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제목
연안해역 건강도 평가 기술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II. 연구개발의 목표
진해만 건강성 평가 사례연구를 통한 연안해역 건강도 평가 방안의 재검토와 해양환경지수 개발을 위한 기반구축
III. 연구개발의 필요성
○ 연안해역 건강도 평가를 위한 일차적 기획연구를 수행하여 이론적 접근법이 제시되었으며, 현장평가 적용 시 도출되는 변수를 검토하기 위한 기반구축연구로 연구의 지속성을 확보하고자 함.
○ 국내 연안해역에 가해지는 오염원의 다원화에 대응할 수 있는 해역 환경 건강도 평가 방안의 틀을 마련하여 차후 관련 기술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함.
○ 신뢰성 있는 해역건강진단을 통해 평가결과를 효과적으로 홍보하여 지역민의 호응을 유도하고 지역의 해양환경개선 및 자원관리를 위한 관학연 연대구축의 구심점을 마련하고자 함.
○ 소규모(진해만) 해역의 건강도 평가법을 제사함으로 국내 연안해역 건강도 평가의 선도적 입지를 굳히고 연구원의 중, 장기적인 과제 발굴 및 국가적 차원의 지지 기반을 형성하고자 함.
IV. 사업내용 및 범위
○ 해양환경을 생태계 중심으로 조명하고자 생물요소와 화학요소로 구분하였으며 생물 요소는 부유생물, 저서생물, 바이오마커로 구성하였고, 화학요소는 각 생물의 압력요인으로 수질과 퇴적물질로 구성하여 해역환경의 총체적 평가를 시도함.
○ 국내외 관련 정보 및 보유자료를 토대로 각 요소의 평가지표를 예비 선별하여 선별된 평가지표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지표의 측정치를 근거로 각 요소의 지수 산출을 위한 통계학적 접근을 시도함.
○ 각 생물적 반응과 화학적 압력으로 부터 산출된 지수의 통합화를 위한 즉 종합 건강지수로의 표현 방안을 강구함.
○ 진해만 사례연구를 통해 진해만 건강성 평가를 실시하고 실제 현장 평가 시 발생되는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함.
○ 국외 평가 기준치를 적용하여 진해만 건강지수를 산출하고 진해만내 수역별 건강등급을 산정함.
V. 사업추진체계 및 전략
○ 예비연구는 i) 국내외관련 자료의 면밀한 재검토, ii) 축적자료 (마산만 기본사업, 진해만 보유자료) 결과를 토대로 예비 평가지표의 선별, iii) 진해만 현장조사를 통해 선별 지표의 검증 및 진해만 건강성 평가 결과 제시의 3단계의 추진체계로 전개됨.
○ 진해만의 특성을 고려한 부유생물지표, 저서생물지표, 바이오마커지표, 수질지표, 퇴적물지표를 선별하고 진해만 종합 건강성 평가 체계를 구성함.
○ 진해만의 부유생물지수, 저서생물지수, 바이오마커지수, 수질지수, 퇴적물지수를 산출하고 최종산물로 종합건강지수로 진해만 종합 건강성 평가 체계를 구성함.
VI. 기대효과
○ 예비연구를 통한 소규모 만수준의 평가를 토대로 중규모(예: 남해), 대규모(전국해역)로 확대하여 평가규모를 고려한 지표선별 및 지수산출을 체계적으로 발전시킴으로 국내 해역평가의 framework이 마련됨.
○ 생물관련 지표와 수질, 퇴적물에 대한 잠정권고기준이 제안되며 국내 해역환경평가 기준의 표준화를 통해 국내 연안환경관리를 효율적으로 도모할 수 있는 framewrok이 제시됨.
○ 소규모 만 수준의 진해만 건강평가는 향후 연안해역 건강진단을 위한 종합적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원의 중, 장기연구과제로 나아가 국가적 차원 대형 과제로 확대 개발이 가능함.
○ 마산, 진해 해역의 건강검진을 정기적으로 실시하며 오염을 효율적으로 감시, 관리, 복원할 수 있는 전문기구의 마련으로 즉, 가칭 해역건강검진센타의 건립을 통한 국가적 활용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