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제출문
서망항 다기능어항(복합형) 개발계획 조감도
목차
제1장 과업의 개요 40
1.1. 과업의 추진배경 및 특징 40
1.1.1. 과업의 배경 40
1.1.2. 과업의 목적 41
1.2. 과업의 위치 41
1.3. 과업의 기간 41
1.4. 과업의 범위 42
1.5. 과업 수행 흐름도 43
1.6. 과업 수행 현황 44
1.6.1. 과업수행 경위 44
1.6.2. 과업수행 업체 45
제2장 기초자료조사 47
2.1. 어항의 현황 47
2.1.1. 어항의 연혁 47
2.1.2. 어항의 세력권 48
2.1.3. 어항구역 현황 49
2.1.4. 어항시설 현황 50
2.1.5. 어항 이용현황 64
2.2. 자연조건 조사 67
2.2.1. 지형 및 지세 67
2.2.2. 기상조건 68
2.2.3. 해상조건 98
2.3. 입지여건조사 101
2.3.1. 지리적 여건 101
2.3.2. 인문·사회현황 102
2.3.3. 산업 및 경제여건 현황 105
2.3.4. 교통 현황 108
2.3.5. 동력 및 상·하수도 현황 110
2.3.6. 관광자원 및 관광실태조사 112
2.4. 관련계획 117
2.4.1. 상위관련계획 117
2.4.2. 지역관련계획 124
2.4.3. 어항관련계획 140
2.4.4. 경관관련계획 145
2.5. 해외선진 리모렐링 사례 조사 152
2.5.1. 외국 친수·관광시설 개발사례 152
2.5.2. 친수시설 개발사례 154
2.5.3. 다기능어항 관련 해외 선진어항 157
2.5.4. 해외 수산물류 개발사례 162
제3장 현지조사 169
3.1. 지형 및 수심측량 169
3.1.1. 조사개요 169
3.1.2. 기준점측량 170
3.1.3. 수준측량 176
3.1.4. 지형측량 178
3.1.5. 수심측량 179
3.2. 지반조사 186
3.2.1. 조사개요 186
3.2.2. 조사내용 187
3.2.3. 조사결과 188
3.2.4. 설계정수 산정 201
3.3. 용지 및 보상물 조사 208
3.4. 지장물 및 지하매설물 조사 209
3.5. 재료원 조사 211
3.5.1. 개요 211
3.5.2. 골재원 및 토취장 211
3.5.3. 기타 재료원 211
3.6. 공사용 제작장 및 적출장 212
3.6.1. 개요 212
3.6.2. 제작장 및 적출장 선정 212
3.6.3. 공사용 적출장 212
3.7. 설문조사 213
3.7.1. 배경 및 목적 213
3.7.2. 조사 내용 213
3.7.3. 조사 방법 214
3.7.4. 응답자의 특성 214
3.7.5. 주요 설문 결과 요약 215
제4장 기본계획 226
4.1. 개발기본방향 226
4.1.1. 계획수립의 배경 226
4.1.2. 개발사업의 이해 및 컨셉 설정 227
4.1.3. 서망항의 개발방향 228
4.1.4. 시설계획 목표년도 229
4.2. 지자체 공모사업 계획서 검토 230
4.2.1. 개요 230
4.2.2. 지자체 공모안 분석 230
4.2.3. 결론 235
4.3. 시설 소요규모 산정 236
4.3.1. 어선척수 추정 236
4.3.2. 어획량 추정 243
4.3.3. 부두 기능별 적용어선 245
4.3.4. 접안시설 소요규모 산정 246
4.3.5. 수역시설 소요규모 산정 256
4.3.6. 육상기능시설 소요규모 산정 263
4.4. 배후부지 도입시설 검토 276
4.4.1. 도입시설 검토 276
4.4.2. 설문조사 분석결과 284
4.4.3. 도입시설 선정 284
4.5. 배후부지 시설규모 산정 286
4.5.1. 관광수요 예측 286
4.5.2. 관광객 현황 및 추정 287
4.5.3. 배후부지 시설규모 산정 290
4.6. 평면배치계획 293
4.6.1. 개발방향 설정 293
4.6.2. 경관계획 295
4.6.3. 부두기능 정비 316
4.6.4. 배후부지 기능 정비 319
4.6.5. 평면계획안 선정 322
4.6.6. 친수시설 계획 326
4.6.7. 브랜딩 계획 329
제5장 기본설계 331
5.1 설계기준 및 조건 331
5.1.1 설계기준 및 참고문헌 331
5.1.2. 자연조건 및 대상선박 제원 333
5.1.3. 하중조건 334
5.1.4. 사용재료 조건 334
5.1.5. 준설조건 338
5.1.6. 지반조건 339
5.1.7. 안전율 및 기타 339
5.1.8. 내진설계기준 341
5.2. 기존방파제 검토 344
5.2.1. 검토방향 344
5.2.2. 시설물 안정검토 346
5.2.3. 기존방파제 보강 348
5.3. 외곽시설 350
5.3.1. 개요 350
5.3.2. 주요제원 결정 351
5.3.3. 상부단면 구조형식 358
5.4. 접안시설 370
5.4.1. 개요 370
5.4.2. 주요제원 결정 371
5.4.3. 상부단면 구조형식 374
5.5. 연약지반 지반개량 384
5.5.1. 하부기초처리 검토 384
5.5.2. 구간별 안정검토 397
5.5.3. 계측관리 및 확인조사 계획 417
5.5.4. 심층혼합처리공법 시공계획 423
5.6. 조경 425
5.6.1. 식재계획 425
5.6.2. 시설물계획 426
5.6.3. 포장계획 429
5.7. 건설계획 430
5.7.1. 개요 430
5.7.2. 개략공사비 432
5.7.3. 소요물량 433
5.7.4. 연차별 투자계획 433
제6장 수치모형실험 436
6.1. 파랑변형 실험 436
6.1.1. 입력자료 436
6.1.2. 실험개요 444
6.1.3. 모형의 설명 447
6.1.4. 실험결과 453
6.2. 항내정온도 검토 479
6.2.1. 실험개요 479
6.2.2. 모형수립 480
6.2.3. 모형의 설명 489
6.2.4. 실험방법 494
6.2.5. 실험결과 494
6.3. 해수유동 실험 503
6.3.1 실험개요 503
6.3.2. 사용모델 504
6.3.3. 모형수립 507
6.3.4. 모델검증 509
6.3.5. 실험결과 512
6.4. 퇴적물이동 실험 531
6.4.1. 실험개요 531
6.4.2. 모형의 설명 531
6.4.3. 실험조건 및 입력조건 533
6.4.4. 실험결과 534
6.5. 부유사확산 실험 538
6.5.1. 실험개요 538
6.5.2. 모형의 설명 538
6.5.3. 입력조건 539
6.5.4. 실험결과 542
제7장 사전재해 영향성 검토 545
7.1. 실시근거 및 협의절차 545
7.1.1. 실시근거 545
7.1.2. 협의절차 545
7.2. 검토대상지역 설정 546
