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
제출문
보고서 요약서
요약문
SUMMARY
Contents
목차
TFT별 연구 성과 요약 및 후속연구 등 제안 61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107
제1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107
제2절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 113
제3절 연구개발 추진 전략 및 방법 134
제2장 국내외 연구개발 현황 139
제1절 국내 연구개발 현황 139
제2절 국외 연구개발 현황 149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165
제1절 통합 시계열 관측망 운용 165
1. 통합시계열 관측망 운용 165
2. 동해 관측 조사 240
제2절 E-RAP 운용 및 해양관측기법 개발 317
1. 실시간 수직 자동 관측 장치(E-RAP)의 개선 및 운용 317
2. 동해-흑해 비교 연구 341
3. 신기술을 이용한 첨단관측기법 개발 351
제3절 물리적 강제력과 하위영양단계 반응 365
1. 울릉분지 연중 높은 일차 생산 매카니즘 규명 365
2. 하위 영양단계 생물군집 구조 요인 규명 396
제4절 동해의 자오면 순환 역학 427
1. 물리적 자료와 화학적 추적자를 활용한 자오면 순환의 강도변화 파악 427
2. 동해 수괴 형성 변동과 기후변동과의 관련성 파악 463
3. 수괴 형성 변동과 관련된 생지화학적 순환 이해 499
4. 울릉분지 저층 무산소화 가능성 평가 514
제5절 이산화탄소 흡수능력 및 산성화 과정 519
1. 동해의 이산화탄소 흡수능력 평가 519
2. 동해 표층수의 산성화 과정 이해 525
제6절 연직플럭스와 표영/저서 먹이망 역학 533
1. 표영/저서 생태계 영양 연결과정과 end-to-end food web 이해 533
2. 동해 심층수의 용존 유기물 저장 능력 이해 551
3. 울릉분지 퇴적물내의 높은 유기물 함량 559
4. 동해 고해양 환경변화 복원 571
제7절 다학제적 해양과정의 통합과 예측 585
1. 모델을 통한 동해 시공간 변화 전망 585
2. 해양생태계 구조와 기능의 시공간적 변동 예측을 위한 순환-생태 접합 모델 589
제4장 목표달성도 593
제1절 성과목표 총괄 593
제2절 연구개발 목표 및 추진실적 594
제3절 연차별 연구개발 목표의 달성도 639
제5장 연구개발 결과 종합 653
제1절 정량적 연구성과 654
제2절 정성적 연구성과 715
제6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계획 747
제1절 성과활용계획 747
제2절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747
제7장 참고문헌 751
[표 2.2.1] 유의파고 산출과 관련된 인공위성 고도계 센서 및 자료 특성 155
[표 2.2.2] 국외 인공위성 SAR 산출기술 현황 157
[표 3.1.1] 위성 클로로필-a 농도 합성장 계산 방법 185
[표 3.1.2] 유의파고 산출과 관련된 인공위성 센서 및 자료 특성 192
[표 3.1.3] 해수면높이 합성장 산출에 사용된 인공위성 고도계 센서 및 자료 특성 195
[표 3.1.4] ESROB에 장착된 해양 및 기상 장비 목록 208
[표 3.1.5] ESROB 점검 및 유지·보수 내역 209
[표 3.1.6] 표준형 레이더 종합 점검 결과 218
[표 3.1.7] HF 레이더 운용에 따른 유지보수 진단 225
[표 3.1.8] EC1 계류 종합 정보 231
[표 3.1.9] EC1 계류 장비 제원 234
[표 3.1.10] 계류 장비 제원 262
[표 3.1.11] 계류 장비 제원 266
[표 3.3.1] 조사해역별 표면 혼합층 수심(Mixed Layer Depth), 유광층 수심(Euphotic Depth), 수주안정도... 393
[표 3.3.2] 조사 시기, 정점 및 수심 403
