay-wall 89
d. Future project of hybrid quay-wall 90
e. Animation of hybrid quay-wall 91
Paragraph 2. Technical Road-map for Very Large Container Ship Harbor 96
1. Abstract 96
2. Technology for evaluation of structural performance and stability 98
a. Summary and importance of technology 98
b. Trend of technology development in external and internal countries 99
c. Principal research objective and contents 100
d. Strategy and system 102
e. Technical Tree 103
f. Technical road-map 105
3. Technology for extension of durability and life 106
a. Summary and importance of technology 106
b. Trend of technology development in external and internal countries 107
c. Principal research objective and contents 108
d. Strategy and system 110
e. Technical Tree 112
f. Technical road-map 113
4. Technology for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harbor tranquility 113
a. Summary and importance of technology 113
b. Trend of technology development in external and internal countries 115
c. Principal research objective and contents 116
d. Strategy and system 116
e. Technology Tree 117
f. Technical road-map 118
Chapter 4. Achievement and Applicability 119
Paragraph 1. Degree of Achievement 119
Paragraph 2. Applicability 120
Chapter 5. Plan for Practical Applicability of Results 121
Chapter 6. Collected Information of Harbor Development 123
Paragraph 1. Summary 123
Paragraph 2. Principal Harbors in Europe 123
a. Introduction of ECT 123
b. Current condition of ECT 124
c. Principal drawing and photograph 126
a. Introduction of Ceres Paragon Terminal 128
b. Current condition of Ceres Paragon Terminal 128
c. Principal drawing and photograph 130
a. Introduction of CTA 134
b. Current condition of CTA 134
c. Principal drawing and photograph 138
a. Introduction of Thamesport 141
b. Current condition of Thamesport 141
c. Principal drawing and photograph 143
Paragraph 3. Principal Harbors in Asia 144
a. Current condition of PSA 144
b. Present and future of PSA 148
a. Current condition of HIT 157
b. Present and future of HPH(Hutchison Port Holdings) 160
a. Current condition of YICT 163
Chapter 7. References 169
Appendix I General Introduction and First Fiscal Year's Results 171
Appendix II National Plan of Growth Driving Industry Projects 195
Appendix III Budgetary Proposal 207
[표 2-1] Ceres Paragon Terminal의 시설현황 34
[표 3-1] 부산 및 광양지방의 천기일수(단위:일) 44
[표 3-2] 부산 및 광양지방의 월별 풍속(단위:m/sec) 45
[표 3-3] 부산 및 광양지방을 통과한 주요 태풍의 풍향과 풍속(단:m/sec) 46
[표 3-4] 부산 및 광양지방의 월별 강수량(단위:㎜) 47
[표 3-5] 부산 및 광양지방의 기온(단위:℃) 47
[표 3-6] 작업 불가능일수 산정기준 48
[표 3-7] 부산 및 광양지방의 작업 가능일수 48
[표 3-8] 항별조위(단위:m) 49
[표 3-9] 부산북항 심해파 제원 51
[표 3-10] 항 입구부 천해설계파 제원 51
[표 3-11] 부산신항 심해 설계파 제원 51
[표 3-12] 부산신항 천해설계파 제원 52
[표 3-13] 3단계 준설토 투기장 건설예정지 천해설계파 추정 결과 52
[표 3-14] 부산북항 컨테이너 전용부두별 전면 수심현황 53
[표 3-15] 부산신항 컨테이너부두별 전면수심현황 53
[표 3-16] 부산북항 컨테이너 전용부두 현황 58
[표 3-17] 부산신항 컨테이너 전용부두별 현황 59
[표 3-18] 광양항 컨테이너 전용부두별 현황 61
[표 3-19] 항만 후보지 비교 64
[표 3-20] 15,000TEU급 선박제원 64
[표 3-21] 선석규모 65
[표 3-22] Apron 폭 산출 65
[표 3-23] 양현하역 시스템 부두형식 66
[표 3-24] 선박 제원 및 선복량 71
[표 3-25] 15,000TEU급 이하 선박의 처리량 71
[표 3-26] 선박 크기 규모별 처리량 및 비율 72
[표 3-27] 처리량 기준 상위 20%의 환적 처리량 및 비율 72
[표 3-28] 물동량 구분 73
[표 3-29] 모선 및 피더선측 제원 73
[표 3-30] 부두의 제원 73
[표 3-31] 선회장 직경 검토 75
[표 3-32] 부산신항 서컨테이너부두지역 배치계획 비교 77
[표 3-33] 세계 20대 컨테이너 항만(단위:TEU) 88
[표 3-34] 컨테이너부두 추가 개발규모(단위:선석) 89
[표 3-35] 국내외 시장규모 예측 89
[표 3-36] 단계별 목표(내구성 증진 및 수명연장기술 분야) 108
[표 3-37] 연구개발내용(내구성 증진 및 수명연장기술 분야) 108
[표 3-38] 추진 전략(내구성 증진 및 수명연장기술 분야) 110
[그림 1-1] 물류중심항의 역할 (Hub & Spoke) 개념도 27
[그림 2-1] 독일 함부르크항(HHLA 터미날)의 최신 자동화 터미날 전경,하역 및 이송 적재장비 32
[그림 2-2] 네덜란드 로텔담항(Europe Combined Terminal)의 전경 32
[그림 2-3] 암스텔담항 Ceres Paragon terminal의 굴입식 양현하역 부두 사진 및 터미널 조감도 33
[그림 2-4] 홍콩 YICT 양현하역 터미널 개발계획 조감도 35
[그림 2-5] 캐나다 발데스항의 부유식 컨테이너부두(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컨테이너 부두,700ft×t00ft) 37
[그림 2-6] Mega-Float 실험모형이 실해역 설치장면 38
[그림 2-7] 반잠수식 모듈들이 유연한 다리(bridge)로 연결된 MOB 38
[그림 3-1] 항만별 조위도 50
[그림 3-2] 부산북항 컨테이너 전용부두 현황도 58
[그림 3-3] 부산신항 컨테이너 전용부두별 현황도 60
[그림 3-4] 광양항 컨테이너 전용부두 조감도 62
[그림 3-5] 부산신항 대상위치도 63
[그림 3-6] 광양항 대상위치도 63
[그림 3-7] Transfer System 67
[그림 3-8] 중력식 매립부두 68
[그림 3-9] 잔교식 매립부두 69
[그림 3-10] 매립식과 가동식 혼합형 70
[그림 3-11] 매립식과 잔교식 혼합형 70
[그림 3-12] 가동식 또는 잔교수 부두폭 74
[그림 3-13] 굴입식부두 평면도 78
[그림 3-14] 굴입식부두 단면도 78
[그림 3-15] 가동식부두 평면도 79
[그림 3-16] 가동식부두 단면도 79
[그림 3-17] 잔교식부두 평면도 80
[그림 3-18] 잔교식부두 단면도 80
[그림 3-19] 광양항 굴입식부두의 평면도 81
[그림 3-20] 광양항 가동식부두의 평면도 82
[그림 3-21] 광양항 잔교식부두의 평면도 82
[그림 3-22] 부산신항 전체 조감도 84
[그림 3-23] 가동식 부두 조감도 84
[그림 3-24] 가동식부두 개념도 85
[그림 3-25] 부산신항 가동식부두 배치도 86
[그림 3-26] 가동식부두 동선계획 87
[그림 3-27] 가동식 부두 91
[그림 3-28] 가동식 접안 시스템 91
[그림 3-29] 착저식 하이브리드 안벽 시스템 92
[그림 3-30] 부유식 하이브리드 안벽 시스템 92
[그림 3-31] 초대형 컨테이너선에서의 화물 하역 93
[그림 3-32] 고단적 적재 시스템 93
[그림 3-33] Automated lifting vehicle 시스템 94