7.2.1. 유형별 개념의 검토범위 설정 546
7.2.2. 예상재해 유형별 검토대상지역 설정 547
7.3. 재해영향예측 및 저감대책 549
7.3.1. 재해영향예측 549
7.3.2. 저감대책 553
7.4. 종합평가 555
제8장 경제성 분석 558
8.1. 경제성 분석의 기본사항 559
8.1.1. 분석방법론 559
8.1.2. 시장가치의 추정방법 559
8.1.3. 비시장가치의 추정방법 563
8.1.4. 경제성 분석의 전제 조건 565
8.2. 경제성 분석 567
8.2.1. 서망항 개발의 시장 편익 추정 567
8.2.2. 비시장가치의 추정 576
8.2.3. 서망항 건설의 경제적 파급효과 585
8.3. 사업효과 평가를 위한 모니터링 조사 588
8.3.1. 모니터링의 개요 588
8.3.2. 모니터링 방법론 588
8.3.3. 어항건설에 대한 프로그램 모니터렁 595
8.3.4. 어항건설에 대한 성과 모니터링 599
제9장 결론 및 건의 613
9.1. 결론 613
9.2. 건의 614
9.2.1. 사업극대화 방안 614
9.2.2. 주체별 역할분담 614
과업수행경위 첨부자료 615
1. 착수보고회(2014.11.18) 616
2. 제1차 자문회의(2014.12.26) 621
3. 제1차 지역 주민 간담회(2014.05.21) 630
4. 중간보고회(2015.05.29) 632
5. 제2차 지역주민 간담회(2015.06.23) 636
6. 주민설명회(2015.08.31) 638
7. 제3차 지역주민 간담회(2015.10.12) 641
8. 제2차 자문회의(2015.11.13) 644
9. 최종보고회(2015.12.11) 663
참여기술자 명단[개인신상정보삭제] 665
〈표 2.1.1〉 서망항 연혁 47
〈표 2.1.2〉 서망항 어항구역 49
〈표 2.1.3〉 기본시설 현황 51
〈표 2.1.4〉 외곽시설 현황 52
〈표 2.1.5〉 접안시설 현황 53
〈표 2.1.6〉 토지이용현황 61
〈표 2.1.7〉 VTS 시설현황 63
〈표 2.1.8〉 세력권내 톤급별 어선현황 64
〈표 2.1.9〉 선종별 재적어선 64
〈표 2.1.10〉 톤급별 입출항 현황 65
〈표 2.1.11〉 낚시어선 현황 65
〈표 2.1.12〉 서망항 어획량 65
〈표 2.1.13〉 서망항 어업권 현황 66
〈표 2.2.1〉 진도기상대 연혁 68
〈표 2.2.2〉 진도기상대 관측환경 68
〈표 2.2.3〉 목포기상대 연혁 69
〈표 2.2.4〉 목포기상대 관측환경 69
〈표 2.2.5〉 기상개황 70
〈표 2.2.6〉 윌별해면기압 71
〈표 2.2.7〉 월별기온 71
〈표 2.2.8〉 월별풍속 72
〈표 2.2.9〉 풍향별 최대풍속 72
〈표 2.2.10〉 계절별 풍향·풍속 빈도율 73
〈표 2.2.11〉 월별강수량 76
〈표 2.2.12〉 월별상대습도 76
〈표 2.2.13〉 월별천기일수 77
〈표 2.2.14〉 작업 불가능 일수 산정기준 78
〈표 2.2.15〉 기상장애일수 78
〈표 2.2.16〉 작업불가능일수 79
〈표 2.2.17〉 작업가능일수 79
〈표 2.2.18〉 기상개황 80
〈표 2.2.19〉 월별해면기압 81
〈표 2.2.20〉 윌별기온 81
〈표 2.2.21〉 윌별풍속 82
〈표 2.2.22〉 풍향별 최대풍속 82
〈표 2.2.23〉 계절별 풍향·풍속 빈도율 83
〈표 2.2.24〉 월별강수량 86
〈표 2.2.25〉 월별상대습도 86
〈표 2.2.26〉 윌별천기일수 87
〈표 2.2.27〉 작업 불가능 일수 산정기준 88
〈표 2.2.28〉 기상장애일수 88
〈표 2.2.29〉 작업불가능일수 89
〈표 2.2.30〉 작업가능일수 89
〈표 2.2.31〉 태풍의 구분 90
〈표 2.2.32〉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태풍현황 91
〈표 2.2.33〉 설계조위 비교표 98
〈표 2.2.34〉 기 설계파 100
〈표 2.2.35〉 금회 설계파 100
〈표 2.3.1〉 행정구역 102
〈표 2.3.2〉 지목별 토지이용 현황 102
〈표 2.3.3〉 세대 및 인구현황 103
〈표 2.3.4〉 주택현황 및 보급율 103
〈표 2.3.5〉 교육시설현황 104
〈표 2.3.6〉 농가 및 경지면적 105
〈표 2.3.7〉 식량작물 생산량 105
〈표 2.3.8〉 어가 및 어가인구 106
〈표 2.3.9〉 어선보유 현황 106
〈표 2.3.10〉 수산물 어획고 107
〈표 2.3.11〉 광업 및 제조업 107
〈표 2.3.12〉 산업 및 농공단지 현황 108
〈표 2.3.13〉 도로 현황 108
〈표 2.3.14〉 발전 현황 110
〈표 2.3.15〉 용도별 전력 사용량 110
〈표 2.3.16〉 용수사용 현황 110
〈표 2.3.17〉 상수도 현황 111
〈표 2.3.18〉 하수도 현황 111
〈표 2.3.19〉 다도해해상 112
〈표 2.3.20〉 진도군 지정관광지 현황 112
〈표 2.3.21〉 역사 관광자원 114
〈표 2.3.22〉 문화 자원 114
〈표 2.3.23〉 자연 생태자원 115
〈표 2.3.24〉 진도군 주요 지역축제 현황 115
〈표 2.3.25〉 진도 특산물 116
〈표 2.4.1〉 4권역별 분류 124
〈표 2.4.2〉 기본방향 126
〈표 2.4.3〉 발전방향 127
〈표 2.4.4〉 공간구상 128
〈표 2.4.5〉 6대 추진전략 및 주요과제 137
〈표 2.4.6〉 3핵 설정과 개발방향 138
〈표 2.4.7〉 3핵 발전축별 개발방향 138
〈표 2.4.8〉 3개 생활권별 발전방향 139
〈표2.4.9〉 어촌정책 추진방향 142
〈표 2.4.10〉 어항정책 추진방향 143
〈표 2.4.11〉 사업개요 144
〈표 2.4.12〉 해안경관의 구성요소 147
〈표 2.4.13〉 리아스식 해안, 점재된 도서들, 갯벌의 보존, 친자연형 노선 정비 148
〈표 2.5.1〉 Tobishima 시설 152
〈표 2.5.2〉 Fukuoka seaside fishingpark 시설 152
〈표 2.5.3〉 Kagoshima 시설 153
〈표 2.5.4〉 Jetty Park Port Canaveral 시설 153
〈표 2.5.5〉 Baltimore Inner Harbor 시설 153
〈표 2.5.6〉 해외 친수·관광시설 개발사례 154
〈표 2.5.7〉 친수성 항만공간의 정의 155
〈표 2.5.8〉 Cairns Waterfront 시설 155
〈표 2.5.9〉 Toronto Sherbourne Water Channel 시설 156