[표 3.3.3] 동해 울릉분지 주변 조사해역에서 분리·배양된 해양 박테리아 407
[표 3.3.4] 해양 박테리아 군집 구조 분석 연구의 조사 시기, 정점 및 수심 409
[표 3.4.1] 모델별 MOC stream function 최대값 432
[표 3.4.2] UIG를 통해 울릉분지로 들어오는 수송량의 월평균 값 455
[표 3.6.1] Carbapenem 내성 관련 유전자(metallo-β-lactamases)의 primers 544
[표 3.6.2] 동해 울릉분지 주변해역에서 분리·배양된 carbapenem 계열 및 tetracycline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 544
[표 3.6.3] 13종 항생제에 대해서 내성을 갖는 분리된 박테리아의 그룹별 분포 547
[표 3.6.4] 기능적 특성에 따라 분류된 동해 울릉분지 주변해역에서 검출된 항생제 내성 유전자의 분포 548
[표 3.6.5] 표층대와 심해(1000m 수심 이하)에서 동시에 출현하는 박테리아 549
[표 3.6.6] Alpha-와 Gamma-proteobacteria 그리고 Flavobacteriia class에 속하며 표층대와 심해(1000m 수... 549
[표 3.6.7] 공극수 0-16cm까지 누적한 암모니아, 질산염, 인산염, 망간, 철 562
[표 3.6.8] 퇴적물 깊이 0-14cm까지 누적한 고형상 망간, 철, 환원황 566
[표 3.6.9] 동해 연안, 대륙사면 분지 퇴적물에서 표층 퇴적물 깊이 0-10cm까지 누적한 총 혐기성 유기... 570
[표 3.6.10] Information of Stations 574
[표 3.6.11] Fractional abundant of diols in ES14-BC01 core in East Sea 577
[표 3.6.12] Fractional abundant of diols in ES14-BC03 core in East Sea 578
[표 3.6.13] Fractional abundance of alkenone and diol in EC1 A 579
[표 3.6.14] Fractional abundance of alkenone and diol in EC1 B 580
[표 5.2.1] 각 조사별로 구축된 기본항목 726
[표 5.2.2] 구축된 자료예시 ① : 자료제공자(실무자/책임자) 및 구축된 자료 항목 727
[표 5.2.3] 구축된 자료예시 ② : 자료DB 필드명 및 단위 727
[표 5.2.4] 구축된 자료예시 ③ : 정점정보 및 정점별 관측항목 728
[표 5.2.5] 구축된 자료예시 ④ : 자료DB-기본항목 728
[표 5.2.6] 구축된 자료예시 ⑤ : 자료DB-기타항목 729
[표 5.2.7] 구축된 자료예시 ⑥ : 동물플랑크톤 자료 729
[표 5.2.8] 동해 명칭 병기 분석 저널 목록 741
[그림 1.1.1] 전 지구적 기후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동해 107
[그림 1.1.2] 1965~2015년 기간 중 81개 SCI급 저널에 수록된 동해 관련 논문에서 사용된 동해 관련 논문에서... 112
[그림 1.3.1] 과학적 이슈별 TFT 팀 구성 134
[그림 1.3.2] EAST-I 과제 연구진 구성 및 조직도 135
[그림 1.3.3] 주요 해양과정 및 상호적/종합적 해양 연구를 위한 TFT 구성 135
[그림 1.3.4] 연구 로드맵 136
[그림 2.1.1] E-RAP, 실시간 수직 자동 관측 143
[그림 2.1.2] 홍게 통발을 조업을 활용한 해양환경 모니터링 개념도(왼편), 자료 전송 시스템(오른편... 144
[그림 2.2.1] OceanSITES에 등재된 각 나라별 장기 관측 자료에 대한 기여도 150
[그림 2.2.2] OceanSITES에 등재된 EC1(울릉도-독도 심층계류선) 151
[그림 2.2.3] CalCOFI 정점도 152
[그림 3.1.1] (a) 위성으로 추적한 표층 뜰개의 이동경로의 공간분포, (b)... 166
[그림 3.1.2] 2005년부터 2010년까지 해수면온도 일치점 자료 분포 167
