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제출문
서망항 다기능어항(복합형) 개발계획 조감도
목차
제1장 과업의 개요 40
1.1. 과업의 추진배경 및 특징 40
1.1.1. 과업의 배경 40
1.1.2. 과업의 목적 41
1.2. 과업의 위치 41
1.3. 과업의 기간 41
1.4. 과업의 범위 42
1.5. 과업 수행 흐름도 43
1.6. 과업 수행 현황 44
1.6.1. 과업수행 경위 44
1.6.2. 과업수행 업체 45
제2장 기초자료조사 47
2.1. 어항의 현황 47
2.1.1. 어항의 연혁 47
2.1.2. 어항의 세력권 48
2.1.3. 어항구역 현황 49
2.1.4. 어항시설 현황 50
2.1.5. 어항 이용현황 64
2.2. 자연조건 조사 67
2.2.1. 지형 및 지세 67
2.2.2. 기상조건 68
2.2.3. 해상조건 98
2.3. 입지여건조사 101
2.3.1. 지리적 여건 101
2.3.2. 인문·사회현황 102
2.3.3. 산업 및 경제여건 현황 105
2.3.4. 교통 현황 108
2.3.5. 동력 및 상·하수도 현황 110
2.3.6. 관광자원 및 관광실태조사 112
2.4. 관련계획 117
2.4.1. 상위관련계획 117
2.4.2. 지역관련계획 124
2.4.3. 어항관련계획 140
2.4.4. 경관관련계획 145
2.5. 해외선진 리모렐링 사례 조사 152
2.5.1. 외국 친수·관광시설 개발사례 152
2.5.2. 친수시설 개발사례 154
2.5.3. 다기능어항 관련 해외 선진어항 157
2.5.4. 해외 수산물류 개발사례 162
제3장 현지조사 169
3.1. 지형 및 수심측량 169
3.1.1. 조사개요 169
3.1.2. 기준점측량 170
3.1.3. 수준측량 176
3.1.4. 지형측량 178
3.1.5. 수심측량 179
3.2. 지반조사 186
3.2.1. 조사개요 186
3.2.2. 조사내용 187
3.2.3. 조사결과 188
3.2.4. 설계정수 산정 201
3.3. 용지 및 보상물 조사 208
3.4. 지장물 및 지하매설물 조사 209
3.5. 재료원 조사 211
3.5.1. 개요 211
3.5.2. 골재원 및 토취장 211
3.5.3. 기타 재료원 211
3.6. 공사용 제작장 및 적출장 212
3.6.1. 개요 212
3.6.2. 제작장 및 적출장 선정 212
3.6.3. 공사용 적출장 212
3.7. 설문조사 213
3.7.1. 배경 및 목적 213
3.7.2. 조사 내용 213
3.7.3. 조사 방법 214
3.7.4. 응답자의 특성 214
3.7.5. 주요 설문 결과 요약 215
제4장 기본계획 226
4.1. 개발기본방향 226
4.1.1. 계획수립의 배경 226
4.1.2. 개발사업의 이해 및 컨셉 설정 227
4.1.3. 서망항의 개발방향 228
4.1.4. 시설계획 목표년도 229
4.2. 지자체 공모사업 계획서 검토 230
4.2.1. 개요 230
4.2.2. 지자체 공모안 분석 230
4.2.3. 결론 235
4.3. 시설 소요규모 산정 236
4.3.1. 어선척수 추정 236
4.3.2. 어획량 추정 243
4.3.3. 부두 기능별 적용어선 245
4.3.4. 접안시설 소요규모 산정 246
4.3.5. 수역시설 소요규모 산정 256
4.3.6. 육상기능시설 소요규모 산정 263