〈표 2.5.10〉 Vancouver False Creek 시설 156
〈표 2.5.11〉 해외 친수시설 개발사례 156
〈표 2.5.12〉 HafenCity 시설 162
〈표 2.5.13〉 어항정비사업 정비 전·후의 실태 163
〈표 2.5.14〉 타노우라항 유통 구조개혁 거점어항 정비사업 166
〈표 3.1.1〉 G.P.S.(ProMark 800) 제원 170
〈표 3.1.2〉 직각좌표의 기준(2009년 12월10일 개정 ) 171
〈표 3.1.3〉 Network RTK의 관측 규정 172
〈표 3.1.4〉 기준점 성과(서망항) 173
〈표 3.1.5〉 점의조서(CP1) 173
〈표 3.1.6〉 점의조서(CP2) 174
〈표 3.1.7〉 점의조서(CP3) 174
〈표 3.1.8〉 점의조서(CP4) 175
〈표 3.1.9〉 점의조서(CP5) 175
〈표 3.1.10〉 전자레벨(DINI 0.3) 제원 176
〈표 3.1.11〉 수준측량 결과 177
〈표 3.1.12〉 수준측량의 허용오차 177
〈표 3.1.13〉 천해용 정밀음향측심기(Hydrotrac, HT97001) 제원 179
〈표 3.1.14〉 인공위성 위치측정기(D.G.P.S)의 제원 180
〈표 3.1.15〉 D.G.P.S. 기준국 제원 180
〈표 3.1.16〉 바-체크(Bar-Check)를 통한 음속 보정 예시 182
〈표 3.2.1〉 조사항목 186
〈표 3.2.2〉 시추조사 위치 187
〈표 3.2.3〉 지층총괄표 189
〈표 3.2.4〉 지층분포 현황 190
〈표 3.2.5〉 지층개황 191
〈표 3.2.6〉 일축압축강도 및 비배수전단강도 198
〈표 3.2.7〉 비배수전단강도 199
〈표 3.2.8〉 강도증가율 산정 199
〈표 3.2.9〉 압밀상태 분석 200
〈표 3.2.10〉 수직압밀계수 및 수직투수계수 200
〈표 3.2.11〉 연약층의 설계지반정수 201
〈표 3.2.12〉 토사층 및 풍화암의 설계정수 201
〈표 3.2.13〉 기반암의 설계정수 산정결과 201
〈표 3.2.14〉 원지반의 개략적인 토질정수 202
〈표 3.2.15〉 참고문헌 검토 202
〈표 3.2.16〉 토질역학(김교원, 1992) 202
〈표 3.2.17〉 Geotechnical Engineering Investigation 203
〈표 3.2.18〉 Braja M. Das(1995)의 토질종류별 제안 및 Hunt(1984)의 변형계수 및 포아송비 제안 203
〈표 3.2.19〉 강도정수 산정식 204
〈표 3.2.20〉 변형계수 산정식 204
〈표 3.2.21〉 내부마찰각 204
〈표 3.2.22〉 변형 계수 204
〈표 3.2.23〉 현장 및 실내시험 결과 205
〈표 3.2.24〉 비배수 전단강도 205
〈표 3.2.25〉 단위중량 206
〈표 3.2.26〉 점착력 206
〈표 3.2.27〉 내부마찰각 206
〈표 3.2.28〉 변형계수 206
〈표 3.2.29〉 포아송비 206
〈표 3.2.30〉 설계지반정수 요약 207
〈표 3.2.31〉 서울시 지반조사 편람(1996) 207
〈표 3.2.32〉 도로설계 실무편람 207
〈표 3.2.33〉 기반암의 설계정수 산정결과 207
〈표 3.4.1〉 지장물조사 집계표 209
〈표 3.5.1〉 골재원 후보지 선정 211
〈표 3.5.2〉 레미콘 및 아스콘 현황 211
〈표 3.6.1〉 제작장 및 적출장 위치도 212
〈표 3.7.1〉 서망항 시설 수요조사를 위한 설문 내용 213
〈표 3.7.2〉 서망항 시설 수요조사를 위한 표본 214
〈표 3.7.3〉 응답자 표본 특성 214
〈표 3.7.4〉 서망항 이용목적 및 장점 215
〈표 3.7.5〉 서망항의 필요시설 216
〈표 3.7.6〉 서망항의 개발 기대효과 217
〈표 3.7.7〉 서망항의 개발 추진형태 218
〈표 3.7.8〉 서망항 이용목적 및 장점 219
〈표 3.7.9〉 서망항 개발시 필요시설 219
〈표 3.7.10〉 서망항의 개발 기대효과 및 추진방식 221
〈표 3.7.11〉 방문목적 및 교통의 편리성 조사 222
〈표 3.7.12〉 서망항 이용시 불편사항 223
〈표 3.7.13〉 서망항 개발시 필요시설 224
〈표 4.2.1〉 사업 총괄표 230
〈표 4.2.2〉 세부 사업 총괄표 231
〈표 4.2.3〉 어항개발계획 232
〈표 4.2.4〉 민간투자 유치 232
〈표 4.2.5〉 어촌·어장 및 어항 배후의 지역개발사업과 연계 방안 233
〈표 4.2.6〉 항목별 평가 235
〈표 4.3.1〉 어항기능시설 항목 236
〈표 4.3.2〉 연도별 어선동향 237
〈표 4.3.3〉 어선척수 추정결과 238
〈표 4.3.4〉 서망항을 이용하는 세력권내 지방어선 239
〈표 4.3.5〉 톤급별 재적어선 239
〈표 4.3.6〉 선종별 재적어선 240
〈표 4.3.7〉 권역별 어선척수 추정결과 241
〈표 4.3.8〉 서망항 어선척수 추정 241
〈표 4.3.9〉 세력권내 업종별/톤급별 어선현황 242
〈표 4.3.10〉 서망항 어획량 243
〈표 4.3.11〉 서망항 어획량 243
〈표 4.3.12〉 어종별 위판현황 244
〈표 4.3.13〉 어종별 어획량 추정결과 244
〈표 4.3.14〉 부두기능별 어선적용방법 245
〈표 4.3.15〉 어선의 표준선형 246
〈표 4.3.16〉 부두/추정연도별 대상어선 척수 247
〈표 4.3.17〉 업종별 권역별 톤급별 하역시간 248
〈표 4.3.18〉 접·이안시간 248
〈표 4.3.19〉 업종별, 권역별, 톤급별 항차일수 및 하역시간 249
〈표 4.3.20〉 양육부두 시설 소요규모 250
〈표 4.3.21〉 휴식부두 연장 산정기준 251
〈표 4.3.22〉 휴식부두 시설 소요규모 251
〈표 4.3.23〉 보급부두 선석 계획기준 252
〈표 4.3.24〉 급유부두 연장 산정기준 252
〈표 4.3.25〉 보급부두 시설 소요규모 253
〈표 4.3.26〉 보급부두 시설 계획 253
〈표 4.3.27〉 대피부두 연장 산정기준 254
〈표 4.3.28〉 대피부두 시설 소요규모 254
〈표 4.3.29〉 관공선 및 여객선 제원 255
〈표 4.3.30〉 부두연장 255
〈표 4.3.31〉 해경선 제원 255
〈표 4.3.32〉 부두연장 255
〈표 4.3.33〉 접안시설 소요규모 결정 256
〈표 4.3.34〉 양육부두 소요수면적 산정기준 256
〈표 4.3.35〉 양육부두 소요수면적 257
〈표 4.3.36〉 휴식부두 소요수면적 산정기준 258
〈표 4.3.37〉 휴식부두 소요수면적 258
