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 21세기, 중국의 자기인식은 가능한가 -‘제국성’과 ‘근대 극복론’의 유혹 1부 국가, 유학, 지식인1장 현대 중국의 유학 부흥과 ‘문명제국’의 재구축1. ‘권력-지식 복합체로서의 유학’인가, ‘비판담론으로서의 유학’인가2. ‘유학 비판’을 통한 ‘국민국가’ 건설3. ‘유학긍정’을 통한 21세기 ‘문명제국’의 기획 4. 중국모델론과 유학담론5. ‘비판담론으로서의 유학’의 재건을 위해2장 중국의 유학담론과 복수의 공공성1. 왜 ‘복수의 공공성’인가2. 유학 불러오기에서의 정체성, 역사성, 윤리성3. 권력과 소비사회4. 타자성과 윤리성5. 약자의 기입공간으로서의 ‘복수의 공공성’ 2부 문화적 보수주의, 정치적 보수주의, 그리고 유학3장 1990년대 중국 신보수주의의 탄생과 유학의 재조명1. 중국의 보수와 진보,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2. 중국 신보수주의의 출현 배경과 성격3. 중국 신보수주의의 연원과 특징4. 신보수주의의 문화 구상과 유학의 재해석 5. 신보수주의가 구상하는 중국의 미래와 동아시아4장 5-4 시기 신지식인 집단의 출현과 보수주의1. 5-4 신문화운동과 보수주의의 논의 조건2. 신문화운동과 5-4운동, 그리고 제1차 세계대전3. 신지식인 집단의 출현과 신문화운동의 유가윤리 비판4. 신문화운동에 대한 보수주의의 초기 대응5. 5-4의 보수주의-근대 성찰의 가능성과 한계3부 현대 중국의 민족주의와 그 아포리아5장 현대 중국의 민족주의와 동아시아 인식1. 현대 중국 민족주의의 아포리아2. 1990년대 이후 중국 민족주의 담론의 발생 배경3. 중국 민족주의 담론의 내용과 쟁점4. 민족주의 담론 속의 동아시아 인식과 비판5. 중국의 민족주의와 민주주의6장 중국 근대 민족주의의 구조와 성격1. 근대 중국 민족주의의 아포리아2. 중국 민족주의의 구국적 성격-사회주의와 결합 한 정치민족주의3. 중국 민족주의의 구망적 성격-보수주의와 결합한 문화민족주의4. 중국의 독자적 근대와 민족주의의 향방4부중국의 소수민족 문제와 중화민족론7장 중국의 주변 문제, 티베트를 보는 다른 눈―한족 출신 양심적 지식인 왕리슝과의 대담1. ‘황화黃禍’를 예언하는 불복종의 작가정신 2. 일상화-대중화한 민족 갈등 3. 달라이 라마라는 ‘피안’ 4. 마음속의 경찰, 종교5. 부메랑으로 돌아올 세속화정책6. 중화민족, 제국의 영광과 꿈7. 티베트를 보는 균형 잡힌 관점과 아시아적 전망8장 현대 중국의 소수민족과 ‘국민화’ 이데올로기1. 중화민족 개념-‘국민화’ 이데올로기2. 민족담론과 소수민족의 시선3. 중화민족의 외연 확장과 그 의미4. 당대의 중화민족 해석-중화민족다원일체론5. 다민족사회와 공존의 길출전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