[그림 3-34] 초고속 안벽 크레인 94
[그림 3-35] 초대형 컨테이너선의 출항 95
[그림 3-36] 지능형 항만물류시스템 개발의 기술 로드맵 97
[그림 3-37] Technical Tree(구조물 성능 및 안정성 평가 기술 분야) 103
[그림 3-38] 기술 로드맵(구조물 성능 및 안정성 평가 기술 분야) 105
[그림 3-39] 추진체계(내구성 증진 및 수명연장기술 분야) 111
[그림 3-40] Technical Tree(내구성 증진 및 수명연장기술 분야) 112
[그림 3-41] 기술 로드맵(내구성 증진 및 수명연장기술 분야) 113
[그림 3-42] Technical Tree(내구성 증진 및 수명연장기술 분야) 117
[그림 3-43] 기술 로드맵(항만 정온도 평가 및 향상 기술 분야) 118
최종(단계)보고서 초록/양창호
제1장 연구개발 개요 245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 245
제2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245
1. 기술적 측면 245
2. 경제·산업적 측면 247
3. 사회·문화적 측면 248
제3절 연구개발의 범위 249
1. 개발목표 249
2. 연구내용 249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251
제1절 국외 연구개발 실태 분석 252
1. 첨단 항만 하역장비 개발 실태 분석 253
2. 첨단 하역시스템 개발 실태 분석 263
3. 첨단 항만 개발 실태 분석 291
제2절 국내 연구개발 실태 분석 302
1. 첨단 항만 하역장비 개발 실태 분석 302
2. 첨단 하역시스템 개발 실태 분석 306
3. 첨단 항만 개발 실태 분석 308
제3절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비교분석 309
1. 국내외 첨단 항만 하역장비 비교 분석 309
2. 국내외 첨단 하역시스템 비교 분석 310
3. 국내외 첨단 항만 비교 분석 311
제3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313
제1절 컨테이너물동량 및 초대형컨테이너 공급 전망 313
1. 국내외 컨테이너물동량 처리실적 및 전망 313
2. 초대형 컨테이너선의 공급전망 330
3. 초대형 컨테이너선이 해운 및 항만에 미치는 영향 339
제2절 초대형 컨테이너선용 항만하역시스템 대안 도출 348
1. 초대형 컨테이너선 선형 및 제원,요구생산성 348
2. 첨단항만 구조형태별 개념 설계 대안 제시 350
3. 대안도출을 위한 기준 360
제3절 초대형 컨테이너선용 항만하역시스템 개념 설계 405
1. 초대형 컨테이너선용 항만하역시스템 대안 분석 405
2. 초대형 컨테이너선용 항만하역시스템 대안 선정 431
제4절 첨단항만 하역시스템 기술 분석 439
1. 개요 439
2. 첨단 항만 하역시스템에 요구되는 기술개발 목표 439
3. 첨단 항만 하역시스템 기술트리(Technology Tree) 442
4. 초대형 컨테이너선용 차세대 항만 하역시스템 기술 로드맵(Technology Road-Map) 445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서의 기여도 451
제1절 전체 연구 개발 계획 451
제2절 1차년도 연구개발 계획 대비 실적요약 452
제3절 1차년도 상세 연구 개발 결과 항목 454
제4절 연구 개발목표의 달성도 454
제5절 관련분야 기술 발전에의 기여도 455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457
제6장 참고문헌 459
부록:대안 선정용 설문조사
Chapter 1 Introduction 245
Paragraph 1 Goal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245
Paragraph 2 Need of Research and Development 245
1. Technical Field of 245
2. Economical and Industrial Field 247
3. Social and Cultural Field 248
Paragraph 3 Scop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249
1. Aims of Development 249
2. Contents of Research 249
Chapter 2 The Status of Domestic/External Technology Development 251
Paragraph 1 Status of External Research and Development 252
1. Analysis of Advanced Port Handling Equipments 253
2. Analysis of Advanced Port Handling System 263
3. Analysis of Advanced Port Development 291
Paragraph 2 Status of Domestic Research and Development 302
1. Analysis of Advanced Port Handling Equipments 302
2. Analysis of Advanced Port Handling System 306
3. Analysis of Advanced Port Development 308
Paragraph 3 Comparison of Domestic/External Technology Development 309
1. Comparison of Advanced Port Handling Equipments 309
2. Comparison of Advanced Port Handling System 310
3. Comparison of Advanced Port Development 311
Chapter 3 Contents and Results of Research 313
Paragraph 1 A Prospect of Container Throughput and VLCS Supply 313
1. A Actual Results and A Prospects of Container Throughput 313
2. A Prospects of VLCS Supply 330
3. VLCS's Effects of Shipping and Port 339
Paragraph 2 Derivation of Port Handling System for VLCS 348
1. VLCS Size and Specipication,Require Productivity 348
2. A Presentation of Concept Design Alternative of Advanced Port Classified by Structure Type 350
3. A Criterion for Alternative Derivation 360
Paragraph 3 Concept Design of Port Handling System for VLCS 405
1. Alternative Analisys of Port Handling System for VLCS 405
2. Alternative Selection of Port Handling System for VLCS 431
Paragraph 4 Analisys of Advanced Port Handling System Technology 439
1. Overview 439
2. Required Technology Development Goal of Advanced Port Handling System 439
3. Technology Tree of Advanced Port Handling System 442
4. Technical-Roadmap of Advanced Port Handling System for VLCS 445
Chapter 4 Goal Achievemen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Contribution to Related Area 451
Paragraph 1 General Plan of Research and Development 451
Paragraph 2 Summary of the 1st Year's Research and Development Plan vs. Actual Result 452
Paragraph 3 Detailed Research and Development Result Items of the 1st Year 454
Paragraph 4 Achievemen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Goals 454
Paragraph 5 Contribution of Technology Development to Related Area 455
Chapter 5 Application Plan of Research and Development 457
Chapter 6 References 459
[표 2-1] DHST(CTA타입)의 작업 속도 254
[표 2-2] DHST(CTA타입)의 생산성 255
[표 2-3] Supertainer의 속도사양 259
[표 2-4] SPEEDPORT와 기존터미널과의 비교 293
[표 2-5] ATC 기본사양 304
[표 2-6] AGV의 기본사양 305
[표 2-7] 내외 첨단 하역장비 개발현황 비교 309
[표 2-8] 내외 첨단 하역시스템 개발현황 비교 310