〈표 4.3.38〉 보급부두 소요수면적 산정기준 259
〈표 4.3.39〉 보급부두 소요수면적 259
〈표 4.3.40〉 관공선 및 해경부두 소요수면적 산정기준 259
〈표 4.3.41〉 보급부두 소요수면적 259
〈표 4.3.42〉 대상어선의 제원 260
〈표 4.3.43〉 항로폭 산정기준 260
〈표 4.3.44〉 조선수역 소요수면적 260
〈표 4.3.45〉 대피부두 소요수면적 산정기준 261
〈표 4.3.46〉 대피부두 소요수면적 261
〈표 4.3.47〉 계류박지 소요규모 산정결과 262
〈표 4.3.48〉 항내 수역 면적표 262
〈표 4.3.49〉 수역면적 검토결과 262
〈표 4.3.50〉 어항 배후부지의 용도구역 263
〈표 4.3.51〉 성어기시 어종별 위판량 264
〈표 4.3.52〉 P·α 실례 264
〈표 4.3.53〉 어종별 위판장 면적 265
〈표 4.3.54〉 냉동·냉장차의 제원 265
〈표 4.3.55〉 급유시설의 소요면적 267
〈표 4.3.56〉 급유 및 급수시설용지 산정결과 267
〈표 4.3.57〉 블록아이스 방식 제빙시설의 능력과 건물면적 268
〈표 4.3.58〉 제빙 및 냉동시설용지 산정결과 269
〈표 4.3.59〉 어선건조·수리장 용지 산정 271
〈표 4.3.60〉 육상기능시설 소요규모 산정결과 275
〈표 4.4.1〉 진도군 도입가능 시설 277
〈표 4.4.2〉 어항관련 시설 278
〈표 4.4.3〉 서망항 이용 실태조사 279
〈표 4.4.4〉 다기능(복합형)사례 검토 280
〈표 4.4.5〉 기본방향 281
〈표 4.4.6〉 서망항 도입시설 285
〈표 4.5.1〉 관광객 현황 287
〈표 4.5.2〉 관광객 추정결과 287
〈표 4.5.3〉 계절형별 계획일 집중률 288
〈표 4.5.4〉 계절형별 계획일 집중률 288
〈표 4.5.5〉 관광지별 의도데이터 실현율 289
〈표 4.5.6〉 여행지별 의도데이터 실현율 289
〈표 4.5.7〉 서망항 유입 관광객수 289
〈표 4.5.8〉 시설별 원단위 290
〈표 4.5.9〉 용도지역안에서의 건폐율 및 용적률 290
〈표 4.5.10〉 주차장 규모 산정결과 291
〈표 4.5.11〉 편익시설 규모 산정결과 291
〈표 4.5.12〉 편의·문화시설 규모 산정결과 292
〈표 4.5.13〉 도입시설 소요규모 산정결과 292
〈표 4.6.1〉 검토사항 293
〈표 4.6.2〉 어항시설 294
〈표 4.6.3〉 관광시설 294
〈표 4.6.4〉 상업시설 294
〈표 4.6.5〉 공공시설 294
〈표 4.6.6〉 서망항 주변 주요 경관인자 298
〈표 4.6.7〉 진입로 현황 301
〈표 4.6.8〉 어항지역 현황 302
〈표 4.6.9〉 배후지역 현황 303
〈표 4.6.10〉 해양지역 현황 304
〈표 4.6.11〉 경관연출 목표 307
〈표 4.6.12〉 경관연출 개념 308
〈표 4.6.13〉 시설의 사용성에 따른 개념 308
〈표 4.6.14〉 테마 추출요소 309
〈표 4.6.15〉 경관축에 따른 세부 공간계획 314
〈표 4.6.16〉 부두기능 정비결과 316
〈표 4.6.17〉 부두별 기능 재배치 319
〈표 4.6.18〉 주요 테마별 내용 322
〈표 4.6.19〉 지자체 및 지역주민 요청사항 323
〈표 4.6.20〉 평면배치계획 구상 323
〈표 4.6.21〉 평면배치계획 구상 324
〈표 4.6.22〉 방문객공간 시설 상세이미지 326
〈표 4.6.23〉 주민을 위한 공간 시설 상세이미지 327
〈표 4.6.24〉 어민을 위한 공간 시설 상세이미지 328
〈표 4.6.25〉 서망항 복합항구 L.I. 329
〈표 5.1.1〉 구간별 지반종류에 따른 지진계수 343
〈표 5.2.1〉 검토사항 344
〈표 5.2.2〉 검토조건 346
〈표 5.2.3〉 마루높이 검토방법 346
〈표 5.2.4〉 마루높이 검토방법 346
〈표 5.2.5〉 피복재 검토결과 348
〈표 5.2.6〉 파력산정결과 348
〈표 5.2.7〉 전단 철근 산정결과 349
〈표 5.3.1〉 방파제 설계파랑 351
〈표 5.3.2〉 마루높이 산정방법 351
〈표 5.3.3〉 a, b의 계수표 352
〈표 5.3.4〉 기존방파제 마루높이 354
〈표 5.3.5〉 마루높이 결정 354
〈표 5.3.6〉 쇄파고(Hb)[이미지참조] 355
〈표 5.3.7〉 쇄파수심 355
〈표 5.3.8〉 쇄파고(H⅓ )peak[이미지참조] 356
〈표 5.3.9〉 피복재의 질량을 결정하기 위한 Kᴅ값 357
〈표 5.3.10〉 피복재 소요질량 산정결과 358
〈표 5.3.11〉 상부단면 비교표 359
〈표 5.3.12〉 상부단면 비교표 366
〈표 5.4.1〉 대상선박 제원 371
〈표 5.4.2〉 접안시설의 표준적인 마루높이 371
〈표 5.4.3〉 대상선박 제원 372
〈표 5.4.4〉 마루높이 현황 372
〈표 5.4.5〉 마루높이 결정 372
〈표 5.4.6〉 선석 수심에 따른 부두뜰의 폭 표준치 373
〈표 5.4.7〉 이용형태에 따른 부두뜰의 폭 표준치 373
〈표 5.4.8〉 상부단면 비교표 375
〈표 5.4.9〉 상부단면 비교표 380
〈표 5.5.1〉 연약층 분포 현황 385
〈표 5.5.2〉 검토단면 387
〈표 5.5.3〉 무처리시 압밀침하량 387
〈표 5.5.4〉 무처리시 원호활동 검토 결과 387
〈표 5.5.5〉 기초처리 공법 선정시 고려사항 388
〈표 5.5.6〉 지반개량 공법별 특정 389
〈표 5.5.7〉 준설치환공법 장단점 390
〈표 5.5.8〉 준설치환공법 설계시 고려사항 390
〈표 5.5.9〉 심층혼합처리 시공 개념도 391
〈표 5.5.10〉 심층혼합처리공법 장단점 391
〈표 5.5.11〉 심층혼합처리공법 설계시 고려사항 391
〈표 5.5.12〉 고압분사공법 장단점 392
〈표 5.5.13〉 저유동 몰탈주입공법 장단점 393
〈표 5.5.14〉 기초처리 공법 비교 394
〈표 5.5.15〉 기초처리 공법 비교 395
〈표 5.5.16〉 기초처리 공법 비교 396
〈표 5.5.17〉 검토현황 397
〈표 5.5.18〉 단면 및 개량형식 398
〈표 5.5.19〉 심층혼합처리공법 개량형식 399
〈표 5.5.20〉 설계적용사례 400
〈표 5.5.21〉 설계기준강도 산정식 400
〈표 5.5.22〉 설계기준강도 400
〈표 5.5.23〉 개량지반계에 작용하는 외력 401
〈표 5.5.24〉 활동 안전율 401
〈표 5.5.25〉 전도 안전율 402
〈표 5.5.26〉 지지력 안전율 402