[그림 3.1.3] 표층 뜰개 해수면온도 자료에 대한 (a) MCSST, (b) NLSST... 168
[그림 3.1.4] MCSST와 표층뜰개 해수면온도 차이값의 (a) 낮, (b) 밤, NLSST와 표... 168
[그림 3.1.5] 풍속에 대하여 MCSST와 표층뜰개 해수면온도 차이값의 (a) 낮, (b) 밤,... 169
[그림 3.1.6] 일치점에서의 해양 부이 해수면온도와 위성 해수면온도 170
[그림 3.1.7] 해수면온도 오차(위성-부이 해수면온도)가 ±4°C 이상인 일치점 위치 171
[그림 3.1.8] 실측 해수면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해수면온도 오차 171
[그림 3.1.9] 풍속에 따라 변화하는 해수면 온도 오차 172
[그림 3.1.10] 2003년-2012년 동해 열전선 크기(℃/km)의 계절 평... 174
[그림 3.1.11] 2007년-2012년 동해 전 영역에 대한 열전선 크기(℃/km)의... 175
[그림 3.1.12] (a) SSTA 자료를 EOF 분석 결과의 첫 번째 모드 고유벡터의 공간 분포, (b)... 177
[그림 3.1.13] SSTA의 월별 공간 분포 (a) 5월, (b) 6월, (c) 11월, (d) 12월,... 178
[그림 3.1.14] (a) MURSST, (b) MURSST 자료로 계산한 SSTA... 178
[그림 3.1.15] (a) 11월의 풍속(ms⁻¹)과 11월과 12월의 해수면... 179
[그림 3.1.16] 표층 수온 관측 센서 설치 구조도 180
[그림 3.1.17] 2013년 2월부터 2014년 9월까지의 표층 수심별 시계열 수온... 180
[그림 3.1.18] 깊이별 수온차를 나타낸 히스토그램 181
[그림 3.1.19] (a) 낮(14시±2시간)과 (b) 밤(2시±2시간)의 수심 10cm와 40cm에서의 수온 관측... 182
[그림 3.1.20] 1998년부터 2007년까지 (a) 봄 (4월), (b) 여름 (7... 183
[그림 3.1.21] 1998년부터 2007년까지 각 달에 대한 동해 중앙 해역에서의 (134–139°E,... 184
[그림 3.1.22] (a) 단순 산술 평균(simple average method), (b) 최대 우도 추정(Maximum... 187
[그림 3.1.23] 단순 산술 평균 방법으로 합성한 클로로필-a 농도와 (a) 최대 우도 추정, (b) 기하 평균,... 188
[그림 3.1.24] (a) 위도에 따른 함수로 표현한 로스비 변형 반경 RD와 (b) RD에 대한 소용... 191
[그림 3.1.25] 클로로필-a 농도 영상에서 나타나는 소용돌이의 평균 반경에 대한 해수면온... 192
[그림 3.1.26] 인공위성에서 보낸 후 해수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의 시간에 대한 변화 (a) 유... 193
[그림 3.1.27] 유의파고 오차특성을 이용한 고도계 유의파고 산출 및 보정 결과 예시 (a) 보정 전,... 194
[그림 3.1.28] (a) 고도계 해수면높이 편차, (b) AVISO 배포 고도계 해수면높이편차 합성장, (c) 산출 고도... 195
[그림 3.1.29] (a) ALOS PALSAR, (b) QuikSCAT, (c) ASCAT으로 산출한 2007년 8월 11일 동해 연안의 위... 197
[그림 3.1.30] (a) L밴드 HH GMF 2007과 (b) L밴드 HH GMF 2009 알고리즘을 적용하... 198
[그림 3.1.31] 기름유출영역이 포함된 후방산란계수 영상 및 최적임계값 기법을 적용하여 산출한 탐... 200
[그림 3.1.32] (a) 기름유출영역이 포함된 후방산란계수 부분영상과 (b) 양봉 히스토그... 200
[그림 3.1.33] 동해 용승 시의 고해상도 연안해상풍 및 해수면온도 분포. (a) 2007년 8... 202
[그림 3.1.34] (a) 동해 용승 지역 정선(북위 35.6°)의 해수면온도와 대기온도 차이... 203
[그림 3.1.35] 시계열 관측망 지도 204
[그림 3.1.36] ESROB 위치 및 모식도 205