[표 2-9] 내외 첨단 항만 개발현황 비교 311
[표 3-1] 세계 및 동북아 컨테이너 물동량 전망 313
[표 3-2] 세계 및 동북아 환적 컨테이너물동량 전망 314
[표 3-3] 세계 컨테이너물동량의 추세 및 전망 314
[표 3-4] 중국항만별 장래 컨테이너 물동량 예측 315
[표 3-5] 주요항만의 컨테이너부두 시설현황 및 개발계획 316
[표 3-6] 정기선사 글로벌제휴체제 317
[표 3-7] 글로벌선사의 컨테이너 전용터미널 운영현황 및 확충계획 318
[표 3-8] 대표적 터미널운영업체의 지역별 운영현황 1997/98 320
[표 3-9] 동북아 및 세계물류동향 321
[표 3-10] 선박 종류에 따른 특징 323
[표 3-11] 우리나라의 총항만물동량 수요추정 326
[표 3-12] 전국 컨테이너 물동량 수요추정 326
[표 3-13] 전국항 컨테이너화물 직·공별 처리실적 327
[표 3-14] 주요 항만별 연도별 컨테이너화물 처리실적 (단위:TEU,%) 329
[표 3-15] 컨테이너선의 발전 추이 330
[표 3-16] 세계 컨테이너선박 중 대형선박 비중 331
[표 3-17] 세계 컨테이너 선박의 TEU급별 보유현황 332
[표 3-18] 8,000TEU급 선박 발주 현황 333
[표 3-19] TEU급별 선박 척수의 전망 334
[표 3-20] 부산항의 컨테이너물동량 수요추정 335
[표 3-21] 항로별 장래 물동량 전망 336
[표 3-22] 초대형 컨테이너선의 기항척수 337
[표 3-23] 부산항 외항선 톤수별 접안실적 337
[표 3-24] 부산항의 초대형선 기항비율 337
[표 3-25] 기간항로 취항중인 얼라이언스별 부산항 기항현황 338
[표 3-26] 부산항 컨테이너선박 입항척수 전망(북미,유럽기간항로 기준) 339
[표 3-27] 초대형 컨테이너선 대상 348
[표 3-28] 초대형 컨테이너선 제원 348
[표 3-29] 초대형선 서비스를 위한 기계적 생산성 349
[표 3-30) 초대형선 서비스를 위한 총작업시간당 생산성 349
[표 3-31] 항만 형태별 종류 352
[표 3-32] 매립식 일반하역터미널 기반시설 규모 353
[표 3-33] 매립식 일반+양현하역터미널 기법시설 규모 355
[표 3-34] 매립식 일반하역+가동식 양현하역터미널 기반시설 규모 357
[표 3-35] 부유식 일반하역터미널 기반시설 규모 358
[표 3-36] 부유식 일반하역터미널 기반시설 규모 359
[표 3-37] 국내 입지 적합성 362
[표 3-38] 컨테이너 선박의 선형별 적재규모 363
[표 3-39] 컨테이너 선박의 선형별 건조실적 363
[표 3-40] 컨테이너 크레인의 설계 규모 364
[표 3-41] 안벽장비의 선박 제원의 대응 기준 364
[표 3-42] C/C 생산성에 따른 선박 하역작업시간 365
[표 3-43] 안벽장비의 생산성 대응 기준(24시간이내 서비스) 365
[표 3-44] 컨테이너 크레인 발주현황 366
[표 3-45] 컨테이너 크레인의 기계적 성능 향상 366
[표 3-46] 대형선에 대비한 컨테이너 크레인 성능 향상치 367
[표 3-47] 장비의 개발 가능성 기준 367
[표 3-48] 안벽장비의 안벽시스템 적응성 368
[표 3-49] 선박 제원 기준에 의한 도출 369
[표 3-50] 선박 하역시간 기준에 의한 도출 369
[표 3-51] 장비 개발 가능성에 의한 도출 370
[표 3-52] 안벽시스템 적응성에 의한 도출 371
[표 3-53] 종합평가에 의한 안벽장비 대안 도출 372
[표 3-54] 이송장비 기술적기준 평가결과 375
[표 3-55] 이송장비 물류/운영적기준 평가결과 377
[표 3-56] 이송장비 대안선정결과 378
[표 3-57] 이송장비 분류 380
[표 3-58] 야드하역장비 분류 381
[표 3-59] 야드하역장비 기술적기준 평가결과 385
[표 3-60] 야드하역장비 운영적기준 평가결과표 386
[표 3-61] 야드하역장비 대안선정결과 387
[표 3-62] 각 작업영역별 장비 대안 388
[표 3-63] 설문 기술대안 390
[표 3-64] 설문항목 분석방법 390
[표 3-65] 항만하역시스템 기술대안 우선순위 398
[표 3-66] 설문분석 결과 선정된 복수대안 399
[표 3-67] 안벽하역장비와 이송장비간의 시스템 연계성 401
[표 3-68] 이송장비와 야드장비간의 시스템 연계성 402
[표 3-69] 하역시스템 연계성에 적합한 장비선정 402
[표 3-70] 초대형 컨테이너선용 하역시스템 대안 403
[표 3-71] 초대형 컨테이너선용 하역시스템 최종 대안 404
[표 3-72] 선정 항만하역시스템 개발대안 405
[표 3-73] 12,000TEU급 선박의 24시간 재항시 생산성 분석 409
[표 3-74] 시설투자비 410
[표 3-75] 15,000TEU급 선박의 24시간 재항시 생산성 분석 415
[표 3-76] 시설투자비 416
[표 3-77] 15,000TEU급 선박의 24시간 재항시 생산성 분석 421
[표 3-78] 시설투자비 422
[표 3-79] 15,000TEU급 선박의 24시간 재항시 생산성 분석 428
[표 3-80] 시설투자비 429
[표 3-81] 순위별 점수 배점 431
[표 3-82] 기술적 기준에 대한 가중치 432
[표 3-83] 물류적 기준에 대한 가중치 432
[표 3-84] 경제적 기준에 대한 가중치 433
[표 3-85] 기술적 기준 평가결과 434
[표 3-86] 물류적 기준 평가결과 435
[표 3-87] 경제적 기준 평가결과 436
[표 3-88] 종합평가 결과 437
[표 3-89] 하역시스템 대안비교 438
[표 2-1] 양현하역터미널 크레인의 제원 496
[표 2-2] Tandem Forties Crane 제원 497
[표 2-3] Elevating girder container crane 제원 498
[표 2-4] 광양항2단계2차 컨테이너크레인 제원 500
[표 2-5] 부산 신항만 컨테이너 크레인 제원 502
[표 2-6] CTA DHST 컨테이너크레인 제원 504
[표 2-7] ECT항 DHST 컨테이너크레인 제원 506
[표 2-8] RMGC의 기본 사양 513
[표 2-9] RMGC의 작업속도 513
[표 2-10] RMGC의 작업시 가속/감속도 514
[표 2-11] 현대중공업 ATC 사양 515
[표 2-12] UCW 주요 장치 제원 516
[표 2-13] 한열의 처리량 516
[표 2-14] 분석결과 517
[표 2-15] RMGC 주요 사양 520
[표 2-16] Isoloader Container ransporter 기술 자료 524
[표 2-17] Maker별 AGV 주요 사양 비교 527
[표 2-18] 리니어모터의 지지기구의 종류와 응용 예 533
[표 3-1] 하역장비 변천세대 547
[표 3-2] 야드장비 특성비교 550
[표 3-3] 이송장비 비교 551
[표 3-4] ACT에서의 이송장비 이동경로 형태 553
[표 3-5] 모의실험 장비 특성 554
[표 7-1] 연구목표 및 달성도 564
[그림 2-1] DHST(CTA 타입) 253
[그림 2-2] DHST(ECT 타입) 255
[그림 2-3] DHST(VIT 타입) 256
[그림 2-4] Double Trolley System 257
[그림 2-5] Supertainer 258
[그림 2-6] Buffer Crane 260
[그림 2-7] 엘리베이터크레인의 단면도 261
[그림 2-8] 컨테이너크레인 2000 262
[그림 2-9] Octopus System 264
[그림 2-10] Octopus System의 컨테이너 흐름 265
[그림 2-11] Machine System 266
[그림 2-12] Machine System 컨테이너 흐름 267
[그림 2-13] Mouse Trap System 268
[그림 2-14] Mouse Trap System의 컨테이너 흐름 268
[그림 2-15] Overhead System 269
[그림 2-16] Overhead System의 컨테이너 흐름 270
[그림 2-17] Flyda System 270
[그림 2-18] Flyda System의 컨테이이너 흐름 271
[그림 2-19] Containoveyor System 272
[그림 2-20] Containoveyor System의 컨테이너 흐름 272
[그림 2-21] MHI traverser System 273
[그림 2-22] MHI traverser System의 컨테이너 흐름 274
[그림 2-23] Paceco Portveyor System 275
[그림 2-24] Paceco Portveyor System의 컨테이너 흐름 275
[그림 2-25] Paceco Automated Transfer Car System 276
[그림 2-26] Paceco Automated Transfer Car System의 컨테이너 흐름 277
[그림 2-27] MHI MACS System 277
[그림 2-28] MHI MACS System 컨테이너 흐름 278
[그림 2-29] Translift CTS System 279
[그림 2-30] Translift CTS System 컨테이너 흐름 279
[그림 2-31] Shuttle Carrier System-장치장 수평배치시 280
[그림 2-32] Shuttle Carrier System-장치장 수직배치시 280
[그림 2-33] Shuttle Carrier System 컨테이너 흐름 281
[그림 2-34] Automated Straddle Carrier System 282
[그림 2-35] Bundle System 283
[그림 2-36] Bundle System의 컨테이너 흐름 284