4.4. 배후부지 도입시설 검토 276
4.4.1. 도입시설 검토 276
4.4.2. 설문조사 분석결과 284
4.4.3. 도입시설 선정 284
4.5. 배후부지 시설규모 산정 286
4.5.1. 관광수요 예측 286
4.5.2. 관광객 현황 및 추정 287
4.5.3. 배후부지 시설규모 산정 290
4.6. 평면배치계획 293
4.6.1. 개발방향 설정 293
4.6.2. 경관계획 295
4.6.3. 부두기능 정비 316
4.6.4. 배후부지 기능 정비 319
4.6.5. 평면계획안 선정 322
4.6.6. 친수시설 계획 326
4.6.7. 브랜딩 계획 329
제5장 기본설계 331
5.1 설계기준 및 조건 331
5.1.1 설계기준 및 참고문헌 331
5.1.2. 자연조건 및 대상선박 제원 333
5.1.3. 하중조건 334
5.1.4. 사용재료 조건 334
5.1.5. 준설조건 338
5.1.6. 지반조건 339
5.1.7. 안전율 및 기타 339
5.1.8. 내진설계기준 341
5.2. 기존방파제 검토 344
5.2.1. 검토방향 344
5.2.2. 시설물 안정검토 346
5.2.3. 기존방파제 보강 348
5.3. 외곽시설 350
5.3.1. 개요 350
5.3.2. 주요제원 결정 351
5.3.3. 상부단면 구조형식 358
5.4. 접안시설 370
5.4.1. 개요 370
5.4.2. 주요제원 결정 371
5.4.3. 상부단면 구조형식 374
5.5. 연약지반 지반개량 384
5.5.1. 하부기초처리 검토 384
5.5.2. 구간별 안정검토 397
5.5.3. 계측관리 및 확인조사 계획 417
5.5.4. 심층혼합처리공법 시공계획 423
5.6. 조경 425
5.6.1. 식재계획 425
5.6.2. 시설물계획 426
5.6.3. 포장계획 429
5.7. 건설계획 430
5.7.1. 개요 430
5.7.2. 개략공사비 432
5.7.3. 소요물량 433
5.7.4. 연차별 투자계획 433
제6장 수치모형실험 436
6.1. 파랑변형 실험 436
6.1.1. 입력자료 436
6.1.2. 실험개요 444
6.1.3. 모형의 설명 447
6.1.4. 실험결과 453
6.2. 항내정온도 검토 479
6.2.1. 실험개요 479
6.2.2. 모형수립 480
6.2.3. 모형의 설명 489
6.2.4. 실험방법 494
6.2.5. 실험결과 494
6.3. 해수유동 실험 503
6.3.1 실험개요 503
6.3.2. 사용모델 504
6.3.3. 모형수립 507
6.3.4. 모델검증 509
6.3.5. 실험결과 512
6.4. 퇴적물이동 실험 531
6.4.1. 실험개요 531
6.4.2. 모형의 설명 531
6.4.3. 실험조건 및 입력조건 533
6.4.4. 실험결과 534
6.5. 부유사확산 실험 538
6.5.1. 실험개요 538
6.5.2. 모형의 설명 538
6.5.3. 입력조건 539
6.5.4. 실험결과 542
제7장 사전재해 영향성 검토 545
7.1. 실시근거 및 협의절차 545
7.1.1. 실시근거 545
7.1.2. 협의절차 545
7.2. 검토대상지역 설정 546
7.2.1. 유형별 개념의 검토범위 설정 546
7.2.2. 예상재해 유형별 검토대상지역 설정 547
7.3. 재해영향예측 및 저감대책 549
7.3.1. 재해영향예측 549