[그림 3.1.37] ESROB 자료 실시간 모니터링 205
[그림 3.1.38] ESROB 설계도 207
[그림 3.1.39] ESROB 생물부착 상태 및 현장점검 시 프레임 청소 작업 전 후 사진 210
[그림 3.1.40] ESROB 데이터 현황 211
[그림 3.1.41] 2011년 ESROB 자료 212
[그림 3.1.42] 2012년 ESROB 자료 212
[그림 3.1.43] 2013년 ESROB 자료 213
[그림 3.1.44] 2014년 ESROB 자료 213
[그림 3.1.45] 2015년 ESROB 자료 214
[그림 3.1.46] 후방산란 도플러 스펙트럼의 전형적인 예 215
[그림 3.1.47] HF Radar의 Bragg Scattering 개념도 215
[그림 3.1.48] 두 지점(Site1과 Site2)에서 관측된 방사형 유속 벡터를... 216
[그림 3.1.49] 표준형 레이더의 설치 위치(망상, 덕산, 후정)와 방사형 자... 217
[그림 3.1.50] 장거리형(5MHz) 송신 및 수신 안테나 현장 설치사진. 동해 망상과 울진에 설치된... 219
[그림 3.1.51] 안테나 APM 측정 현장사진과 위성사진에 중첩된 관측궤적. APM... 220
[그림 3.1.52] 안테나 패턴 보정이후 합성된 표층해류 벡터장의 예 220
[그림 3.1.53] Coverage로 표현된 동해망상(DH)과 울진(UJ)의 방사형 벡터 획득 자료 221
[그림 3.1.54] 합성벡터 기준의 장거리형 HF Radar 자료 획득 현황 222
[그림 3.1.55] 동해 망상 사이트 주파수 환경변수 측정 222
[그림 3.1.56] 울진 사이트 에어컨 기능고장과 보수 이후 송신기 내... 222
[그림 3.1.57] 2년동안 평균된 장주기 해류 벡터의 공간분포(2014년~2015년) 223
[그림 3.1.58] 월별로 표시된 장주기 해류벡터의 공간 분포(사용된 자료는 2014년 ~ 2015년) 224
[그림 3.1.59] Ulleung Interplain Gap과 울릉분지 지형과 EC1 정점도 226
[그림 3.1.60(a)]EC1 심층계류선 모식도 - leg16(2011/03~2012/07) 227
[그림 3.1.60(b)]EC1 심층계류선 모식도 - leg17(2012/07~2014/08) 228
[그림 3.1.60(c)]EC1 심층계류선 모식도 - leg18(2014/08~2015/09) 229
[그림 3.1.60(d)]EC1 심층계류선 모식도 - leg19(2015/09~현재) 230
[그림 3.1.61] EC1 주요 수심 관측 현황 233
[그림 3.1.62] 40시간 이상의 장주기 해류 235
[그림 3.1.63] OceanSITES EC1 자료 업로드 현황 236
[그림 3.1.64] OceanSITES 지도 및 EC1 위치 236
[그림 3.1.65] 부산 송정 KT 해저센터에 설치된 해저케이블 서버 및... 237
[그림 3.1.66] 케이블 자료 보유 현황 238
[그림 3.1.67] 해저케이블 자료를 통해 계산된 대한해협 수송량과 ADCP 자료를 통해 계산된 수... 238
[그림 3.1.68] 대한해협 수송량의 계절적 평균 시계열 239
[그림 3.1.69] 동해 관측조사 정점도 240
[그림 3.1.70] 2012년 10월 동해 전역 국제 공동관측 정점도 242
[그림 3.1.71] 2014년 4월 동해 전역 국제공동관측 정점도 242
[그림 3.1.72] 2015년 4월 동해 전역 국제공동관측 정점도 242
[그림 3.1.73] 2016년 4월 동해 전역 국제공동관측 정점도 242
[그림 3.1.74(a)] 2012년 10월 Line-M 온위 분포 243
[그림 3.1.74(b)] 2012년 10월 Line-M 염분 분포 244
[그림 3.1.74(c)] 2012년 10월 Line-M 용존산소 분포 245
[그림 3.1.75(a)] 2014년 4월 Line-M 온위 분포 246
[그림 3.1.75(b)] 2014년 4월 Line-M 염분 분포 247
[그림 3.1.75(c)] 2014년 4월 Line-M 용존산소 분포 248