[그림 2-37] Linear Motor Transfer System 285
[그림 2-38] Linear Motor Transfer System 컨테이너 흐름 286
[그림 2-39] Silo Speed_Trane System 287
[그림 2-40] Silo Speed_Trane Syetem 컨테이너 흐름 287
[그림 2-41] Anderson Clyde/GEC Multi-Linestore System 288
[그림 2-42] Anderson Clyde/GEC Multi-Linestore System 컨테이너 흐름 289
[그림 2-43] HHLA Terraced Conveyor System 289
[그림 2-44] HHLA Terraced Conveyor System의 컨테이너 흐름 290
[그림 2-45] SPEEDPORT 291
[그림 2-46] Slip Berth System 295
[그림 2-47] Slip Berth System 컨테이너 흐름 296
[그림 2-48] Slip + Warehouse System 296
[그림 2-49] Slip + Warehouse System의 컨테이너 흐름 297
[그림 2-50] FAMAS 298
[그림 2-51] FAMAS의 컨테이너 흐름 299
[그림 2-52] Floating Terminal 300
[그림 2-53] Technotainer 302
[그림 2-54] ATC(Automatic Transfer Crane) 303
[그림 2-55] AGV(Automatic Guided Vehicle) 304
[그림 2-56] UCWS(Ultra High Container Warehouse System) 306
[그림 2-57] UCWS 컨테이너 흐름 307
[그림 3-1] 우리나라 컨테이너물동량의 추이 328
[그림 3-2] 일반하역형 안벽 351
[그림 3-3] 양현하역형 안벽 352
[그림 3-4] 매립식 일반하역터미널 353
[그림 3-5] 매립식 양현하역터미널 354
[그림 3-6] 매립식 일반하역 + 가동식 양현하역터미널 356
[그림 3-7] 부유식 일반하역터미널 357
[그림 3-8] 부유식 일반하역 + 양현하역터미널 358
[그림 3-9] 대안도출 방법론 적용과정 361
[그림 3-10] 이송장비 대안도출 기준 373
[그림 3-11] 이송장비 기술적기준 평가결과 376
[그림 3-12] 이송장비 물류/운영적기준 평가결과 377
[그림 3-13] 이송장비 대안선정결과 379
[그림 3-14] 야드하역장비 대안도출 기준 382
[그림 3-15] 야드하역장비 기술적기준 평가결과 385
[그림 3-16] 야드하역장비 운영적기준 평가결과 386
[그림 3-17] 야드하역장비 대안선정결과 387
[그림 3-18] 개발 타당성 있는 항만 유형 392
[그림 3-19] 첨단항만 기대효과 393
[그림 3-20] 양현하역에 적합한 안벽 방식 394
[그림 3-21] 초대형선에 적합한 안벽하역시스템 개념 395
[그림 3-22] 초대형선 24시간 서비스 가능성 395
[그림 3-23] 국내에 적합한 안벽장비 396
[그림 3-24] 초대형선에 적합한 야드장비 개념 396
[그림 3-25] 국내에 적합한 야드장비 397
[그림 3-26] 초대형선에 적합한 이송장비 개념 397
[그림 3-27] 국내에 적합한 이송장비 398
[그림 3-28] 대안 1-1의 동선도 408
[그림 3-29] 선박당 C/C 할당대수에 따른 C/C 시간당 생산성 410
[그림 3-30] 대안 1-1의 평면도 411
[그림 3-31] 대안 1-1의 개념도 411
[그림 3-32] 대안 1-2의 동선도 414
[그림 3-33] 선박당 C/C 할당대수에 따른 C/C 시간당 생산성 416
[그림 3-34] 대안 1-2의 평면도 417
[그림 3-35] 대안 1-2의 개념도 417
[그림 3-36] 대안 2-1의 동선도 421
[그림 3-37] 선박당 C/C 할당대수에 따른 C/C 시간당 생산성 422
[그림 3-38] 대안 2-1의 평면도 423
[그림 3-39] 대안 2-1의 개념도 423
[그림 3-40] 대안 2-2의 동선도 427
[그림 3-41] 선박당 C/C 할당대수에 따른 C/C 시간당 생산성 429
[그림 3-42] 대안 2-2의 평면도 430
[그림 3-43] 대안 2-2의 개념도 430
[그림 3-44] 첨단 항만 하역시스템 기술트리(Technology Tree) 443
[그림 3-45] 초대형 컨테이너선용 차세대 항만하역시스템 기술로드 맵 446
[그림 3-46] 초대형 컨테이너선용 차세대 항만하역시스템 연구 목표 447
[그림 3-47] 초대형 컨테이너선용 차세대 항만하역시스템 추진 내용(안벽시스템) 448
[그림 3-48] 초대형 컨테이너선용 차세대 항만하역시스템 추진 내용(야드시스템) 449
[그림 3-49] 초대형 컨테이너선용 차세대 항만하역시스템 추진 내용(이송시스템) 450
[부록그림 1] 굴입식양현하역 475
[부록그림 2] Paceco Supertainer 475
[부록그림 3] Createch Technotainer 475
[부록그림 4] Dual Hoist(CTA) 476
[부록그림 5] ALV 476
[부록그림 6] 셔틀캐리어 476
[부록그림 7] OHBC 476
최종(단계)보고서 초록/최인환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492
제2장 국내외 항만하역장비 현황 494
제1절 안벽 장비 494
1. 해외 초대형 컨테이너 크레인 494
2. 국내 초대형 컨테이너 크레인 499
3. 자동화 부두 컨테이너 크레인 503
4. 신개념 안벽 크레인 제원 507
5. 신개념 양현 하역 시스템 508
제2절 야드 장비 511
1. 국내 야드 장비 실태 511
2. 해외 야드 장비 실태 518
제3절 이송 장비 522
1. 스트래들 캐리어 (Straddle Carrier) 및 셔틀 캐리어 (Shuttle Carrier) 522
2. AGV(Automated Guided Vehicles) 526
3. ALV(Automated Lifting Vehicles) 531
4. LMCS(Linear Motor Conveyance System) 532
제4절 장치장 및 기타 장비 537
1. COMPACT TERMINAL 537
2. CARGO DROME 538
3. NETHS 539
4. Rail car 540
5. Container 연결 Truck 544
제3장 항만하역장비 분석 및 대안 도출 546
제1절 안벽 장비 546
1. 안벽장비 선정 시 고려 사항 546
2. 하역장비의 하역속도 향상에 대한 한계점에 대한 검토 547
3. 초대형 컨테이너선용 안벽 하역 장비 대안 549
제2절 야드 장비 550
제3절 이송 장비 550
1. 이송장비 비교 분석 550
2. 자동화 터미널에서의 ALV와 AGV의 비교분석 551
제4장 항만하역장비의 핵심 기술 분석 556
제1절 안벽 장비 556
1. 주 구조물 556
2. 기계 및 전기제어 장치 556
제2절 야드 장비 557
제3절 이송 장비 557
제5장 기술 로드맵 560
제6장 안벽장비 개념 설계도 562
제1절 TOP VIEW 562
제2절 FRONT VIEW 563
제7장 연구목표 및 달성도[1차년도] 564
제8장 참고문헌 566
[첨부] 안벽 장비 생산성 분석(예시) 568
Chapter 1. Outline of R & D 492
Chapter 2. Foreign and domestic state of container handling equipment 494
Part 1. Quayside equipment 494
1. Foreign Super Container Crane 494
2. Domestic Super Container Crane 499
3. Automatic Terminal's Container Crane 503
4. Crane Specification of new concept quayside container crane 507
5. New concept of slip in system 508
Part 2. Yard equipment 511
1. Research the domestic yard equipment 511
2. Research the foreign yard equipment 518
Part 3. Yard Carriers 522
1. Straddle Carrier and Shuttle carrier 522
4. LMCS(Liner Motor Conveyance system) 532
Part 4. Stock and Other equipment 537
1. Compact terminal 537
2. Cargo dome 538
5. Multi container truck 544
Chapter 3. Analysis and proposal of container handling equipment 546
Part 1. Quayside equipment 546
1. Check points when selection of quayside equipment 546
2. Review the limit of increasing in speed 547
3. Proposal of quayside container crane 549
Part 2. Yard equipment 550
Part 3. Yard carriers 550
1. Comparison of yard carriers 550
2. Analysis of comparison with ALV & AGV 551
Chapter 4. Analysis of core technology of container handling equipment 556
