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11
Ⅰ. 서론 26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26
2. 연구목적 27
3. 연구방법 및 분석의 범위 27
4. 보고서의 구성 및 주요내용 29
Ⅱ. 방송콘텐츠 수출현황 및 선행연구 검토 31
1. 방송콘텐츠 해외진출 현황 31
1) 방송산업 수출입 현황 총괄 31
2) 방송사업자별 방송콘텐츠 수출 현황 31
3) 방송콘텐츠 장르별 수출 현황 33
4) 권역별ㆍ국가별 방송콘텐츠 수출 현황 34
5) 방송콘텐츠의 해외 진출 방식 35
2. 선행연구 검토 36
1) 해외 시장에 진출한 방송콘텐츠의 특성과 성과 36
2) 콘텐츠 수출과 국가 수출성과의 인과관계 40
3) 콘텐츠산업이 소비재 수출 및 제조업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 43
4) 소결 및 시사점 51
Ⅲ. 방송콘텐츠 해외진출을 위한 성공요인 분석 53
1. 국가별 방송콘텐츠 유통/플랫폼 환경 분석 53
1) 국가별 방송시장 현황 53
2) 국가별 플랫폼 환경 56
2. 국가별 방송콘텐츠 제작 환경 분석 65
3. 국가별 방송콘텐츠 소비 트렌드 분석 72
4. 국가별 한국 방송콘텐츠 진출사례 82
5. 국가별 한국 방송콘텐츠 진입유형 도출 89
Ⅳ. 방송산업과 제조업의 연계성 분석 93
1. 방송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및 산업연쇄효과 93
1) 산업연관분석 개요 93
2) 분석방법 94
3) 자료수집 97
4) 분석결과 및 시사점 100
2. 방송산업 산업연쇄효과의 국가 간 비교 105
3. 국가별 방송산업 연계 제조업 품목 탐색 110
1) 분석개요 110
2) 국가별 수입품목 현황 분석 114
3) 소결 및 시사점 132
Ⅴ. 방송콘텐츠-제조업 동반진출 이슈도출 및 전략방향 136
1. 조사개요 136
2. 방송콘텐츠 속성 및 제작 특성 차원 140
1) 방송콘텐츠-제조업 연계 개념 인식 140
2) 한국 방송콘텐츠의 강점 인식 141
3. 광고ㆍ유통 플랫폼 관련 요인 143
1) 한국 방송콘텐츠 핵심 유통체계 인식 143
2) 방송콘텐츠-제조업 연계상품 유통경로 인식 144
4. 환경 대응 전략 요인 146
1) 한국 방송콘텐츠-제조업 연계 유망 분야 146
2) 방송콘텐츠-제조업 연계 유망 유통 채널 148
3) 방송콘텐츠-제조업 연계 진출의 애로사항 150
4) 방송콘텐츠-제조업 연계 과정 상 한국 기업 약점 151
5. 소결 : 한국 방송콘텐츠-제조업 동반진출 방향 도출 153
Ⅵ. 결론: 방송콘텐츠-제조업 부가가치 창출 전략 155
1. 연구 결과의 요약 155
1) 국가별 방송콘텐츠 수출 전략 155
2) 국가별 유망 업종 157
3) 방송콘텐츠-제조업 동반진출 전략 및 세부연계유형 158
2. 방송콘텐츠-제조업 연계 지원 정책 방향 165
1) OTT 서비스/제조업 상품 연계 지원정책 165
2) 업종별 광고 지원 정책 168
3) 방송콘텐츠/제조업 연계상품 컨셉스토어 지원정책 169
4) 바터신디케이션 활용 및 권역별 맞춤화 PPL 지원 170
5) 현지 콘텐츠 기업 제휴 및 인수합병 컨설팅 지원 171
3.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172
참고문헌 173
판권기 177
[표 Ⅱ-1] 최근 5개년 방송산업 수출입 현황 31