[그림 3.1.76(a)] 2015년 4월 Line-M 온위 분포 249
[그림 3.1.76(b)] 2015년 4월 Line-M 염분 분포 250
[그림 3.1.76(c)] 2015년 4월 Line-M 용존산소 분포 251
[그림 3.1.77(a)] 2016년 4월 Line-M 온위 분포 252
[그림 3.1.77(b)] 2016년 4월 Line-M 염분 분포 253
[그림 3.1.77(c)] 2016년 4월 Line-M 용존산소 분포 254
[그림 3.1.78(a)] 2012년 10월 한-러 국제 공동조사 정점도(좌상), 37˚N line에서 동서방향의 유속...(이미지참조) 255
[그림 3.1.78(b)] 2012년 10월 한-러 국제 공동조사 정점도(좌상), 37˚N line에서 남북방향의 유속...(이미지참조) 256
[그림 3.1.79(a)] 2012년 10월 한-러 국제 공동조사 정점도(좌상), 132˚E line에서 동서방향의 유속...(이미지참조) 257
[그림 3.1.79(b)] 2012년 10월 한-러 국제 공동조사 정점도(좌상), 132˚E line에서 남북방향의 유속...(이미지참조) 258
[그림 3.1.80(a)] 2016년 4월 한-러 국제 공동조사 정점도(좌상), 37˚N line에서 동서방향의 유속(우...(이미지참조) 259
[그림 3.1.80(b)] 2016년 4월 한-러 국제 공동조사 정점도(좌상), 37˚N line에서 남북방향의 유속...(이미지참조) 260
[그림 3.1.81(a)] 2016년 4월 한-러 국제 공동조사 정점도(좌), 130˚E line에서 동서방향의 유속(우...(이미지참조) 261
[그림 3.1.81(b)] 2016년 4월 한-러 국제 공동조사 정점도(좌), 130˚E line에서 남북방향의 유속(우...(이미지참조) 261
[그림 3.1.82] 계류선 주위 수심 및 계류선 위치 262
[그림 3.1.83(a)] 일본분지 Y1 계류도면 263
[그림 3.1.83(b)] 일본분지 Y3 계류도면 264
[그림 3.1.84(a)] Y1 계류선에서 시간, 수심에 따른 해류의 세기 및 방향 265
[그림 3.1.84(b)] Y3 계류선에서 시간, 수심에 따른 해류의 세기 및 방향 265
[그림 3.1.85] 계류선 주위 수심 및 계류선 위치 266
[그림 3.1.86(a)] 동해북부 P1 계류도면 267
[그림 3.1.86(b)] 동해북부 P2 계류도면 268
[그림 3.1.86(c)] 동해북부 P3 계류도면 269
[그림 3.1.87] 2011년 8월 동해 관할수역 집중관측 정점도 271
[그림 3.1.88] 2012년 3월 동해 관할해역 집중조사 정점도 271
[그림 3.2.89] 2013년 3월 동해 관할수역 집중관측 정점도 271
[그림 3.2.90] 2014년 11월 동해 관할수역 집중관측 정점도 271
[그림 3.1.91] 2015년 11월 동해 관할수역 집중관측 정점도 272
[그림 3.1.92(a)] 2011년 8월 B line 온위 분포 273
[그림 3.1.92(b)] 2011년 8월 B line 염분 분포 274
[그림 3.1.92(c)] 2011년 8월 B line 용존산소 분포 275
[그림 3.1.93(a)] 2012년 3월 B line 온위 분포 276
[그림 3.1.93(b)] 2012년 3월 B line 염분 분포 277
[그림 3.1.93(c)] 2012년 3월 B line 용존산소 분포 278
[그림 3.1.94(a)] 2013년 3월 B line 온위 분포 279
[그림 3.1.94(b)] 2013년 3월 B line 염분 분포 280
[그림 3.1.94(c)] 2013년 3월 B line 용존산소 분포 281
[그림 3.1.95(a)] 2014년 11월 B line 온위 분포 282
[그림 3.1.95(b)] 2014년 11월 B line 염분 분포 283
[그림 3.1.95(c)] 2014년 11월 B line 용존산소 분포 284
[그림 3.1.96(a)] 2015년 11월 B line 온위 분포 285
[그림 3.1.96(b)] 2015년 11월 B line 염분 분포 286
[그림 3.1.96(c)] 2015년 11월 B line 용존산소 분포 287