〈표 5.5.27〉 내적 안정 계산 402
〈표 5.5.28〉 ① 구간 심층혼합처리 안정 검토결과 403
〈표 5.5.29〉 항내측 원호활동 검토 404
〈표 5.5.30〉 항외측 원호활동 검토 404
〈표 5.5.31〉 편심지지력 검토 404
〈표 5.5.32〉 ② 구간 심층혼합처리 안정 검토결과 405
〈표 5.5.33〉 원호활동 및 편심지지력 검토 405
〈표 5.5.34〉 ③ 구간 심층혼합처리 안정 검토결과 406
〈표 5.5.35〉 항내측 원호활동 검토 407
〈표 5.5.36〉 항외측 원호활동 검토 407
〈표 5.5.37〉 ④ 구간 심층혼합처리 안정 검토결과 408
〈표 5.5.38〉 항내측 원호활동 검토 408
〈표 5.5.39〉 항외측 원호활동 검토 408
〈표 5.5.40〉 검토현황 409
〈표 5.5.41〉 무처리시 침하량 410
〈표 5.5.42〉 원호활동 검토 411
〈표 5.5.43〉 무처리시 침하량 411
〈표 5.5.44〉 원호활동 검토 412
〈표 5.5.45〉 무처리시 침하량 412
〈표 5.5.46〉 개량체 유효경 산정 413
〈표 5.5.47〉 개량체 압축강도 결정 413
〈표 5.5.48〉 개량체 배열 413
〈표 5.5.49〉 설계강도정수 결정 413
〈표 5.5.50〉 고압분사 보강후 침하량 414
〈표 5.5.51〉 원호활동 검토 415
〈표 5.5.52〉 고압분사 보강후 침하량 415
〈표 5.5.53〉 원호활동 검토 416
〈표 5.5.54〉 고압분사 보강후 침하량 416
〈표 5.5.55〉 계측관리 운영체계 417
〈표 5.5.56〉 계측기 선정 기준 418
〈표 5.5.57〉 계측관리 항목 419
〈표 5.5.58〉 계측기 수량 419
〈표 5.5.59〉 계측기 설치 단면도 420
〈표 5.5.60〉 계측 방법 420
〈표 5.5.61〉 계측빈도 420
〈표 5.5.62〉 침하 및 안정관리 목적 421
〈표 5.5.63〉 확인조사 수량 422
〈표 5.5.64〉 일본사례분석 423
〈표 5.5.65〉 국내시공 사례분석(울산신항 북방파제 1·2 공구) 423
〈표 5.5.66〉 부상토 처리방안 423
〈표 5.6.1〉 식재계획 425
〈표 5.6.2〉 공간별 시설계획 426
〈표 5.6.3〉 공간별 포장계획 429
〈표 5.7.1〉 사업주체별 개략공사비 432
〈표 5.7.2〉 년차별 투자계획 433
〈표 6.1.1〉 격자점별 50년빈도 심해설계파 436
〈표 6.1.2〉 목포기상대의 풍향별 최대풍속(1984~2013) 438
〈표 6.1.3〉 진도기상대의 풍향별 최대풍속(1984~2013) 439
〈표 6.1.4〉 완도기상대의 풍향별 최대풍속(1984~2013) 440
〈표 6.1.5〉 해상풍속에 대한 관측풍속의 비율 442
〈표 6.1.6〉 각 관측소별 50년빈도 풍속 443
〈표 6.1.7〉 파랑변형실험 개요 444
〈표 6.1.8〉 서망항 50년빈도 설계파 실험결과 453
〈표 6.2.1〉 항내정온도 검토 실험 개요 479
〈표 6.2.2〉 파향별 격자구성 480
〈표 6.2.3〉 반사율의 개략치 494
〈표 6.2.4〉 정온수면적 494
〈표 6.3.1〉 해수유동실험 개요 503
〈표 6.3.2〉 조석 관측자료 509
〈표 6.3.3〉 조류 관측자료 509
〈표 6.4.1〉 퇴적물이동실험 개요 531
〈표 6.4.2〉 퇴적물 이동실험 입력 조건 534
〈표 6.5.1〉 부유사확산 실험 개요 538
〈표 6.5.2〉 SS 발생원단위의 평균치 539
〈표 6.5.3〉 준설장비 및 토질에 따른 부유사 발생 원단위 540
〈표 6.5.4〉 공사물량 541
〈표 6.5.5〉 부유사 발생량 541
〈표 6.5.6〉 부유사 최대 확산거리 및 확산면적 542
〈표 7.1.1〉 사전재해영향성 검토 협의대상 행정계획의 범위 협의시기(시행령 제6조1항관련) 545
〈표 7.2.1〉 유형별 개념범위 546
〈표 7.3.1〉 예상 재해유형별 검토의 범위 549
〈표 8.1.1〉 어항개발에 따른 비용/편익 항목의 산정 560
〈표 8.1.2〉 비용-편익분석을 위한 전제 조건 566
〈표 8.2.1〉 서망항 배후부지 임대가능면적의 추정치 568
〈표 8.2.2〉 서망항에서 위판되는 주요어종별 선어와 활어의 단위당 가격 비교 569
〈표 8.2.3〉 원인별 기상재해로 인한 어선피해비용 571
〈표 8.2.4〉 기상재해로 인한 선박피해 현황 571
〈표 8.2.5〉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태풍 572
〈표 8.2.6〉 리터당 면세유 가격 추정 573
〈표 8.2.7〉 서망항 어선 톤수 추정 573
〈표 8.2.8〉 단위 연료(리터)당 주행거리 574
〈표 8.2.9〉 신규 관광객 창출 편익 575
〈표 8.2.10〉 서망항 개발의 시장 편익 추정 575
〈표 8.2.11〉 서망항 다기능어항 개발사업의 비시장가치 추정을 위한 표본의 기본 통계 578
〈표 8.2.12〉 서망항 다기능어항 개발사업 비시장가치조사 표본의 비합리적 응답 578
〈표 8.2.13〉 서망항 다기능어항 개발사업 비시장가치조사 분석대상 응답자 수 579
〈표 8.2.14〉 서망항 다기능어항 개발사업 비시장가치조사 제시금액별 지불의사액(WTP) 응답 분포 579
〈표 8.2.15〉 서망항 다기능어항 건설의 가구별 지불의사액(WTP) 추정 결과 580
〈표 8.2.16〉 서망항 다기능어항 건설의 연간 편익 추정 결과 580
〈표 8.2.17〉 서망항 다기능어항 건설 편익의 명목가치 및 현재가치 581
〈표 8.2.18〉 서망항 다기능어항 건설 편익의 명목가치 및 현재가치 581
〈표 8.2.19〉 비용-펀익분석을 위한 전제 조건 582
〈표 8.2.20〉 서망항 다기능어항 건설사업의 경제성 분석 결과 582
〈표 8.2.21〉 서망항 경제성평가 비용편익 흐름표(시장가치만 고려시) 583
〈표 8.2.22〉 서망항 경제성평가 비용편익 흐름표(시장가치와 비시장가치 모두 고려시) 584
〈표 8.2.23〉 서망항 다기능어항 개발사업의 산업별·권역별 생산유발액 585
〈표 8.2.24〉 서망항 다기능어항 개발사업의 권역별 직·간접 생산유발액 586
〈표 8.2.25〉 서망항 다기능어항 개발사업의 권역별 직·간접 생산유발비율 586
〈표 8.2.26〉 서망항 다기능어항 개발사업의 권역별 직·간접 생산유발계수 586
〈표 8.2.27〉 서망항 다기능어항 개발사업의 생산유발효과와 고용유발효과 587
〈표 8.2.28〉 서망항 다기능어항 개발사업의 투입예산대비 경제적 총 효과 587