[표 Ⅱ-2] 사업자별 방송콘텐츠 수출 추이 32
[표 Ⅱ-3] 방송콘텐츠 장르별 수출실적 추이 33
[표 Ⅱ-4] 권역별/국가별 방송콘텐츠 수출 추이 34
[표 Ⅱ-5] 방송콘텐츠의 해외진출 형태 35
[표 Ⅱ-6] 20대 K-Product와 품목 분류 45
[표 Ⅱ-7] 한류의 직ㆍ간접 수출효과 추정결과 46
[표 Ⅱ-8] 문화콘텐츠 한류영향계수 및 국가별 소비재 한류영향계수 47
[표 Ⅱ-9] 주요 국가별 한류 콘텐츠로 인한 한국상품 소비에의 영향력 47
[표 Ⅱ-10] K-소비재 품목코드 48
[표 Ⅱ-11] 2016년 상반기 수출증가율 상위 품목 49
[표 Ⅱ-12] 산업연관표 기반 콘텐츠산업 경제성 분석 연구들 50
[표 Ⅲ-1] 국가별 방송시장 규모 및 전망 53
[표 Ⅲ-2] 방송 유통/플랫폼 관련 주요 지표 56
[표 Ⅲ-3] 한국 지상파방송사 계약 주요 해외유통플랫폼 56
[표 Ⅲ-4] 대만 방송시장 내 OTT 핵심 사업자 59
[표 Ⅲ-5] 인도네시아 방송시장 내 플랫폼별 핵심 사업자 61
[표 Ⅲ-6] 베트남 방송시장 내 플랫폼별 핵심 사업자 62
[표 Ⅲ-7] 태국 방송시장 내 플랫폼별 핵심 사업자 63
[표 Ⅲ-8] 미국 방송시장 내 플랫폼별 핵심 사업자 63
[표 Ⅲ-9] 국가별 방송산업 Key-Player 및 핵심 이슈 65
[표 Ⅲ-10] 국가별 제작환경 고려 이슈 71
[표 Ⅲ-11] 주요 3성 위성사 시즌별 인기 예능 유형 비교 73
[표 Ⅲ-12] 2016-하반기 일본 드라마 인기 순위 75
[표 Ⅲ-13] IMDB 2016 Top 10 콘텐츠 현황 80
[표 Ⅲ-14] 중국/홍콩 시장 내 한국 방송콘텐츠 대표 진출 사례 83
[표 Ⅲ-15] 일본 시장 내 한국 방송콘텐츠 대표 진출 사례 85
[표 Ⅲ-16] 한/일 간 드라마 편성 관행 비교 85
[표 Ⅲ-17] 인도네시아 내 한국 콘텐츠 진출 사례 86
[표 Ⅲ-18] 베트남 시장 내 한국 방송콘텐츠 편성 추이 87
[표 Ⅲ-19] 한국 방송콘텐츠 진입 유형 89
[표 Ⅳ-1] 국내 산업연관분석의 산업 범주 분류 98
[표 Ⅳ-2] 국제 산업연관분석의 산업 범주 분류 99
[표 Ⅳ-3] 국내 방송산업이 전 산업에 미치는 생산유발효과 100
[표 Ⅳ-4] 방송산업의 산업별 부가가치유발효과 101
[표 Ⅳ-5] 산업별 감응도계수(전방연쇄효과) 102
[표 Ⅳ-6] 산업별 영향력계수(후방연쇄효과) 104
[표 Ⅳ-7] 주요 국가별 방송산업의 전방연쇄효과 105
[표 Ⅳ-8] 주요 국가별 방송산업의 후방연쇄효과 106
[표 Ⅳ-9] 국가별 방송산업이 미치는 파급효과(감응도계수/전방연쇄효과) 108
[표 Ⅳ-10] 국가별 방송산업이 미치는 파급효과(영향력계수/후방연쇄효과) 109
[표 Ⅳ-11] 무역통계 분류를 위한 HS 품목코드 속견표(2단위 기준) 110
[표 Ⅳ-12] 주요국가 일반 경제현황 111
[표 Ⅳ-13] 국가별 주요 경제지표 112
[표 Ⅳ-14] 한국과의 무역현황(2016년 9월 기준) 113
[표 Ⅳ-15] 수입품목 현황 분석(일본) 114
[표 Ⅳ-16] 수입품목 10위권 목록(일본) 115
[표 Ⅳ-17] 수입품목 현황 분석(중국) 116
[표 Ⅳ-18] 수입품목 10위권 목록(중국) 117
[표 Ⅳ-19] 수입품목 현황 분석(태국) 118
[표 Ⅳ-20] 수입품목 10위권 목록(태국) 119
[표 Ⅳ-21] 수입품목 현황 분석(홍콩) 120
[표 Ⅳ-22] 수입품목 10위권 목록(홍콩) 121
[표 Ⅳ-23] 수입품목 현황 분석(대만) 122