[그림 3.1.97] 본 그림은 2014년 4월 한러 국제 공동 조사 때 얻어진 M13 정점에서의... 289
[그림 3.1.98] 실제 관측시 LADCP 운행 모습 291
[그림 3.1.99(a)] 2012년 3월 해양2000호 공동조사 정점도(좌상), teb line에서 동서방향의 유속(우... 293
[그림 3.1.99(b)] 2012년 3월 해양2000호 공동조사 정점도(좌상), teb line에서 남북방향의 유속(우... 294
[그림 3.1.100(a)] 2012년 3월 해양2000호 공동조사 정점도(좌상), 130˚E line에서 동서방향의 유속...(이미지참조) 295
[그림 3.1.100(b)] 2012년 3월 해양2000호 공동조사 정점도(좌상), 130˚E line에서 남북방향의 유속...(이미지참조) 296
[그림 3.1.101(a)] 2013년 3월 해양2000호 공동조사 정점도(좌상), teb line에서 동서방향의 유속(우... 297
[그림 3.1.101(b)] 2013년 3월 해양2000호 공동조사 정점도(좌상), teb line에서 남북방향의 유속(우... 298
[그림 3.1.102(a)] 2013년 3월 해양2000호 공동조사 정점도(좌상), tea line에서 동서방향의 유속(우... 299
[그림 3.1.102(b)] 2013년 3월 해양2000호 공동조사 정점도(좌상), tea line에서 남북방향의 유속(우... 300
[그림 3.1.103(a)] 2014년 11월 해양2000호 공동조사 정점도(좌상), teb line에서 동서방향의 유속(우... 301
[그림 3.1.103(b)] 2014년 11월 해양2000호 공동조사 정점도(좌상), teb line에서 남북방향의 유속(우... 302
[그림 3.1.104(a)] 2014년 11월 해양2000호 공동조사 정점도(좌상), 130˚E line에서 동서방향의 유...(이미지참조) 303
[그림 3.1.104(b)] 2014년 11월 해양2000호 공동조사 정점도(좌상), 130˚E line에서 남북방향의 유...(이미지참조) 304
[그림 3.1.105(a)] 2015년 11월 해양2000호 공동조사 정점도(좌상), teb line에서 동서방향의 유속(우... 305
[그림 3.1.105(b)] 2015년 11월 해양2000호 공동조사 정점도(좌상), teb line에서 남북방향의 유속(우... 306
[그림 3.1.106(a)] 2015년 11월 해양2000호 공동조사 정점도(좌상), 130˚E line에서 동서방향의 유...(이미지참조) 307
[그림 3.1.106(b)] 2015년 11월 해양2000호 공동조사 정점도(좌상), 130˚E line에서 남북방향의 유...(이미지참조) 308
[그림 3.1.107] 각 정점에서 여러 가지 자료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구한 유속측정 오차 값 310
[그림 3.1.108] 2014년 11월 해양2000호 공동조사 TEB(37°N) line 남북방향 유속; (상) LADCP 측...(이미지참조) 311
[그림 3.1.109] 2011년 7월, 10월, 11월, 2012년 4월 동해 연안 ESROB 주변... 313
[그림 3.1.110] 2012년 7월 EC1 회수/재계류 및 울릉분지 해수물질순환조... 313
[그림 3.1.111] 2013년 7월 동해 관할수역 집중관측... 314
[그림 3.1.112] 2014년 8월 동해 관할수역 집중관측 정점도 314
[그림 3.1.113] 2014년 10월 동해 연안 ESROB 주변 연속 관측 315
[그림 3.1.114] 2015년 5월 동해 연안 ESROB 주변 연속 관측 315
[그림 3.1.115] 2015년 8월 동해울릉분지 해역 관측 정점도 316
[그림 3.1.116] 2015년 9월 울릉도-독도간 심층해류계(EC1) 회수 및 재계류 조사... 316
[그림 3.2.1] E-RAP 계류 위치(Super-Station) 317
[그림 3.2.2] 표층 부이 센서 연결도 319
[그림 3.2.3] E-RAP 계류도 320
