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머리말
요약
목차
제1장 서론 17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9
2. 연구범위 및 구성 21
제2장 식품 위험커뮤니케이션의 이론적 고찰 23
1. '위해'와 '위험'에 관한 고찰 25
가. '위해'의 개념 25
나. '위험'의 개념 26
다. '식품위해'와 '식품위험'의 구분의 필요성 28
2. 식품위험 커뮤니케이션의 개념 29
가. 위험 인지 29
나. 식품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개념 30
다. 식품 위험커뮤니케이션의 대두배경 34
라. 식품 위험커뮤니케이션의 목적 35
3. 식품위험 커뮤니케이션의 특성 고찰 37
가. 식품의 특성과 위험인지 37
나. 새로운 위험커뮤니케이션 모델 개발 41
다. 식품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구성요소 44
라. 식품위험 커뮤니케이션과 대중매체 51
마. 식품위험과 커뮤니케이션의 조화 57
제3장 식품 안전정보에 관한 소비자인식도 조사 59
1. 조사개요 61
가. 조사배경 및 목적 61
나. 조사방법 및 조사대상 선정 61
다. 조사 내용 62
라. 응답자 특성 64
2. 소비자의 위해에 대한 관심도 65
가. 식품(위해) 안전정보의 상대적 관심도 65
나. 식품 위해요소에 대한 위험인지도 66
다. 최근 1-2년간 식품위해 사례에 대한 관심도 68
라. 위해사례 인지 후 식품소비의 변화 71
3. 소비자의 위해정보 취득, 처리 및 신뢰도 평가 74
가. 식품 위해정보 취득 수단 74
나. 식품위해 정보원의 신뢰도 평가 74
다. 식품위해 정보의 문제점 76
라. 이해와 기억하기 쉬운 정보매체 77
4. 정부 등의 위험커뮤니케이션 노력 79
가. 식품위생 등 시장감시 모니터링 제도 인지실태 79
나. 식품 위험커뮤니케이션 제도 인지실태 82
다. 식품 위험커뮤니케이션 관련 프로그램 참가경험 및 유용성 84
5. 조사결과 시사점 및 정책 고려사항 85
제4장 식품안전 정책 및 법제상 위험커뮤니케이션 89
1. 소비자보호 종합시책 분석 91
가. 식품안전 관련 주요 시책현황 91
나. 위험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의 소비자보호 시책 평가 94
2. 식품위생법과 식품위험 커뮤니케이션 95
3. 식의약품안전청의 정책과 식품위험 커뮤니케이션 96
가. 정책부문 96
나. 식품 위험커뮤니케이션 업무조직 체계 99
4. 농림부 등의 정책과 식품위험 커뮤니케이션 100
가. 정책부문 100
나. 농림부의 식품 위험커뮤니케이션 업무 체계 102
제5장 주요국의 식품위험커뮤니케이션 법제, 정책현황 105
1. 유럽연합(EU) 107
가. 유럽의 식품정책 107
나. 식품법 녹서와 백서 108
다. 새로운 식품법 109
라. 유럽 식품안전청(EFSA) 111
마. 유럽연합의 식품안전 정책의 의미 114
2. 일본 115
가. 식품안전 정책의 한계 115
나. 새로운 식품안전 정책의 도입 116
다. 식품안전기본법의 체제 및 내용 117
라. 식품안전기본법상 위험커뮤니케이션 관련 내용 118
마. 식품안전위원회 119
바.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 120
3. 캐나다 122
4. 기타 국가 127
5. 국제동향 및 시사점 128
제6장 식품 위험커뮤니케이션 활성화 개선방안 131
1. 식품 위험커뮤니케이션의 문제점 133
2. 식품안전법제의 개선방안 134
가. 식품안전기본법(안) 개선방향 135
나. 식품위생법 개선방향 139
다. 소비자기본법의 개선방향 141