7.3.2. 저감대책 553
7.4. 종합평가 555
제8장 경제성 분석 558
8.1. 경제성 분석의 기본사항 559
8.1.1. 분석방법론 559
8.1.2. 시장가치의 추정방법 559
8.1.3. 비시장가치의 추정방법 563
8.1.4. 경제성 분석의 전제 조건 565
8.2. 경제성 분석 567
8.2.1. 서망항 개발의 시장 편익 추정 567
8.2.2. 비시장가치의 추정 576
8.2.3. 서망항 건설의 경제적 파급효과 585
8.3. 사업효과 평가를 위한 모니터링 조사 588
8.3.1. 모니터링의 개요 588
8.3.2. 모니터링 방법론 588
8.3.3. 어항건설에 대한 프로그램 모니터렁 595
8.3.4. 어항건설에 대한 성과 모니터링 599
제9장 결론 및 건의 613
9.1. 결론 613
9.2. 건의 614
9.2.1. 사업극대화 방안 614
9.2.2. 주체별 역할분담 614
과업수행경위 첨부자료 615
1. 착수보고회(2014.11.18) 616
2. 제1차 자문회의(2014.12.26) 621
3. 제1차 지역 주민 간담회(2014.05.21) 630
4. 중간보고회(2015.05.29) 632
5. 제2차 지역주민 간담회(2015.06.23) 636
6. 주민설명회(2015.08.31) 638
7. 제3차 지역주민 간담회(2015.10.12) 641
8. 제2차 자문회의(2015.11.13) 644
9. 최종보고회(2015.12.11) 663
참여기술자 명단[개인신상정보삭제] 665
〈그림 1.2.1〉 서망항 위치도 41
〈그림 2.1.1〉 서망항 전경 47
〈그림 2.1.2〉 수산업 세력권도 48
〈그림 2.1.3〉 서망항 시설현황도 50
〈그림 2.1.4〉 북방파제 52
〈그림 2.1.5〉 남방파제 52
〈그림 2.1.6〉 북측 물양장 현황 54
〈그림 2.1.7〉 북측 물양장 단면도 55
〈그림 2.1.8〉 호안 단면도 57
〈그림 2.1.9〉 동측 물양장 현황 58
〈그림 2.1.10〉 선양장 단면도 58
〈그림 2.1.11〉 동측 물양장 단면도 59
〈그림 2.1.12〉 남측 물양장 현황 59
〈그림 2.1.13〉 남측 물양장 단면도 60
〈그림 2.1.14〉 관공선 부두 60
〈그림 2.1.15〉 위판장 및 진입도로 62
〈그림 2.1.16〉 제빙·냉동 및 급유시설 62
〈그림 2.1.17〉 어선수리장 및 야적장 62
〈그림 2.1.18〉 관제구역도 및 VTS 센터 전경 63
〈그림 2.2.1〉 서망항 전경 67
〈그림 2.2.2〉 월별해면기압 71
〈그림 2.2.3〉 월별기온 72
〈그림 2.2.4〉 윌별풍속 75
〈그림 2.2.5〉 풍향별 최대풍속 75
〈그림 2.2.6〉 바람장미도 75
〈그림 2.2.7〉 월별강수량 76
〈그림 2.2.8〉 월별상대습도 77
〈그림 2.2.9〉 육상일수 79
〈그림 2.2.10〉 해상일수 79
〈그림 2.2.11〉 월별해면기압 81
〈그림 2.2.12〉 월별기온 82
〈그림 2.2.13〉 월별풍속 85
〈그림 2.2.14〉 풍향별 최대풍속 85
〈그림 2.2.15〉 바람장미도 85
〈그림 2.2.16〉 월별강수량 86
〈그림 2.2.17〉 윌별상대습도 87
〈그림 2.2.18〉 육상일수 89
〈그림 2.2.19〉 해상일수 89
〈그림 2.2.20〉 태풍경로도 94
〈그림 2.2.21〉 최강창조류 99