[그림 3.2.4] 2012년 수온자료 322
[그림 3.2.5] 2013년 수온자료 322
[그림 3.2.6] 2014년 수온자료 323
[그림 3.2.7] 2015년 수온자료 323
[그림 3.2.8] 2012년 염분자료 324
[그림 3.2.9] 2013년 염분자료 324
[그림 3.2.10] 2014년 염분자료 325
[그림 3.2.11] 2015년 염분자료 325
[그림 3.2.12] 2012년 용존산소 자료 326
[그림 3.2.13] 2013년 용존산소 자료 326
[그림 3.2.14] 2014년 용존산소 자료 327
[그림 3.2.15] 2015년 용존산소 자료 327
[그림 3.2.16] 2012년 엽록소 자료 328
[그림 3.2.17] 2013년 엽록소 자료 328
[그림 3.2.18] 2014년 엽록소 자료 328
[그림 3.2.19] 2015년 엽록소 자료 329
[그림 3.2.20] 유선형으로 개선 전·후의 하강 및 상승 속도 비교 330
[그림 3.2.21] Super station buoy에 설치된 풍력발전기 331
[그림 3.2.21] E-RAP sensor와 CTD 및 분석 자료와의 비교 332
[그림 3.2.22] E-RAP과 CTD의 비교 결과 332
[그림 3.2.23] E-RAP과 HPLC의 비교 결과 333
[그림 3.2.24] CTD 자료와 E-RAP 자료 비교 334
[그림 3.2.25] 보정 전, 후의 용존산소 수직분포 예 334
[그림 3.2.26] E-RAP과 현장관측(CTD) 결과 비교, 2014년 12월 8일 335
[그림 3.2.27] E-RAP과 현장관측(CTD) 상관관계 결과 336
[그림 3.2.28] E-RAP 홈페이지 자료제공 337
[그림 3.2.29] E-RAP 시계열 자료표출 예시 338
[그림 3.2.30] 프로그램등록증(사본)과 스마트폰 어플 실제화면 339
[그림 3.2.31] E-RAP 계류 장소의 제안 340
[그림 3.2.32] 한국해양과학기술원-불가리아과학원(Bulgarian Academy of Science)간 MOU 체결 342
[그림 3.2.33] 2014.9.23., 부산 파라다이스 호텔, 동해-흑해 비교연구를 위한 국제워크샵 개최 343
[그림 3.2.34] KIOST EC/ 구성 사진 345
[그림 3.2.35] 동해 후포 잘피장에 설치장면 345
[그림 3.2.36] 연구장소: (상) 불가리아, (하) 동해 후포 346
[그림 3.2.37] 3차원 유속장 측정결과: (상) 불가리아, (하) 동해 후포 347
[그림 3.2.38] 용존산소 측정결과: (상) 불가리아 BY, (하) 동해 후포 348
[그림 3.2.39] 스펙트럼 분석결과 348
[그림 3.2.40] 15분별 평균 순 산소플럭스 측정결과: (상) 불가리아, (하) 동해 후포 349
[그림 3.2.41] 1시간별 평균 순 산소플럭스 및 PAR 변화: (우) 불가리아, (좌) 동해 후포 349
[그림 3.2.42] 불가리아 및 동해 후포의 잘피장에서 순생태대사율, 호흡율, 총생산력 비... 350
[그림 3.2.43] 벤틱 챔버(좌) 및 교반기(우) 351
[그림 3.2.44] 자동해수채수기 설계도 352
[그림 3.2.45] 벤티랜더 전체 모습(좌), 벤틱챔버의 자동해수 채수기(중), 마이크로프로파일러(우) 352
[그림 3.2.46] 시스템 구성 사진 352
[그림 3.2.47] 2014년 8월 동해 SS지점에서 벤틱챔버로 측정한 퇴적물의 총 산소 소모율(상) 및 열 플럭스(하) 353
[그림 3.2.48] 마이크로 프로파일러로 측정한 공극수중 용존산소 수직분포 353
[그림 3.2.49] 적정을 통해 얻은 DO값에 대한 CTD DO Sensor 값의 상관관계 354
[그림 3.2.50] 시료 개수(n)에 따른 교정식 기울기의 변화 354
[그림 3.2.51] 기존의 용존산소 적정 장치(좌)와 개발된 용존산소 적정 정치(우)의 개념도 355
[그림 3.2.52] 용존산소 농도에 따른 기존 방법과의 차이 비교 355
[그림 3.2.53] Dipping Probe를 이용한 용존산소 광학 측정 장치 모식도(좌) 및 제직된 시제품(우) 356