[표 Ⅳ-24] 수입품목 10위권 목록(대만) 123
[표 Ⅳ-25] 수입품목 현황 분석(베트남) 124
[표 Ⅳ-26] 수입품목 10위권 목록(베트남) 125
[표 Ⅳ-27] 수입품목 현황 분석(인도네시아) 126
[표 Ⅳ-28] 수입품목 10위권 목록(인도네시아) 127
[표 Ⅳ-29] 수입품목 현황 분석(미국) 128
[표 Ⅳ-30] 수입품목 10위권 목록(미국) 129
[표 Ⅳ-31] 국가별 유망 제조업 품목 도출결과 130
[표 Ⅳ-32] 국가별 유망 생활소비재 업종 및 내용 131
[표 Ⅴ-1] 설문조사 응답 전문가 풀 구성 137
[표 Ⅴ-2] 권역별 전문가 인터뷰 대상자 138
[표 Ⅴ-3] 설문조사ㆍ전문가 인터뷰ㆍFGI 질의 내용 138
[표 Ⅴ-4] FGI 대상자 명단 139
[표 Ⅴ-5] 한류스타 마케팅 사례 142
[표 Ⅴ-6] 주요 국가별 핵심 OTT 사이트 현황 145
[표 Ⅴ-7] 한국 지상파방송사 연간계약 중국 동영상사이트 145
[표 Ⅴ-8] 문항별 핵심 이슈 및 조사결과 종합 152
[표 Ⅴ-9] 동반진출 연계 방향 153
[표 Ⅴ-10] 간접광고 유형 154
[표 Ⅵ-1] 국가별 방송 콘텐츠 수출 관련 현안 155
[표 Ⅵ-2] 국가별 유망 소비재 수입 품목 157
[표 Ⅵ-3] 한국방송콘텐츠/제조업 동반진출 연계 방향 158
[표 Ⅵ-4] 중국 시장 동반진출 사례 159
[표 Ⅵ-5] 7개 시장 동반진출 사례 160
[표 Ⅵ-6] 방송콘텐츠-제조업 연계 부가가치 창출전략 핵심 제언 사항 165
[표 Ⅵ-7] 지역별 핵심 OTT 사업자 특성 166
[표 Ⅵ-8] 업종별 광고지원 정책 시나리오 168
[표 Ⅵ-9] 컨셉스토어 지원 정책 시나리오 169
[표 Ⅵ-10] 바터신디케이션 활용 및 권역별 PPL 지원 시나리오 170
[표 Ⅵ-11] 현지 콘텐츠 기업 제휴 및 인수합병 컨설팅 지원 시나리오 171
[그림 Ⅰ-1] 연구의 구성 및 진행 단계 30
[그림 Ⅲ-1] 최근 8년간 중국 방송시장 성장 추이 54
[그림 Ⅲ-2] 중국 방송시장 내 이해관계자 구도 57
[그림 Ⅲ-3] 대만 방송시장 내 콘텐츠 제작 동향 67
[그림 Ⅲ-4] 인도네시아 방송시장 내 콘텐츠 방영비율 동향 68
[그림 Ⅲ-5] 중국 방송시장 내 Top 50 콘텐츠 장르 72
[그림 Ⅲ-6] 미국 방송사별 시청점유율 현황 79
[그림 Ⅴ-1] 방송콘텐츠-제조업 연계 성공요인 분석 절차 137
[그림 Ⅴ-2] 방송콘텐츠-제조업 연계 개념 인식 관련 140
[그림 Ⅴ-3] 한국 방송콘텐츠 강점 인식 141
[그림 Ⅴ-4] 한국 방송콘텐츠 핵심 유통체계 인식 143
[그림 Ⅴ-5] 방송콘텐츠-제조업 연계 상품 유통 경로 144
[그림 Ⅴ-6] 방송콘텐츠-제조업 연계 유망 분야 146
[그림 Ⅴ-7] 방송콘텐츠-제조업 연계 유망 유통 채널 148
[그림 Ⅴ-8] 방송콘텐츠-제조업 연계 진출 문제점 150
[그림 Ⅴ-9] 방송콘텐츠-제조업 연계 과정 상 한국 기업 약점 151
[그림 Ⅵ-1] 중국 시장 진출 전략 161
[그림 Ⅵ-2] 대만 시장 진출 전략 161
[그림 Ⅵ-3] 일본 시장 진출 전략 162
[그림 Ⅵ-4] 베트남 시장 진출 전략 162
[그림 Ⅵ-5] 인도네시아 시장 진출 전략 163
[그림 Ⅵ-6] 태국 시장 진출 전략 163
[그림 Ⅵ-7] 미국 시장 진출 전략 164
[그림 Ⅵ-8] 중국 OTT 아이치이 협업 지원 정책 시나리오 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