〈그림 2.2.22〉 최강낙조류 99
〈그림 2.3.1〉 위치도 101
〈그림 2.3.2〉 접근체계 및 주요가로망 109
〈그림 2.3.3〉 해상교통 현황 109
〈그림 2.3.4〉 다도해 해상 국립공원 112
〈그림 2.3.5〉 진도군 관광자원 현황도 113
〈그림 2.4.1〉 국토구상 및 권역별 개발방향 117
〈그림 2.4.2〉 권역별 개발방향 122
〈그림 2.4.3〉 지역발전 공간구조 125
〈그림 2.4.4〉 6대 지역발전축 125
〈그림 2.4.5〉 전남 서남권 광역도시계획 개발축 구상 130
〈그림 2.4.6〉 계획의 목적과 성격 134
〈그림 2.4.7〉 계획의 공간적 범위 134
〈그림 2.4.8〉 기본이념 135
〈그림 2.4.9〉 기본방향 136
〈그림 2.4.10〉 계획의 비전과 목표 136
〈그림 2.4.11〉 생활권 구분 139
〈그림 2.4.12〉 비전 및 목표 140
〈그림 2.4.13〉 서망항 토지이용계획도 144
〈그림 2.4.14〉 서망항 현황 사진 144
〈그림 2.4.15〉 진도항 배후지 개발사업 조감도 150
〈그림 2.4.16〉 서망항 다기능 어항(복합형) 지자체 공모안 151
〈그림 2.5.1〉 사노 어항 전경 및 시설 157
〈그림 2.5.2〉 키시와다 어항 전경 및 시설 158
〈그림 2.5.3〉 마이쯔루 어항 시설 159
〈그림 2.5.4〉 Marine pia 전경 및 시설 160
〈그림 2.5.5〉 Scheveningen Port 전경 및 시설 161
〈그림 2.5.6〉 미야기현 케센누마항 전경 162
〈그림 2.5.7〉 수산물류 관점에서 어항정비사업의 파급효과 164
〈그림 2.5.8〉 타노우라항 위치 및 전경 165
〈그림 2.5.9〉 타노우라항 위생고도화형 개념도 166
〈그림 2.5.10〉 미사키항 중심의 소관구역 설정 167
〈그림 3.1.1〉 측량범위 169
〈그림 3.1.2〉 Network-RTK(VRS) 측량 개념도 및 기준점 관측 전경(CP.1) 170
〈그림 3.1.3〉 수준측량 망도 177
〈그림 3.1.4〉 RTK(VRS방식 )측량 개념도 179
〈그림 3.1.5〉 D.G.P.S. 구성도 180
〈그림 3.1.6〉 오측심 제거 예시 181
〈그림 3.1.7〉 조위보정 예시 182
〈그림 3.1.8〉 도면제작 절차 183
〈그림 3.1.9〉 항적도 184
〈그림 3.1.10〉 수심 종합도 185
〈그림 3.2.1〉 조사위치 186
〈그림 3.2.2〉 상세 조사위치도 187
〈그림 3.2.3〉 지질도 188
〈그림 3.2.4〉 상세 조사위치도 189
〈그림 3.2.5〉 A-A'단면 192
〈그림 3.2.6〉 B-B'단면 192
〈그림 3.2.7〉 C-C'단면 192
〈그림 3.2.8〉 연약층 두께 193
〈그림 3.2.9〉 풍화토 출연심도(DL기준) 193
〈그림 3.2.10〉 기반암 출연심도(DL기준) 194
〈그림 3.2.11〉 지층별 N치 분포도 및 심도별 N치 분포도 194
〈그림 3.2.12〉 수정 비배수전단강도 및 예민비 195
〈그림 3.3.1〉 용지도 208
〈그림 3.4.1〉 지장물도 210
〈그림 3.6.1〉 공사용 적출장 212
〈그림 4.1.1〉 다기능어항(복합형) 개발 핵심전략 228
〈그림 4.2.1〉 서망항 다기능 어항(복합형) 지자체 공모안 234
〈그림 4.3.1〉 연도별 어선척수 변화추이 237