Part 1. Quayside equipment 556
1. Main structure 556
2.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trol system 556
Part 2. Yard equipment 557
Part 3. Yard carriers 557
Chapter 5. Road map of technology 560
Chapter 6. Concept drawing of quayside equipment 562
Part 1. Top view 562
Part 2. Front view 563
Chapter 7. Plan vs. result 564
Chapter 8. Reference 566
[Attachment] Productivity analysis of quayside equipment(ex.) 568
[그림 2-1] 점보크레인 제원 494
[그림 2-2] 양현하역 터미널 495
[그림 2-3] 양현하역 크레인 495
[그림 2-4] Tandem Forties Crane 497
[그림 2-5] Elevating girder container crane 498
[그림 2-6] 광양항2단계2차 컨테이너 크레인 499
[그림 2-7] 부산 신항만 컨테이너크레인 501
[그림 2-8] CTA DHST 컨테이너크레인 외형도 503
[그림 2-9] CTA 터미널 전경 503
[그림 2-10] ECT항 DHST 컨테이너크레인 외형도 505
[그림 2-11] Paceco의 슈퍼테이너 507
[그림 2-12] 크리아텍의 테크노테이너 508
[그림 2-13] 슬립하우스형 양현하역 시스템 509
[그림 2-14] Slip with Bridge Crane (Liftech) 509
[그림 2-15] 플로팅 타입 1안 510
[그림 2-16] 플로팅 타입 2안 510
[그림 2-17] RMGC의 평면도(RMGC-1/RMGC-2) 511
[그림 2-18] RMGC의 정면도 (RMGC-1 & 2) 512
[그림 2-19] RMGC의 측면도 RMGC-1과 RMGC-2 512
[그림 2-20] 현대중공업 ATC 외형 514
[그림 2-21] 초대형 컨테이너선 전용터미널의 UCW 배열(평면배열) 515
[그림 2-22] CTA의 ATC장비 518
[그림 2-23] CTA 전경 518
[그림 2-24] CTA의 ATC 설치 개략도 519
[그림 2-25] RMGC 외형 및 RTG와 크기 비교도 521
[그림 2-26] PSA의 OHBC 외형 및 구조도 521
[그림 2-27] 일반용 스트래들 캐리어 523
[그림 2-28] Isoloader Container Transporter 외형도 523
[그림 2-29] Isoloader Container Transporter 524
[그림 2-30] Kalmar사의 Shuttle Carrier (http://www-kalmarind.com) 526
[그림 2-31] 현대중공업 AGV 외형도 528
[그림 2-32] MHI AGV 외형도 528
[그림 2-33] 자동운전을 위한 부속품 530
[그림 2-34] 제어 개념도 531
[그림 2-35] ALV 개념도 532
[그림 2-36] Eurokai Container Terminal의 리니어모터 Layout 534
[그림 2-37] Eurokai Container Terminal의 선형모터 이송시스템 개념도 535
[그림 2-38] 선형모터 이송시스템 구조도 536
[그림 2-39] COMPACTTERMINAL (Feasibility Studies) 537
[그림 2-40] COMPACTTERMINAL (Feasibility Studies graphics) 537
[그림 2-41] cargodrome artists impression 538
[그림 2-42] The cargodrome terminal 538
[그림 2-43] NETHS 작업 전경 539
[그림 2-44] Rail car 도해 540
[그림 2-45] ACTS System Rail car 542
[그림 2-46] 2단 적재로 운송중인 Rail Car 543
[그림 2-47] 운행중인 Box형 Rail Car 544
[그림 2-48] 운행중인 Container 연결 truck 545
[그림 3-1] 선박대비 안벽 크레인 사양 547
[그림 3-2] ACT에서의 Container 운영도 551
[그림 3-3] ACT에서의 이송장비 이동 경로 552
[그림 3-4] 모의실험 Model 553
[그림 3-5] 주어진 CC 생산성의 이송장비별 수량 554
[그림 3-6] AGV와 ALV 비교 절감효과 경계 555
[그림 6-1] 안벽장비 TOP VIEW 562
[그림 6-2] 안벽장비 FORNT VIEW 563
최종(단계)보고서 초록/남기찬
제1장 연구개발 과제의 개요 590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590
1. 연구의 배경 590
2. 연구의 목적 590
제2절 연구의 필요성 591
1. 기술적 측면 591
2. 경제·산업적 측면 591
3. 사회·문화적 측면 592
제3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592
1. 연구의 방법 592
2. 연구의 범위 592
제4절 연구의 흐름도 593
제2장 컨테이너 선박 대형화 현황 594
1. 대형 컨테이너 선박 594
2. 초대형 선박 엔진 598
제3장 해운항만분야 환경 변화 분석 600
제1절 선박 대형화에 따른 해운환경 변화 600
1. 해운기업의 대형화 600
2. 선사간 전략적 제휴 602
제2절 선박 대형화에 따른 항만환경 변화 604
1. 항만의 대형화 및 경쟁심화 604
2. 항만의 종합물류 기지화 605
3. 컨테이너터미널의 네트워크화 606
4. Hub-Port 개념 부각 606
5. 초대형선 비용 모델 607
6. 서비스 모델 609
제4장 국내·외 컨테이너터미널의 현황 612
제1절 국내·외 물동량 통계 612
1. 국내 컨테이너 물동량 612
2. 국외 컨테이너 물동량 616
제2절 국내 컨테이너터미널 작업 흐름 619
1. 컨테이너 터미널 수출화물 작업 흐름 619
2. 컨테이너 터미널 수입화물 작업 흐름 620
3. 컨테이너 터미널 내 철송 및 연안화물 작업 흐름 621
제3절 국내 컨테이너터미널의 시설 및 장비현황 622
1. 국내 컨테이너터미널의 시설현황 622
2. 부산항의 처리능력 624
3. 국내 컨테이너터미널의 장비현황 625
제4절 국내외 컨테이너터미널의 평면배치 626
1. 국내 각 컨테이너터미널의 평면배치 626
2. 해외 터미널의 평면 배치 628
3. 장치장 블록 배치 629
4. 국내 컨테이너 터미널의 제약 요인 분석 632
제5장 컨테이너터미널 물류기술 대안 634
제1절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에 대응한 터미널 물류기준 634
1. 안벽 634
2. 장치장 635
3. 이송 635
4. 게이트 636
제2절 초대형선 시나리오 636
1. 초대형선의 제원 636
2. 목표 하역 소요시간 산출기준 637
3. 부두형식 및 하역시스템 적용 기준 637
제3절 안벽대안에 따른 안벽 동선 대안 639
1. 선박의 접안 방향에 따른 안벽 동선 체계 639
2. Slip Type 640
3. Floating Type 641
4. 잔교 Type 643
5. 레인 수 대안 645
제4절 장치장 배치 대안 646
1. 건물 및 CFS지역 배치 646
2. 장치장 블럭배치 647
3. 가동식 부두의 Ship to Ship 를 위한 임시 장치장 대안 651
4. 장치장 동선 대안 653
5. 창고형 장치장 배치 및 양현부두 안벽의 동선체계 654
제5절 장치장 TGS 확보 대안 658
1. 장치장 규모 대안 658
2. 장치장 적재 단수에 따른 투입 가능 장비 대안 661
제6절 게이트 위치 및 배치 대안 667
제7절 하이브리드 부두(매립식부두+가동식 부두)의 세부 검토 668
1. 하이브리드 부두의 특징 668
2. 하이브리드 부두 중 가동식 부두 활용 방안 669
3. 가동식 부두의 개념적 배치도 672
4. 가동식 부두 작업 방법 673
5. 가동식 부두 활용 674
제6장 결론 676
제7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678
제8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680
제9장 참고문헌 682
Chapter I Introduction 590
1 Background and Object of this Project 590
2 Significance of this Project 591
3 Method and Scope of this Project 592
4 Flowchart of this Project 593
Chapter II The Background and Prospect Analysis about the Trend of Large Vessel 594
Chapter III The Analysis of Prospective Change in the Marine and Port Industry 600
1 Change of Environment in Marine Industry 600
2 Change of Environment in Port Industry 604
Chapter IV The Present Conditions of Domestic and Foreign Container Terminal 612
1 Domestic and Foreign Statistics of Container Cargo vol.me 612