〈표 8.2.29〉 서망항 다기능어항 개발사업의 투입예산대비 경제적 총 효과 587
〈표 8.3.1〉 어항시설 개발에 따른 직접편익항목 589
〈표 8.3.2〉 일본수산성이 규정한 어항 개발의 편익항목 590
〈표 8.3.3〉 프로그램 모니터링을 위한 지표 592
〈표 8.3.4〉 서망항 건설사업의 사전성과 모니터링 지표 594
〈표 8.3.5〉 프로그램 모니터링을 위한 표본 596
〈표 8.3.6〉 서망항 개발사업에 대한 사업 인식도 596
〈표 8.3.7〉 서망항 개발사업에 대한 사업 인정도 597
〈표 8.3.8〉 서망항 개발사업에 대한 사업 유효도 598
〈표 8.3.9〉 서망항 개발사업에 대한 사업 적합도 598
〈표 8.3.10〉 성과 모니터링 대상 국가어항 600
〈표 8.3.11〉 성과 모니터링 대상 지역과 관련 어촌계 600
〈표 8.3.12〉 대상지역의 총 세대와 총 인구 대비 대상마을이 차지하는 범위 601
〈표 8.3.13〉 어촌발전 잠재력 603
〈표 8.3.14〉 수산업 잠재력 605
〈표 8.3.15〉 어촌체험 잠재력 608
〈표 8.3.16〉 관광기반시설 609
〈표 8.3.17〉 어촌유형 610
〈표 8.3.18〉 어업소득향상 611
〈그림 1.2.1〉 서망항 위치도 41
〈그림 2.1.1〉 서망항 전경 47
〈그림 2.1.2〉 수산업 세력권도 48
〈그림 2.1.3〉 서망항 시설현황도 50
〈그림 2.1.4〉 북방파제 52
〈그림 2.1.5〉 남방파제 52
〈그림 2.1.6〉 북측 물양장 현황 54
〈그림 2.1.7〉 북측 물양장 단면도 55
〈그림 2.1.8〉 호안 단면도 57
〈그림 2.1.9〉 동측 물양장 현황 58
〈그림 2.1.10〉 선양장 단면도 58
〈그림 2.1.11〉 동측 물양장 단면도 59
〈그림 2.1.12〉 남측 물양장 현황 59
〈그림 2.1.13〉 남측 물양장 단면도 60
〈그림 2.1.14〉 관공선 부두 60
〈그림 2.1.15〉 위판장 및 진입도로 62
〈그림 2.1.16〉 제빙·냉동 및 급유시설 62
〈그림 2.1.17〉 어선수리장 및 야적장 62
〈그림 2.1.18〉 관제구역도 및 VTS 센터 전경 63
〈그림 2.2.1〉 서망항 전경 67
〈그림 2.2.2〉 월별해면기압 71
〈그림 2.2.3〉 월별기온 72
〈그림 2.2.4〉 윌별풍속 75
〈그림 2.2.5〉 풍향별 최대풍속 75
〈그림 2.2.6〉 바람장미도 75
〈그림 2.2.7〉 월별강수량 76
〈그림 2.2.8〉 월별상대습도 77
〈그림 2.2.9〉 육상일수 79
〈그림 2.2.10〉 해상일수 79
〈그림 2.2.11〉 월별해면기압 81
〈그림 2.2.12〉 월별기온 82
〈그림 2.2.13〉 월별풍속 85
〈그림 2.2.14〉 풍향별 최대풍속 85
〈그림 2.2.15〉 바람장미도 85
〈그림 2.2.16〉 월별강수량 86
〈그림 2.2.17〉 윌별상대습도 87
〈그림 2.2.18〉 육상일수 89
〈그림 2.2.19〉 해상일수 89
〈그림 2.2.20〉 태풍경로도 94
〈그림 2.2.21〉 최강창조류 99
〈그림 2.2.22〉 최강낙조류 99
〈그림 2.3.1〉 위치도 101
〈그림 2.3.2〉 접근체계 및 주요가로망 109
〈그림 2.3.3〉 해상교통 현황 109
〈그림 2.3.4〉 다도해 해상 국립공원 112
〈그림 2.3.5〉 진도군 관광자원 현황도 113
〈그림 2.4.1〉 국토구상 및 권역별 개발방향 117
〈그림 2.4.2〉 권역별 개발방향 122
〈그림 2.4.3〉 지역발전 공간구조 125
〈그림 2.4.4〉 6대 지역발전축 125
〈그림 2.4.5〉 전남 서남권 광역도시계획 개발축 구상 130
〈그림 2.4.6〉 계획의 목적과 성격 134
〈그림 2.4.7〉 계획의 공간적 범위 134
〈그림 2.4.8〉 기본이념 135
〈그림 2.4.9〉 기본방향 136
〈그림 2.4.10〉 계획의 비전과 목표 136
〈그림 2.4.11〉 생활권 구분 139
〈그림 2.4.12〉 비전 및 목표 140
〈그림 2.4.13〉 서망항 토지이용계획도 144
〈그림 2.4.14〉 서망항 현황 사진 144
〈그림 2.4.15〉 진도항 배후지 개발사업 조감도 150
〈그림 2.4.16〉 서망항 다기능 어항(복합형) 지자체 공모안 151
〈그림 2.5.1〉 사노 어항 전경 및 시설 157
〈그림 2.5.2〉 키시와다 어항 전경 및 시설 158
〈그림 2.5.3〉 마이쯔루 어항 시설 159
〈그림 2.5.4〉 Marine pia 전경 및 시설 160
〈그림 2.5.5〉 Scheveningen Port 전경 및 시설 161
〈그림 2.5.6〉 미야기현 케센누마항 전경 162
〈그림 2.5.7〉 수산물류 관점에서 어항정비사업의 파급효과 164
〈그림 2.5.8〉 타노우라항 위치 및 전경 165
〈그림 2.5.9〉 타노우라항 위생고도화형 개념도 166
〈그림 2.5.10〉 미사키항 중심의 소관구역 설정 167
〈그림 3.1.1〉 측량범위 169
〈그림 3.1.2〉 Network-RTK(VRS) 측량 개념도 및 기준점 관측 전경(CP.1) 170
〈그림 3.1.3〉 수준측량 망도 177
〈그림 3.1.4〉 RTK(VRS방식 )측량 개념도 179
〈그림 3.1.5〉 D.G.P.S. 구성도 180
〈그림 3.1.6〉 오측심 제거 예시 181
〈그림 3.1.7〉 조위보정 예시 182
〈그림 3.1.8〉 도면제작 절차 183
〈그림 3.1.9〉 항적도 184
〈그림 3.1.10〉 수심 종합도 185
〈그림 3.2.1〉 조사위치 186
〈그림 3.2.2〉 상세 조사위치도 187
〈그림 3.2.3〉 지질도 188
〈그림 3.2.4〉 상세 조사위치도 189
〈그림 3.2.5〉 A-A'단면 192
〈그림 3.2.6〉 B-B'단면 192
〈그림 3.2.7〉 C-C'단면 192
〈그림 3.2.8〉 연약층 두께 193
〈그림 3.2.9〉 풍화토 출연심도(DL기준) 193
〈그림 3.2.10〉 기반암 출연심도(DL기준) 194
〈그림 3.2.11〉 지층별 N치 분포도 및 심도별 N치 분포도 194
〈그림 3.2.12〉 수정 비배수전단강도 및 예민비 195
〈그림 3.3.1〉 용지도 208
〈그림 3.4.1〉 지장물도 210
〈그림 3.6.1〉 공사용 적출장 212
〈그림 4.1.1〉 다기능어항(복합형) 개발 핵심전략 228
〈그림 4.2.1〉 서망항 다기능 어항(복합형) 지자체 공모안 234
〈그림 4.3.1〉 연도별 어선척수 변화추이 237
〈그림 4.3.2〉 추정 어선척수 변화추이 238