〈그림 4.3.2〉 추정 어선척수 변화추이 238
〈그림 4.3.3〉 세력권도 240
〈그림 4.3.4〉 추정 어선척수 변화추이 241
〈그림 4.3.5〉 어구현황 270
〈그림 4.3.6〉 위판자재 현황 270
〈그림 4.4.1〉 2025년 진도항 배후지 중·장기 개발구상(안) Concept 282
〈그림 4.4.2〉 서망항 다기능어항(복합형)사업 도입기능 283
〈그림 4.5.1〉 관광객 유입수요 산정순서 288
〈그림 4.6.1〉 상위계획 및 사례조사 분석 및 반영요소 295
〈그림 4.6.2〉 경관시뮬레이션 작성흐름도 296
〈그림 4.6.3〉 서망항 주변현황분석도 297
〈그림 4.6.4〉 서망항 현황분석도 299
〈그림 4.6.5〉 서망항 조망점 선정 300
〈그림 4.6.6〉 진입로 조망분석도 301
〈그림 4.6.7〉 어항지역 조망분석도 302
〈그림 4.6.8〉 배후지역 조망분석도 303
〈그림 4.6.9〉 해양지역 조망분석도 304
〈그림 4.6.10〉 경관 종합분석도 305
〈그림 4.6.11〉 경관종합 반영도 306
〈그림 4.6.12〉 경관연출 기본방향 307
〈그림 4.6.13〉 경관연출 종합 개념 308
〈그림 4.6.14〉 테마요소 분석 309
〈그림 4.6.15〉 테마 도출의 종합 310
〈그림 4..6.16〉 서망항경관테마 기본개념 311
〈그림 4.6.17〉 경관테마 설정 311
〈그림 4.6.18〉 어항 개발 후 동선체계 312
〈그림 4.6.19〉 경관축 분석도 313
〈그림 4.6.20〉 선정안 경관축 314
〈그림 4.6.21〉 공간계획도 315
〈그림 4.6.22〉 부두 기능별 배치도(당초) 317
〈그림 4.6.23〉 부두 기능별 배치도(수정) 318
〈그림 4.6.24〉 기능시설 배치도(당초) 320
〈그림 4.6.25〉 기능시설 배치도(수정) 321
〈그림 4.6.26〉 최종평면안 325
〈그림 4.6.27〉 방문객공간 시설계획 326
〈그림 4.6.28〉 주민을 위한 공간 시설계획 327
〈그림 4.6.29〉 어민을 위한 공간 시설계획 328
〈그림 5.2.1〉 방파제 현황도 및 단면도 345
〈그림 5.2.2〉 방파제 보강 단면도 349
〈그림 5.3.1〉 방파제 계획 350
〈그림 5.3.2〉 항내전달파고 352
〈그림 5.3.3〉 혼성방파제의 전달파고계수 353
〈그림 5.3.4〉 Breaker Height Index, Hb/H0' Versus Deep Water Wave Steepness H0'/gT²[이미지참조] 355
〈그림 5.3.5〉 α and β Versus Hb/gT²[이미지참조] 356
〈그림 5.3.6〉 제1안 표준단면도 361
〈그림 5.3.7〉 제2안 표준단면도 362
〈그림 5.3.8〉 제3안 표준단면도 363
〈그림 5.3.9〉 제4안 표준단면도 364
〈그림 5.3.10〉 제1안 표준단면도 367
〈그림 5.3.11〉 제2안 표준단면도 368
〈그림 5.3.12〉 제3안 표준단면도 369
〈그림 5.4.1〉 물양장 및 돌제시설 계획 370
〈그림 5.4.2〉 제1안 표준단면도 376
〈그림 5.4.3〉 제2안 표준단면도 377
〈그림 5.4.4〉 제3안 표준단면도 378
〈그림 5.4.5〉 제1안 표준단면도 381
〈그림 5.4.6〉 제2안 표준단면도 382
〈그림 5.4.7〉 제3안 표준단면도 383