2 Working Flow at Domestic Container Terminal 619
3 Facilities and Equipments of Domestic Container Terminal 622
4 Flat Arrangement of Domestic and Foreign Container Terminal 626
Chapter V The Alternative Proposal of Logistics Technology in Container Terminal 634
1 Measuring Logistics Technology in Container Terminal with the Trend of Large Vessel 634
2 Large Vessel Scenario 636
3 Berth Flow Proposal 639
4 Alternative Proposal of Storage Arrangement 646
5 Alternative Proposal of TGS Security 658
6 Alternative Proposal of Gate Location and Arrangement 667
Chapter VI Conclusions 676
Chapter VII Degree of Goal Achivement & Contribution 678
Chapter VIII Application Plan of Research Result 680
Chapter IX Reference 682
[표 2-1] 컨테이너선의 선대크기 594
[표 2-2] 대형 컨테이너선박의 제원 비교 595
[표 2-3] 초대형 컨테이너선에 관한 이론적인 연구 595
[표 2-4] 컨테이너선의 단계별 대형화 추이 596
[표 2-5] 국내 조선소의 대형 컨테이너선 건조 현황 597
[표 2-6] 포스트 파나막스선의 대표적 선형 597
[표 2-7] 컨테이너선의 규모별적 적재중량 598
[표 2-8] 최대 추진력에 따른 디젤엔진 형태 599
[표 2-9] 말라카막스급 컨테이너선의 추진력 599
[표 3-1] 세계 주요 선사의 M&A 동향 601
[표 3-2] 글로벌제휴 그룹 및 선사별 보유선박량 현황 603
[표 3-3] 선박 대형화의 항만에 대한 영향과 대책 605
[표 4-1] 전체 컨테이너화물 처리실적 현황 612
[표 4-2] 부두별 환적화물 연도별 처리실적 613
[표 4-3] 환적화물 타부두 처리량(2002년) 614
[표 4-4] 부산항 컨테이너화물 처리실적 현황 615
[표 4-5] 2003년 부산항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 616
[표 4-6] 2003년 세계 30대 컨테이너 항만 618
[표 4-7] 부산항 컨테이너 터미널의 시설 현황 623
[표 4-8] 터미널 장치장 세부사항 623
[표 4-9] 부산항 컨테이너 터미널의 면적 현황 624
[표 4-10] 컨테이너터미널별 처리능력 624
[표 4-11] 국내 터미널 장비 현황 625
[표 4-12] 부산항 주요 장비현황 625
[표 4-13] 일반형 T/C와 캔틸레버형 T/C 626
[표 4-14] 장치장 블록 배치형태의 기본개념 및 특징과 적용 터미널 630
[표 4-15] 장치장 블록 배치형태에 따른 항만과 야드 장비 현황 631
[표 4-16] 주요 외국 터미널의 안벽 및 장치장 배치현황 631
[표 4-17] 국내 컨테이너 터미널의 제약 요인 분석 632
[표 5-1] 초대형 선박의 제원기준 637
[표 5-2] 선박의 목표 하역 소요시간 기준 637
[표 5-3] 각 요소별 기준 659
[표 5-4] 1일 컨테이너 반출입 비율 659
[표 5-5] 선박 입항 가상 시나리오 660
[표 5-6] 시나리오별 필요한 TGS 규모 660
[표 5-7] 피크계수 1.3 반영시 시나리오별 필요한 TGS 규모 661
[표 5-8] 장치장 적재 단수에 따른 투입 가능 장비 대안 661
[표 5-9] 배치별 확인가능 TGS 대안 662
[표 5-10] 대안I의 경우,서비스기간 및 장치열수,레인수별 장치장 점유율 대안 662
[표 5-11] 잔교식의 수직,수평 배치시 TGS 확보 대안II 663
[표 5-12] 타부두 환적물량 처리 방안 666
[표 5-13] 선박 제원 및 처리량 670
[표 5-14] 1,500TEU급 이하 선박의 처리량 670
[표 5-15] 선박 크기 규모별 처리량 및 비율 670
[표 5-16] 처리량 기준 상위 20% 선박의 환적 처리량 및 비율 671
[표 5-17] 피더선박 접안 당시 적하 환적 수단 구분 671
[그림 3-1] 부산항이 Hub-Port일 경우 모선 및 피더선 운항 서비스 606
[그림 3-2] 상해항이 Hub-Port일 경우 모선 및 피더선 운항 서비스 606
[그림 3-3] 카오슝항이 Hub-Port일 경우 모선 및 피더선 운항 서비스 606
[그림 3-4] 도쿄항이 Hub-Port일 경우 모선 및 피더선 운항 서비스 606
[그림 3-5] 지역항이 Hub-Port로 발전하는 과정과 조건 607
[그림 3-6] 비용 모형 609
[그림 3-7] 서비스 모형 610
[그림 4-1] 컨테이너 터미널 수출화물 작업 흐름도 619
[그림 4-2] 수출 컨테이너화물의 세부 작업 흐름 620
[그림 4-3] 컨테이너 터미널 수입화물 작업 흐름 621
[그림 4-4] 수입 컨테이너 세부 작업 흐름 621
[그림 4-5] 철송 화물의 터미널 내 흐름 622
[그림 4-6] 연안 화물의 터미널 내 흐름 622
[그림 4-7] 한진해운 감천 터미널 Lay Out 627
[그림 4-8] 한진해운 감만 터미널 Lay Out 627
[그림 4-9] 허치슨 부산 터미널 Lay Out 628
[그림 4-10] 해외 주요 컨테이너 터미널의 평면 배치 629
[그림 5-1] 선박의 접안방향에 따른 안벽과 장치장의 동선체계 639
[그림 5-2] Dock형 안벽에 접안한 선박을 제외한 선박이 좌현접안인 경우 동선체계 641
[그림 5-3] Dock형 안벽에 접안한 선박을 제외한 선박이 우현접안인 경우 동선체계 641
[그림 5-4] 육측안벽에 우현접안 642
[그림 5-5] 초대형선은 우현접안,타 선석은 좌현접안 643
[그림 5-6] 육측 안벽의 선박은 우현접안 644
[그림 5-7] 초대형선을 제외한 육측안벽은 좌현접안 644
[그림 5-8] 크레인 당 작업레인 1레인,선용품 1레인,주행레인 2레인을 주는 안 645
[그림 5-9] 크레인 당 작업레인 1레인,선용품 1레인,주행레인 3레인을 주는 안 646
[그림 5-10] 운영건물 및 CFS지역 배치에 따른 장치장 대안 1 647
[그림 5-11] 운영건물 및 CFS지역 배치에 따른 장치장 대안 2 647
[그림 5-12] General 선석기준으로 안벽법선에 수평배치 안 648
[그림 5-13] General 선석기준으로 안벽법선에 수직배치 안 648
[그림 5-14] 처리량에 따른 장치장 구분 수평배치 안 649
[그림 5-15] 육측안벽에 수평배치 649
[그림 5-16] 육측안벽에 수직배치 650
[그림 5-17] 육측 안벽법선기준,수평배치 안 650
[그림 5-18] 육측 안벽법선기준,수직배치 안 651
[그림 5-19] 장치장 동선체계 예 653
[그림 5-20] Dock형 안벽 장치장과 General 장치장 분리 시 653
[그림 5-21] General 선석기준,전체 수평·수직 배치 시 654
[그림 5-22] 굴입형 양현부두의 창고형 장치장 배치 및 동선 대안 I 654
[그림 5-23] 굴입형 양현부두의 창고형 장치장 배치 및 동선 대안 II 655
[그림 5-24] 굴입형 양현부두의 창고형 장치장 배치 및 동선 대안 III 655
[그림 5-25] 잔교식 및 가동식 양현부두의 창고형 장치장 배치 및 동선 대안 I 656
[그림 5-26] 잔교식 및 가동식 양현부두의 창고형 장치장 배치 및 동선 대안 II 656
[그림 5-27] 잔교식 및 가동식 양현부두의 창고형 장치장 배치 및 동선 대안 III 656
[그림 5-28] 잔교식 및 가동식 양현부두의 창고형 장치장 배치 및 동선 대안 IV 657
[그림 5-29] 잔교식 및 가동식 양현부두의 창고형 장치장 배치 및 동선 대안 V 657
[그림 5-30] 잔교식 및 가동식 양현부두의 창고형 장치장 배치 및 동선 대안 VI 657
[그림 5-31] 환적화물을 위한 임시장치장을 두는 안 665
[그림 5-32] 타부두 환적화물만을 위한 임시장치장을 두는 안 665
[그림 5-33] 화물의 전체를 외부 차량만 이용 666
[그림 5-34] 화물의 일부는 외부 트럭,화물의 일부는 Barge Ship을 이용 667
[그림 5-35] 화물의 일부는 외부 트럭,화물의 일부는 Shuttle Ship을 이용 667
[그림 5-36] 게이트 위치 및 배치 대안 668
[그림 5-37] 가동식 부두의 개념도 674
[그림 5-38] 터미널 측면 활용 방안 674
[그림 5-39] 터미널 전면 활용방안 674
최종(단계)보고서 초록/박상민
표목차 697
그림목차 699
제1장 연구개발 개요 700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 700
제2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701
1. 기술적 측면 701
2. 경제·산업적 측면 701
3. 사회·문화적 측면 702
제3절 연구개발의 범위 702
1. 개발목표 702
2. 연구범위 703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704
제1절 국외 연구개발 현황 분석 705
1. 선진항만 선정 705
2. 첨단 연계운송 기술개발 현황 706