〈그림 4.3.3〉 세력권도 240
〈그림 4.3.4〉 추정 어선척수 변화추이 241
〈그림 4.3.5〉 어구현황 270
〈그림 4.3.6〉 위판자재 현황 270
〈그림 4.4.1〉 2025년 진도항 배후지 중·장기 개발구상(안) Concept 282
〈그림 4.4.2〉 서망항 다기능어항(복합형)사업 도입기능 283
〈그림 4.5.1〉 관광객 유입수요 산정순서 288
〈그림 4.6.1〉 상위계획 및 사례조사 분석 및 반영요소 295
〈그림 4.6.2〉 경관시뮬레이션 작성흐름도 296
〈그림 4.6.3〉 서망항 주변현황분석도 297
〈그림 4.6.4〉 서망항 현황분석도 299
〈그림 4.6.5〉 서망항 조망점 선정 300
〈그림 4.6.6〉 진입로 조망분석도 301
〈그림 4.6.7〉 어항지역 조망분석도 302
〈그림 4.6.8〉 배후지역 조망분석도 303
〈그림 4.6.9〉 해양지역 조망분석도 304
〈그림 4.6.10〉 경관 종합분석도 305
〈그림 4.6.11〉 경관종합 반영도 306
〈그림 4.6.12〉 경관연출 기본방향 307
〈그림 4.6.13〉 경관연출 종합 개념 308
〈그림 4.6.14〉 테마요소 분석 309
〈그림 4.6.15〉 테마 도출의 종합 310
〈그림 4..6.16〉 서망항경관테마 기본개념 311
〈그림 4.6.17〉 경관테마 설정 311
〈그림 4.6.18〉 어항 개발 후 동선체계 312
〈그림 4.6.19〉 경관축 분석도 313
〈그림 4.6.20〉 선정안 경관축 314
〈그림 4.6.21〉 공간계획도 315
〈그림 4.6.22〉 부두 기능별 배치도(당초) 317
〈그림 4.6.23〉 부두 기능별 배치도(수정) 318
〈그림 4.6.24〉 기능시설 배치도(당초) 320
〈그림 4.6.25〉 기능시설 배치도(수정) 321
〈그림 4.6.26〉 최종평면안 325
〈그림 4.6.27〉 방문객공간 시설계획 326
〈그림 4.6.28〉 주민을 위한 공간 시설계획 327
〈그림 4.6.29〉 어민을 위한 공간 시설계획 328
〈그림 5.2.1〉 방파제 현황도 및 단면도 345
〈그림 5.2.2〉 방파제 보강 단면도 349
〈그림 5.3.1〉 방파제 계획 350
〈그림 5.3.2〉 항내전달파고 352
〈그림 5.3.3〉 혼성방파제의 전달파고계수 353
〈그림 5.3.4〉 Breaker Height Index, Hb/H0' Versus Deep Water Wave Steepness H0'/gT²[이미지참조] 355
〈그림 5.3.5〉 α and β Versus Hb/gT²[이미지참조] 356
〈그림 5.3.6〉 제1안 표준단면도 361
〈그림 5.3.7〉 제2안 표준단면도 362
〈그림 5.3.8〉 제3안 표준단면도 363
〈그림 5.3.9〉 제4안 표준단면도 364
〈그림 5.3.10〉 제1안 표준단면도 367
〈그림 5.3.11〉 제2안 표준단면도 368
〈그림 5.3.12〉 제3안 표준단면도 369
〈그림 5.4.1〉 물양장 및 돌제시설 계획 370
〈그림 5.4.2〉 제1안 표준단면도 376
〈그림 5.4.3〉 제2안 표준단면도 377
〈그림 5.4.4〉 제3안 표준단면도 378
〈그림 5.4.5〉 제1안 표준단면도 381
〈그림 5.4.6〉 제2안 표준단면도 382
〈그림 5.4.7〉 제3안 표준단면도 383
〈그림 5.5.1〉 기초처리공법 선정 흐름도 384
〈그림 5.5.2〉 지반조사 위치도 385
〈그림 5.5.3〉 남측지층현황 386
〈그림 5.5.4〉 북측지층현황 386
〈그림 5.5.5〉 공법 개요도 및 작업전경 392
〈그림 5.5.6〉 설계흐름도 392
〈그림 5.5.7〉 공법 개요도 및 작업전경 393
〈그림 5.5.8〉 설계흐름도 393
〈그림 5.5.9〉 검토위치 및 평면현황 397
〈그림 5.5.10〉 ① 구간 검토단면 403
〈그림 5.5.11〉 ② 구간 검토단면 405
〈그림 5.5.12〉 ③ 구간 검토단면 406
〈그림 5.5.13〉 ④ 구간 검토단면 407
〈그림 5.5.14〉 검토구간 선정현황 409
〈그림 5.5.15〉 검토단면(①남방파제) 410
〈그림 5.5.16〉 검토단면(②북방파제 접속부) 411
〈그림 5.5.17〉 검토단면(③남방파제 접속부) 412
〈그림 5.5.18〉 검토단면(①남방파제) 414
〈그림 5.5.19〉 검토단면(②북방파제 접속부) 415
〈그림 5.5.20〉 검토단면(③남방파제 접속부) 416
〈그림 5.5.21〉 계측관리 흐름도 418
〈그림 5.5.22〉 계측기 설치 계획평면 419
〈그림 5.5.23〉 계측 자료 활용 흐름도 421
〈그림 5.5.24〉 확인조사 위치 계획평면 422
〈그림 5.5.25〉 개량체 확인조사 위치 계획평면 424
〈그림 5.6.1〉 도입가능수종 425
〈그림 5.6.2〉 시설물 이미지 426
〈그림 5.6.3〉 체육공원 도입시설 427
〈그림 5.6.4〉 이벤트광장 도입시설 427
〈그림 5.6.5〉 포장재 이미지 429
〈그림 5.7.1〉 시설개요 430
〈그림 6.1.1〉 심해설계파 격자점 위치도 437
〈그림 6.1.2〉 높이에 대한 풍속 보정 441
〈그림 6.1.3〉 광역 격자망도 445
〈그림 6.1.4〉 광역 수심도 445
〈그림 6.1.5〉 상세역 격자망도 446
〈그림 6.1.6〉 상세역 수심도 446
〈그림 6.1.7〉 광역 파랑벡터도(NW 파향) 454
〈그림 6.1.8〉 광역 파랑벡터도(WNW 파향) 454
〈그림 6.1.9〉 광역 파랑벡터도(W 파향) 455
〈그림 6.1.10〉 광역 파랑벡터도(WSW 파향) 455
〈그림 6.1.11〉 광역 파랑벡터도(SW 파향) 456
〈그림 6.1.12〉 광역 파랑벡터도(SSW 파향) 456
〈그림 6.1.13〉 광역 파랑벡터도(S 파향) 457
〈그림 6.1.14〉 광역 파랑벡터도(SSE 파향) 457
〈그림 6.1.15〉 광역 파랑벡터도(SE 파향) 458
〈그림 6.1.16〉 광역 파랑벡터도(ESE 파향) 458
〈그림 6.1.17〉 상세역 파랑벡터도(NW 파향) 459
〈그림 6.1.18〉 상세역 파고분포도(NW 파향) 460
〈그림 6.1.19〉 상세역 주기분포도(NW 파향) 460
〈그림 6.1.20〉 상세역 파랑벡터도(WNW 파향) 461
〈그림 6.1.21〉 상세역 파고분포도(WNW 파향) 462
〈그림 6.1.22〉 상세역 주기분포도(WNW 파향) 462
〈그림 6.1.23〉 상세역 파랑벡터도(W 파향) 463
〈그림 6.1.24〉 상세역 파고분포도(W 파향) 464
〈그림 6.1.25〉 상세역 주기분포도(W 파향) 464