3. 식품 위험커뮤니케이션 정책체계 개선방안 144
가. 우리나라 위험커뮤니케이션 정책체계 현황 144
나. '식품안전위원회'의 역할과 위험분석 관련 내용검토 147
다. 위험커뮤니케이션 관련 정책 개선방안 148
4. 식품 위험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 개선방안 149
가. 식품 위험커뮤니케이션 마인드확산을 위한 정책적 지원필요 150
나. 정부의 식품 위험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 개선방안 150
다. 식품 위험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 효율성 제고를 위한 방안 152
제7장 결론 155
1. 정책제언 157
2. 향후 연구과제 159
참고 문헌 161
Executive Summary 167
부록 : 식품안전 정보에 관한 소비자 인식 조사표 171
판권기
〈표 2-1〉 P. Sandman의 '위험'에 대한 이해 26
〈표 2-2〉 Sandman의 Hazard/Outrage 반응모델 27
〈표 2-3〉 위험인지에 대한 양자의 차이 42
〈표 2-4〉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개발단계 45
〈표 2-5〉 놀람/ 두려움 요인들 50
〈표 2-6〉 미디어 촉발(trigger)요인 54
〈표 3-1〉 소비자 식품안전 정보 설문구성 체계 63
〈표 3-2〉 응답자 특성 분포 64
〈표 3-3〉 식품관련 정보별 관심도 65
〈표 3-4〉 식품안전 정보관심도 - 개인 월평균 수입 및 연령별 분석 66
〈표 3-5〉 위해요소별 위험의 크기 인지 점수 67
〈표 3-6〉 위해사례별 기억정도 69
〈표 3-7〉 가장 기억나는 사건과 그 이유 1 70
〈표 3-8〉 가장 기억나는 사건과 그 이유 2 71
〈표 3-9〉 위해요소별 소비자들의 위험회피 방식 73
〈표 3-10〉 성별 위험정보 획득 선호매체 - 성별분석 77
〈표 3-11〉 위험정보 획득 선호매체 - 연령별 분석 78
〈표 3-12〉 위험정보 획득 선호매체 - 직업별 78
〈표 3-13〉 식품위험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의 참가경험 및 유용성 84
〈표 4-1〉 식품의약품안전청의 2006년 식품안전 관련 정책 목표 97
〈표 4-2〉 2006년도 농림부의 6대 정책 추진목표 101
〈표 4-3〉 농림부의 식품안전 정책 노력 103
〈표 5-1〉 유럽연합의 기구 및 기능 107
〈표 5-2〉 식품안전 정책의 5원칙 109
〈표 5-3〉 신 식품법 내용 110
〈표 5-4〉 EU 의회/각료 이사회규칙 111
〈표 5-5〉 캐나다 정부의 위험수준별 위험분석 틀 123
〈표 5-6〉 CFIA의 위험커뮤니케이션 모델적용 사례 125
〈표 5-7〉 기타국가의 식품안전관리 128
〈표 5-8〉 기타국가의 식품안전관리 2 128
〈표 6-1〉 식품안전기본법안(고경화 의원 발의) - 위해요소 평가의 실시 137
〈표 6-2〉 식품안전기본법(안) (위험분석 체계 확립) 개선방안(예시) 139
〈표 6-3〉 '위험 커뮤니케이션 관련' 식품위생법 개선방안 141
〈표 6-4〉 소비자 참여보장을 위한 관련 법규 개선방안 143
〈표 6-5〉 우리나라 식품 안전 관리체계 146
〈표 6-6〉 관계행정기관 상호협력 체계 관련 개선방안(예시) 149
〈그림 2-1〉 위험평가 및 관리의 기본과정 33
〈그림 2-2〉 신뢰구축 - 3가지 일반원칙 47
〈그림 2-3〉 소비자들의 위험에 대한 평가태도 49
〈그림 2-4〉 사실과 두려움, 신뢰의 모습 50
〈그림 5-1〉 캐나다 정부의 식품안전 의사결정 모델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