제2절 국내 연구개발 실태 분석 726
1. 첨단 연계운송 기술개발 현황 726
제3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728
제1절 적용 항만 환경 분석 728
1. 터미널 내부 환경 728
2. 터미널 외부 환경 729
제2절 첨단 연계운송 기술 대안 도출 731
1. 첨단 연계운송 형태 별 개념 설계 대안 제시 731
가. 개요 731
나. 대안선정 방식과 과정 732
다. 도로를 통한 외부 연계운송 732
라. 철도를 통한 외부 연계운송 735
마. 연안을 통한 외부 연계운송 739
제3절 대안의 개념설계 743
1. 도로를 통한 외부 연계 743
2. 철도를 통한 외부 연계 744
3. 연안을 통한 외부 연계 745
제4장 연차별 연구목표 및 달성도 748
제1절 개요 748
제2절 연차별 연구목표 및 달성도 748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752
제1절 추가연구의 필요성 752
제2절 타 연구에의 응용 752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754
제1절 Direct Access Rail To Ship(DARTS) System 754
제2절 Research Initiatives and other Developments related to Intermodal Terminals in Switzerland 754
제3절 IPSI-A Revolutionary concept for Intermodal transport 755
제7장 참고문헌 756
Chapter 1 Research Development Summary 700
Section 1. Purpose of Research Development 700
Section 2. Necessity of Research Development 701
1. technical side 701
2. economical·industrial side 701
3. social·cultural side 702
Section 3. Scope of Research Development 702
1. development target 702
2. research content 703
Chapter 2 Technique development situation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704
Section 1. Situation Analysis of Research Development in the Outside Country 705
1. selection of the advanced harbors 705
2. technique development situation of the newest bimodal transportation 706
Section 2. Situation Analysis of Research Development in the Inside Country 726
1. technique development situation of the newest bimodal transportation 726
Chapter 3 Contents and Result of the Research development 728
Section 1. Environment Analysis of Application Harbor 728
1. the inside environment of terminal 728
2. the outside environment of terminal 729
Section 2. Technical and Alternative Ideas of the newest Bimodal Transportation 731
1. alternative ideas suggestion of conceptual design by the newest bimodal transportation pattern 731
1.1 summary 731
1.2 the method and process of making an alternative idea 732
1.3 the outside bimodal transportation using roads 732
1.4 the outside bimodal transportation using railroads 735
1.5 the outside bimodal transportation using coasts 739
Section 3. Conceptual Design of an Alternative Idea 743
1 the outside bimodal using roads 743
2 the outside bimodal using railroads 744
3 the outside bimodal using coasts 745
Chapter 4 Research Target and Achievement by Year 748
Section 1. Summary 748
Section 2. Research Target and Achievement by Year 748
Chapter 5 Application Plan of Research Result 752
Section 1. Necessity of an Addition Research 752
Section 2. Application of Other Researches 752
Chapter 6 Science-Technique Information of the Outside Country 754
Section 1. Direct Access Rail To Ship(DARTS) System 754
Section 2. Research Initiatives and other Developments related to Intermodal Terminals in Switzerland 754
Section 3. IPSI-A Revolutionary concept for Intermodal Transport 755
Chapter 7 Reference 756
[표 3-1] 도로-평가기준 733
[표 3-2] 도로-적용환경 고려사항에 대한 평가 734
[표 3-3] 도로-비교 평가 기준에 대한 평가 734
[표 3-4] 부산신항 컨테이너 부두별 예측 철송물동량 735
[표 3-5] 철도-평가기준 736
[표 3-6] 철도-적용환경 고려 사항에 대한 평가 737
[표 3-7] 철도-비교 평가 기준에 대한 평가 738
[표 3-8] 연안-평가기준 740
[표 3-9] 연안-적용환경 고려사항에 대한 평가 741
[표 3-10] 연안-비교 평가 기준에 대한 평가 742
[그림 2-1] Combi-Road 706
[그림 2-2] MTS 707
[그림 2-3] DST 708
[그림 2-4] Side Loader 708
[그림 2-5] FlexiWaggon 709
[그림 2-6] Road Railer 710
[그림 2-7] Noell Megahub 711
[그림 2-8] COMMUTOR 712
[그림 2-9] Compact Terminal Tucshschmid 713
[그림 2-10] Transmann Handling Machine 714
[그림 2-11] Gateway Terminal HUPAC 715
[그림 2-12] CCT Plus 716
[그림 2-13] KRUPP Fast Handling System 717
[그림 2-14] DARTS 718
[그림 2-15] TSL 컨테이너 화물선 719
[그림 2-16] Train Loader 720
[그림 2-17] River-Sea 푸시바지 721
[그림 2-18] Rollerbarge 721
[그림 2-19] Schwople Barge 722
[그림 2-20] BEX 터미널 723
[그림 2-21] Mid-stream 724
[그림 2-22] IPSI Terminal 725
[그림 3-1] 부산신항 북컨테이너부두 운영계획도 728
[그림 3-2] 부산신항 평면배치 계획도 729
[그림 3-3] 부산신항의 배후도로 및 철도 730
[그림 3-4] 부산신항의 컨테이너 물동량 전망 731
[그림 3-5] 대안선정 프로세스 732
[그림 3-6] 부산신항의 단계별 개발 계획 평면도 733
[그림 3-7] 부산신항의 평면배치 계획도 739
최종보고서 초록/최장림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779
제1절 연구의 배경 779
제2절 연구의 목표 779
제3절 연구의 수행 범위 780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781
제1절 국내 외 기술개발 사례 조사 781
1. 국외 선진 컨테이너 터미널운영시스템 사례 조사 781
가. CTA 781
나. ECT 782
다. PSA 782
2. 국내 주요 컨테이너 터미널운영시스템 사례 조사 783
3. 해외 선진 터미널운영시스템 기술개발 동항 785
가. 계획 시스템 785
나. 운영 시스템 785
다. 관리 시스템 785
4. 국내외 터미널운영시스템 현황 조사에 대한 평가 786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787
제1절 국내외 기존 터미널운영시스템 분석 787
1. 국내외 기존 터미널운영시스템 분석 787
가. 국내외 기존 터미널운영시스템 구성도 및 주요 화면 787
나. 국내외 기존 터미널운영시스템의 기능 비교 791
제2절 차세대 하역 시스템 도입에 따른 터미널운영시스템 분석 792
1. 차세대 하역 시스템 도입에 따른 터미널운영시스템 적용성 검토 792
가. 새로운 하역장비 도입에 따른 업무절차 변경 관점 792