〈그림 5.5.1〉 기초처리공법 선정 흐름도 384
〈그림 5.5.2〉 지반조사 위치도 385
〈그림 5.5.3〉 남측지층현황 386
〈그림 5.5.4〉 북측지층현황 386
〈그림 5.5.5〉 공법 개요도 및 작업전경 392
〈그림 5.5.6〉 설계흐름도 392
〈그림 5.5.7〉 공법 개요도 및 작업전경 393
〈그림 5.5.8〉 설계흐름도 393
〈그림 5.5.9〉 검토위치 및 평면현황 397
〈그림 5.5.10〉 ① 구간 검토단면 403
〈그림 5.5.11〉 ② 구간 검토단면 405
〈그림 5.5.12〉 ③ 구간 검토단면 406
〈그림 5.5.13〉 ④ 구간 검토단면 407
〈그림 5.5.14〉 검토구간 선정현황 409
〈그림 5.5.15〉 검토단면(①남방파제) 410
〈그림 5.5.16〉 검토단면(②북방파제 접속부) 411
〈그림 5.5.17〉 검토단면(③남방파제 접속부) 412
〈그림 5.5.18〉 검토단면(①남방파제) 414
〈그림 5.5.19〉 검토단면(②북방파제 접속부) 415
〈그림 5.5.20〉 검토단면(③남방파제 접속부) 416
〈그림 5.5.21〉 계측관리 흐름도 418
〈그림 5.5.22〉 계측기 설치 계획평면 419
〈그림 5.5.23〉 계측 자료 활용 흐름도 421
〈그림 5.5.24〉 확인조사 위치 계획평면 422
〈그림 5.5.25〉 개량체 확인조사 위치 계획평면 424
〈그림 5.6.1〉 도입가능수종 425
〈그림 5.6.2〉 시설물 이미지 426
〈그림 5.6.3〉 체육공원 도입시설 427
〈그림 5.6.4〉 이벤트광장 도입시설 427
〈그림 5.6.5〉 포장재 이미지 429
〈그림 5.7.1〉 시설개요 430
〈그림 6.1.1〉 심해설계파 격자점 위치도 437
〈그림 6.1.2〉 높이에 대한 풍속 보정 441
〈그림 6.1.3〉 광역 격자망도 445
〈그림 6.1.4〉 광역 수심도 445
〈그림 6.1.5〉 상세역 격자망도 446
〈그림 6.1.6〉 상세역 수심도 446
〈그림 6.1.7〉 광역 파랑벡터도(NW 파향) 454
〈그림 6.1.8〉 광역 파랑벡터도(WNW 파향) 454
〈그림 6.1.9〉 광역 파랑벡터도(W 파향) 455
〈그림 6.1.10〉 광역 파랑벡터도(WSW 파향) 455
〈그림 6.1.11〉 광역 파랑벡터도(SW 파향) 456
〈그림 6.1.12〉 광역 파랑벡터도(SSW 파향) 456
〈그림 6.1.13〉 광역 파랑벡터도(S 파향) 457
〈그림 6.1.14〉 광역 파랑벡터도(SSE 파향) 457
〈그림 6.1.15〉 광역 파랑벡터도(SE 파향) 458
〈그림 6.1.16〉 광역 파랑벡터도(ESE 파향) 458
〈그림 6.1.17〉 상세역 파랑벡터도(NW 파향) 459
〈그림 6.1.18〉 상세역 파고분포도(NW 파향) 460
〈그림 6.1.19〉 상세역 주기분포도(NW 파향) 460
〈그림 6.1.20〉 상세역 파랑벡터도(WNW 파향) 461
〈그림 6.1.21〉 상세역 파고분포도(WNW 파향) 462
〈그림 6.1.22〉 상세역 주기분포도(WNW 파향) 462
〈그림 6.1.23〉 상세역 파랑벡터도(W 파향) 463
〈그림 6.1.24〉 상세역 파고분포도(W 파향) 464
〈그림 6.1.25〉 상세역 주기분포도(W 파향) 464
〈그림 6.1.26〉 상세역 파랑벡터도(WSW 파향) 465