〈그림 6.1.26〉 상세역 파랑벡터도(WSW 파향) 465
〈그림 6.1.27〉 상세역 파고분포도(WSW 파향) 466
〈그림 6.1.28〉 상세역 주기분포도(WSW 파향) 466
〈그림 6.1.29〉 상세역 파랑벡터도(SW 파향) 467
〈그림 6.1.30〉 상세역 파고분포도(SW 파향) 468
〈그림 6.1.31〉 상세역 주기분포도(SW 파향) 468
〈그림 6.1.32〉 상세역 파랑벡터도(SSW 파향) 469
〈그림 6.1.33〉 상세역 파고분포도(SSW 파향) 470
〈그림 6.1.34〉 상세역 주기분포도(SSW 파향) 470
〈그림 6.1.35〉 상세역 파랑벡터도(S 파향) 471
〈그림 6.1.36〉 상세역 파고분포도(S 파향) 472
〈그림 6.1.37〉 상세역 주기분포도(S 파향) 472
〈그림 6.1.38〉 상세역 파랑벡터도(SSE 파향) 473
〈그림 6.1.39〉 상세역 파고분포도(SSE 파향) 474
〈그림 6.1.40〉 상세역 주기분포도(SSE 파향) 474
〈그림 6.1.41〉 상세역 파랑벡터도(SE 파향) 475
〈그림 6.1.42〉 상세역 파고분포도(SSE 파향) 476
〈그림 6.1.43〉 상세역 주기분포도(SSE 파향) 476
〈그림 6.1.44〉 상세역 파랑벡터도(ESE 파향) 477
〈그림 6.1.45〉 상세역 파고분포도(ESE 파향) 478
〈그림 6.1.46〉 상세역 주기분포도(ESE 파향) 478
〈그림 6.2.1〉 평면배치안별 실험안 480
〈그림 6.2.2〉 격자망도(NW, WNW, W 파향) 481
〈그림 6.2.3〉 수심도(NW, WNW, W 파향) 482
〈그림 6.2.4〉 격자망도(WSW 파향) 483
〈그림 6.2.5〉 수심도(WSW 파향) 484
〈그림 6.2.6〉 격자망도(SW 파향) 485
〈그림 6.2.7〉 수심도(SW 파향) 486
〈그림 6.2.8〉 격자망도(SSW, S, SSE 파향) 487
〈그림 6.2.9〉 수심도(SSW, S, SSE 파향) 488
〈그림 6.2.10〉 Staggered Grid System 491
〈그림 6.2.11〉 Dummy Area Attached to Main Computational Domain 491
〈그림 6.2.12〉 Offshore Driving Boundary 493
〈그림 6.2.13〉 등파고분포도(NW파향, 현재상태) 495
〈그림 6.2.14〉 등파고분포도(WNW파향, 현재상태) 495
〈그림 6.2.15〉 등파고분포도(W파향, 현재상태) 496
〈그림 6.2.16〉 등파고분포도(WSW파향, 현재상태) 496
〈그림 6.2.17〉 등파고분포도(SW파향, 현재상태) 497
〈그림 6.2.18〉 등파고분포도(SSW파향, 현재상태) 497
〈그림 6.2.19〉 등파고분포도(S파향, 현재상태) 498
〈그림 6.2.20〉 등파고분포도(SSE파향, 현재상태) 498
〈그림 6.2.21〉 등파고분포도(NW파향, 계획 안) 499
〈그림 6.2.22〉 등파고분포도(WNW파향, 계획 안) 499
〈그림 6.2.23〉 등파고분포도(W파향, 계획 안) 500
〈그림 6.2.24〉 등파고분포도(WSW파향, 계획 안) 500
〈그림 6.2.25〉 등파고분포도(SW파향, 계획 안) 501
〈그림 6.2.26〉 등파고분포도(SSW파향, 계획 안) 501
〈그림 6.2.27〉 등파고분포도(S파향, 계획 안) 502
〈그림 6.2.28〉 등파고분포도(SSE파향, 계획 안) 502
〈그림 6.3.1〉 EFDC 모델의 좌표계 및 변수 계산 위치 506
〈그림 6.3.2〉 수심도 507
〈그림 6.3.3〉 격자망도 508
〈그림 6.3.4〉 검증시 이용된 관측점 위치도 509
〈그림 6.3.5〉 조위 검증 시계열(SeoMang) 510
〈그림 6.3.6〉 조위 검증 시계열(SungNam) 510
〈그림 6.3.7〉 조류 검증 시계열(PC1) 511
〈그림 6.3.8〉 조류 검증 시계열(06YME5) 511
〈그림 6.3.3〉 고조위 분포도 513
〈그림 6.3.10〉 저조위 분포도 513
〈그림 6.3.11〉 고조위 분포도(현재, 상세확대) 514
〈그림 6.3.12〉 저조위 분포도(현재, 상세확대) 515
〈그림 6.3.13〉 고조위 분포도(계획, 상세확대) 516
〈그림 6.3.14〉 저조위 분포도(계획, 상세확대) 517
〈그림 6.3.15〉 고조위 변화도(계획-현재) 518
〈그림 6.3.16〉 저조위 변화도(계획-현재) 519
〈그림 6.3.17〉 창조류 벡터도 520
〈그림 6.3.18〉 낙조류 벡터도 520
〈그림 6.3.19〉 창조류 벡터도(현재, 상세확대) 521
〈그림 6.3.20〉 창조류 유속분포도(현재, 상세확대) 522
〈그림 6.3.21〉 낙조류 벡터도(현재, 상세확대) 523
〈그림 6.3.22〉 낙조류 유속분포도(현재, 상세확대) 524
〈그림 6.3.23〉 창조류 벡터도(계획, 상세확대) 525
〈그림 6.3.24〉 창조류 유속분포도(계획, 상세확대) 526
〈그림 6.3.25〉 낙조류 벡터도(계획, 상세확대) 527
〈그림 6.3.26〉 낙조류 유속분포도(계획, 상세확대) 528
〈그림 6.3.27〉 최강 창조유속 변화도(계획 안-현재상태) 529
〈그림 6.3.28〉 최강 낙조유속 변화도(계획 안-현재상태) 530
〈그림 6.4.1〉 연간 침식·퇴적고 분포도(현재상태, 사업지구 부근) 535
〈그림 6.4.2〉 연간 침식·퇴적고 분포도(계획안, 사업지구 부근) 536
〈그림 6.4.3〉 연간 침식·퇴적고 변화도(계획안-현재상태, 사업지구 부근) 537
〈그림 6.5.1〉 부유사 발생 위치 542
〈그림 6.5.2〉 공사시 1mg/L농도최대 확산범위(오탁방지막설치 전) 543
〈그림 6.5.3〉 공사시 1mg/L 농도 최대 확산 범위(오탁방지막 설치 후) 543
〈그림 7.2.1〉 검토대상지역의 설정 548
〈그림 8.1.1〉 비시장재화의 경제적 가치 추정 과정 563
〈그림 8.1.2〉 비시장재화의 경제적 가치 추정 방법론 564
〈그림 8.2.1〉 서망항 토지이용계획 567
〈그림 8.2.2〉 본 조사에서의 CVM 실증연구 절차 576
〈그림 8.3.1〉 모니터링의 모형 591
〈그림 8.3.2〉 서망항 어항건설사업의 성과모니터링 수행 절차 593
〈그림 8.3.3〉 서망항 건설사업의 모니터링 평가 측정 과정 595
〈그림 8.3.4〉 성과 모니터링을 위한 공간적 범위 5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