나. 증가된 물량에 따른 작업 복잡도 관점 792
다. 증가된 물량에 따른 서비스 시간 단축 관점 792
2. 차세대 하역 시스템 도입에 따른 장단점 및 해결 793
가. 장점 793
나. 단점 793
다. 해결안 793
3. 차세대 터미널운영 시스템에 대한 요구 기능 793
가. 하역 시스템 793
나. 이송 시스템 793
다. 장치장 시스템 794
라. 공통사항 794
제3절 대안별 개념 설계에 대한 터미널운영시스템 적용 타당성 검토 794
1. 항만 기술 개념 대안 794
가. 부유식 보조항만에 의한 양현 하역 터미널 기술 794
나. 굴입식 양현 하역 터미널 기술 795
2. 항만 시스템 기술 대안 795
가. 안벽 장비 795
나. 이송 장비 795
다. 야드 장비 796
3. 부유식 양현하역시스템 분석 797
가. 요구기능 797
나. Both sides operation 지원 안 797
다. Ship to ship operation 지원 안 797
4. 차세대 터미널운영시스템 대안 분석 802
제4절 차세대 터미널운영시스템 805
1. 차세대 터미널운영시스템 기술 분석 805
가. 차세대 터미널운영시스템 기술 트리 (Technology Tree) 805
나. 모듈별 세부 기술 사항 810
다. 차세대 터미널운영시스템 기술 로드맵 (Roadmap) 816
2. 유비쿼터스 기술 816
가. 유비쿼터스란 816
나. 유비쿼터스 네트워킹 817
다. 유비쿼터스 활용 방안 817
3. RFID 기술 818
가. 개요 818
나. 표준화 동향 820
다. 컨테이너 터미널의 RFID 응용 822
라. 컨테이너 보안 시스템 823
마. RFID 활용 방안 824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827
제1절 연구 개발 목표의 달성도 827
제2절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 827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829
제6장 참고문헌 831
Chapter 1. Outline of R&D 779
Paragraph 1. Background of R&D 779
Paragraph 2. Object of R&D 779
Paragraph 3. Achievement range of R&D 780
Chapter 2. Internal and external technical development state 781
Paragraph 1. Example investigation 781
1. Overseas TOS 781
a. CTA 781
b. ECT 782
c. PSA 782
2. Domestic TOS 783
3. Overseas advanced TOS technology development trend 785
a. Planning System 785
b. Operation System 785
c. Management System 785
4. Appreciation about overseas & domestic TOS investigation 786
Chapter 3. Contents and result of R&D 787
Paragraph 1. Existing TOS analysis 787
1. TOS analysis 787
a. TOS composition and main scene 787
b. Function comparison 791
Paragraph 2. TOS analysis by introducing next generation stevedore system 792
1. Suitability examination of TOS 792
a. Business formality alteration viewpoint 792
b. Work complexity viewpoint by increased amount of materials 792
c. Service time shortening viewpoint 792
2. Strength and weakness and solution 793
a. Strong points 793
b. Weak points 793
c. Solution 793
3. Needed function for next generation TOS 793
a. Stevedore system 793
b. Transfer system 793
c. Stacking yard system 794
d. Commonness 794
Paragraph 3. Terminal operation system application propriety examination about conceptual design by the alternative 794
1. The conceptional alternative of port technology concept alternative 794
a. Both-sided stevedore terminal technology by floating sub-port 794
b. Both-sided stevedore tei niinal technology by excavated harbor 795
2. Port system technology alternative 795
a. Quay equipment 795
b. Transfer equipment 795
c. Yard equipment 796
3. Both-sided stevedore system analysis by floating sub-port 797
a. Required function 797
b. Both sides operation support idea 797
c. Ship to ship operation support idea 797
4. Alternative analysis for Next Generation TOS 802
Paragraph 4. Next Generation TOS 805
1. Next Generation TOS Technology analysis 805
a. Next Generation TOS Technology Tree 805
b. Details technology item by module 810
c. Next Generation TOS Technology Roadmap 816
2. Ubiquitous Technology 816
a. Ubiquitous is 816
b. Ubiquitous Networking 817
c. Ubiquitous use plan 817
3. RFID Technology 818
a. Outline 818
b. Standardization trend 820
c. RFID application to container teiininal 822
d. Container security system 823
f. RFID use plan 824
Chapter 4. Degree of goal achivement & contribution 827
Paragraph 1. Degree of R&D goal achievement 827
Paragraph 2. Contribution to related fields 827
Chapter 5. Use plan of R&D result 829
Chapter 6. References 831
[표 2-1] 주요 외국항의 터미널운영시스템의 기능 및 자동화 정도 비교 783
[표 2-2] 국내 터미널의 시스템 현황 784
[표 2-3] 국내 터미널 소프트웨어 및 구축 시스템 784
[표 3-1] 터미널운영시스템 기능 비교 791
[표 3-2] 항만 기술별 터미널운영시스템 적용성 검토 796
[표 3-3] RFID 시스템 분류 819
[표 3-4] RFID의 국제표준 제정단계 현황 821
[그림 3-1] TSB 터미널운영시스템(CATOS) 구성도 787
[그림 3-2] CATOS 본선 계획 시스템 788
[그림 3-3] CATOS 선석 계획 시스템 788
[그림 3-4] CATOS 장치장 계획 시스템 788
[그림 3-5] CATOS 모니터링 및 통제 시스템 788
[그림 3-6] NAVIS 터미널 운영 시스템 구성도 788
[그림 3-7] NAVIS 본선 계획 시스템 789
[그림 3-8] NAVIS 철송 계획 시스템 789
[그림 3-9] NAVIS 장치장 계획 시스템 789
[그림 3-10] NAVIS 장비 통제 시스템 789
[그림 3-11] COSMOS 터미널 운영 시스템 789
[그림 3-12] COSMOS 본선 계획 시스템 790
[그림 3-13] COSMOS 장치장 계획 시스템 790
[그림 3-14] COSMOS 게이트 시스템 790
[그림 3-15] COSMOS E-Terminal 시스템 790
[그림 3-16] 부유식 양현하역시스템 단면도 797
[그림 3-17] Ship to Ship operation 모델 798
[그림 3-18] Ship to Shlp operation-물리적 제약 799
[그림 3-19] Ship to Ship operation-논리적 제약 799
[그림 3-20] ShiP to ShiP operation-Buffer Area 800
[그림 3-21] Ship to Ship operation-2 Times Shifting 800
[그림 3-22] Ship to Ship operation-혼합 801
[그림 3-23] 유비쿼터스 네트워킹 817
[그림 3-24] 유비쿼터스 활용방안 개념도 818
[그림 3-25] RFID 시스템의 표준화 프레임워크 821
[그림 3-26] RFID 활용방안 개념도 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