〈그림 6.1.27〉 상세역 파고분포도(WSW 파향) 466
〈그림 6.1.28〉 상세역 주기분포도(WSW 파향) 466
〈그림 6.1.29〉 상세역 파랑벡터도(SW 파향) 467
〈그림 6.1.30〉 상세역 파고분포도(SW 파향) 468
〈그림 6.1.31〉 상세역 주기분포도(SW 파향) 468
〈그림 6.1.32〉 상세역 파랑벡터도(SSW 파향) 469
〈그림 6.1.33〉 상세역 파고분포도(SSW 파향) 470
〈그림 6.1.34〉 상세역 주기분포도(SSW 파향) 470
〈그림 6.1.35〉 상세역 파랑벡터도(S 파향) 471
〈그림 6.1.36〉 상세역 파고분포도(S 파향) 472
〈그림 6.1.37〉 상세역 주기분포도(S 파향) 472
〈그림 6.1.38〉 상세역 파랑벡터도(SSE 파향) 473
〈그림 6.1.39〉 상세역 파고분포도(SSE 파향) 474
〈그림 6.1.40〉 상세역 주기분포도(SSE 파향) 474
〈그림 6.1.41〉 상세역 파랑벡터도(SE 파향) 475
〈그림 6.1.42〉 상세역 파고분포도(SSE 파향) 476
〈그림 6.1.43〉 상세역 주기분포도(SSE 파향) 476
〈그림 6.1.44〉 상세역 파랑벡터도(ESE 파향) 477
〈그림 6.1.45〉 상세역 파고분포도(ESE 파향) 478
〈그림 6.1.46〉 상세역 주기분포도(ESE 파향) 478
〈그림 6.2.1〉 평면배치안별 실험안 480
〈그림 6.2.2〉 격자망도(NW, WNW, W 파향) 481
〈그림 6.2.3〉 수심도(NW, WNW, W 파향) 482
〈그림 6.2.4〉 격자망도(WSW 파향) 483
〈그림 6.2.5〉 수심도(WSW 파향) 484
〈그림 6.2.6〉 격자망도(SW 파향) 485
〈그림 6.2.7〉 수심도(SW 파향) 486
〈그림 6.2.8〉 격자망도(SSW, S, SSE 파향) 487
〈그림 6.2.9〉 수심도(SSW, S, SSE 파향) 488
〈그림 6.2.10〉 Staggered Grid System 491
〈그림 6.2.11〉 Dummy Area Attached to Main Computational Domain 491
〈그림 6.2.12〉 Offshore Driving Boundary 493
〈그림 6.2.13〉 등파고분포도(NW파향, 현재상태) 495
〈그림 6.2.14〉 등파고분포도(WNW파향, 현재상태) 495
〈그림 6.2.15〉 등파고분포도(W파향, 현재상태) 496
〈그림 6.2.16〉 등파고분포도(WSW파향, 현재상태) 496
〈그림 6.2.17〉 등파고분포도(SW파향, 현재상태) 497
〈그림 6.2.18〉 등파고분포도(SSW파향, 현재상태) 497
〈그림 6.2.19〉 등파고분포도(S파향, 현재상태) 498
〈그림 6.2.20〉 등파고분포도(SSE파향, 현재상태) 498
〈그림 6.2.21〉 등파고분포도(NW파향, 계획 안) 499
〈그림 6.2.22〉 등파고분포도(WNW파향, 계획 안) 499
〈그림 6.2.23〉 등파고분포도(W파향, 계획 안) 500
〈그림 6.2.24〉 등파고분포도(WSW파향, 계획 안) 500
〈그림 6.2.25〉 등파고분포도(SW파향, 계획 안) 501
〈그림 6.2.26〉 등파고분포도(SSW파향, 계획 안) 501
〈그림 6.2.27〉 등파고분포도(S파향, 계획 안) 502
〈그림 6.2.28〉 등파고분포도(SSE파향, 계획 안) 502
〈그림 6.3.1〉 EFDC 모델의 좌표계 및 변수 계산 위치 506
〈그림 6.3.2〉 수심도 507
〈그림 6.3.3〉 격자망도 508
〈그림 6.3.4〉 검증시 이용된 관측점 위치도 509
〈그림 6.3.5〉 조위 검증 시계열(SeoMang) 510
〈그림 6.3.6〉 조위 검증 시계열(SungNam) 510
〈그림 6.3.7〉 조류 검증 시계열(PC1) 511
〈그림 6.3.8〉 조류 검증 시계열(06YME5) 511
〈그림 6.3.3〉 고조위 분포도 513
〈그림 6.3.10〉 저조위 분포도 513
〈그림 6.3.11〉 고조위 분포도(현재, 상세확대) 514
〈그림 6.3.12〉 저조위 분포도(현재, 상세확대) 515
〈그림 6.3.13〉 고조위 분포도(계획, 상세확대) 516
〈그림 6.3.14〉 저조위 분포도(계획, 상세확대) 517
〈그림 6.3.15〉 고조위 변화도(계획-현재) 518
〈그림 6.3.16〉 저조위 변화도(계획-현재) 519
〈그림 6.3.17〉 창조류 벡터도 520
〈그림 6.3.18〉 낙조류 벡터도 520
〈그림 6.3.19〉 창조류 벡터도(현재, 상세확대) 521
〈그림 6.3.20〉 창조류 유속분포도(현재, 상세확대) 522
〈그림 6.3.21〉 낙조류 벡터도(현재, 상세확대) 523
〈그림 6.3.22〉 낙조류 유속분포도(현재, 상세확대) 524
〈그림 6.3.23〉 창조류 벡터도(계획, 상세확대) 525
〈그림 6.3.24〉 창조류 유속분포도(계획, 상세확대) 526
〈그림 6.3.25〉 낙조류 벡터도(계획, 상세확대) 527
〈그림 6.3.26〉 낙조류 유속분포도(계획, 상세확대) 528
〈그림 6.3.27〉 최강 창조유속 변화도(계획 안-현재상태) 529
〈그림 6.3.28〉 최강 낙조유속 변화도(계획 안-현재상태) 530
〈그림 6.4.1〉 연간 침식·퇴적고 분포도(현재상태, 사업지구 부근) 535
〈그림 6.4.2〉 연간 침식·퇴적고 분포도(계획안, 사업지구 부근) 536
〈그림 6.4.3〉 연간 침식·퇴적고 변화도(계획안-현재상태, 사업지구 부근) 537
〈그림 6.5.1〉 부유사 발생 위치 542
〈그림 6.5.2〉 공사시 1mg/L농도최대 확산범위(오탁방지막설치 전) 543
〈그림 6.5.3〉 공사시 1mg/L 농도 최대 확산 범위(오탁방지막 설치 후) 543
〈그림 7.2.1〉 검토대상지역의 설정 548
〈그림 8.1.1〉 비시장재화의 경제적 가치 추정 과정 563
〈그림 8.1.2〉 비시장재화의 경제적 가치 추정 방법론 564
〈그림 8.2.1〉 서망항 토지이용계획 567
〈그림 8.2.2〉 본 조사에서의 CVM 실증연구 절차 576
〈그림 8.3.1〉 모니터링의 모형 591
〈그림 8.3.2〉 서망항 어항건설사업의 성과모니터링 수행 절차 593
〈그림 8.3.3〉 서망항 건설사업의 모니터링 평가 측정 과정 595
〈그림 8.3.4〉 성과 모니터링을 위한 공간적 범위 599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247219 | 627.2 -17-3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247220 | 627.2 -17-3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