[그림 3.2.54] 실험실 성능 검증 결과 356
[그림 3.2.55] 실해역 테스트 시료를 이용한 기존 방법과의 비교 결과 357
[그림 3.2.56] 극저농도 인산염 분석장치 도식도 및 분석조건 358
[그림 3.2.57] 현장성능검증을 위해 조사선에 설치된 극저농도 인산염 분석장치(사진)와 연속... 358
[그림 3.2.58] 극저농도 인산염 연속 분석 장치의 직선성 359
[그림 3.2.59] 인산염 스탠다드 4개농도의 분석결과 359
[그림 3.2.60] 현장 관측 결과 360
[그림 3.2.61] 표층 인산염 연속관측 결과 및 기존 방법과의 비교 360
[그림 3.2.62] 2014년 10월 15-20일 기간 동안 동해 연안 2개 정점에 설치된 파력 기... 361
[그림 3.2.63] 이동형 수직 해양환경 현장 관측 장비의 연구선 설치와 운용 과정 362
[그림 3.2.64] 2015년 5월 이동형 수직 해양환경 관... 363
[그림 3.2.65] 2015년 5월 이동형 수직 해양환경 관측 장비로 측정된 수온 단면의 세밀한 구조 예 363
[그림 3.2.66] 2015년 5월 이동형 수직 해양환경 관측 장비로 측정된 수온 구조의 빠른 변화 예 364
[그림 3.3.1] ESROB의 위치와 일변화 연속관측 정점도 365
[그림 3.3.2] 여름철 수온, 염분, 밀도, 탁도, 용존산소, 엽록소 형광값의 수직-시간 분포변화 366
[그림 3.3.3] 가을철 수온, 염분, 밀도, 탁도, 용존산소, 엽록소 형광값의 수직-시간 분포변화 367
[그림 3.3.4] 수심-시간의 분포 변화를 밀도-시간 분포로 변환하여 엽록소 형광값의 분포변화 367
[그림 3.3.5] ESROB의 다층유속계(ADCP)로부터 얻어진 수평속도의 세기(cm/s)와 연속관측의 CTD rofiling에서... 368
[그림 3.3.6] (a) 2011년 4월 13일 이후 WQM의 엽록소, 용존산소, 수온 및 염분 시계열. (b) 2012년 3월... 368
[그림 3.3.7] WQM 시계열 자료의 스펙트럼 분석. a) 표층하 1m WQM(검은색) 엽록소와 20m 수심의... 369
[그림 3.3.8] a) 2011년 7월과 2012년 4월에 관측된 영영염과 수온을 이용하여 선형회귀 분석을 실시하... 370
[그림 3.3.9] a) 2011년과 b) 2012년 수온 자료를 바탕으로 산출된 대리 영양염(NO₃,T)의...(이미지참조) 371
[그림 3.3.10] a) 2012년 5월 초순부터 6월 하순까지 수직속도, 대리 영양염, 난류 확산계수, 대리 영양염의... 372
[그림 3.3.11] 2013년 ESROB 부이의 WQM 센서로부터 획득된 시계열 자료. a) 녹색 실선은 엽록소 형... 373
[그림 3.3.12] 광합성 유효광(PAR;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을 이용한 NPQ 효과 보정 374
[그림 3.3.13] a) 여름철(7월부터 9월까지)기간 동안 24시간 기준으로 평균된 엽록소 농도의 일변화 특성. 보정... 375
[그림 3.3.14] 2013 하계 ESROB의 시계열 자료및주변 하천 방유량 376
[그림 3.3.15] 2012년을 제외하고 [그림 3.3.14]와 동일한 구조임 377
[그림 3.3.16] 2013년을 제외하고 [그림 3.3.15와] 동일함 378
[그림 3.3.17] a)-c) GOCI 해색위성의 1일 합성 엽록소 농도. d)-f) 해색 위성 일자와 유사한 시기의... 379
[그림 3.3.18] a)-d) GOCI 위성으로부터 생산된 일평균 엽록소 분포의 연속적인 시간변화... 380
[그림 3.3.19] 조사 선박의 수심 1m 층에 장착된 Thermalsalinograph 관측 장비로 측정된 표... 381
[그림 3.3.20] 선박을 이용한 표층(3m), 중층(20m), 저층(70m)의 수온, 염분, 밀도, 엽록수 수평분포, 엽... 382
[그림 3.3.21] 선박 장착 ADCP로부터 획득된 최상층(수심 16m) 유속벡... 383
[그림 3.3.22] 2015년 5월 6일 획득된 a) 수온. b) 염분 c) 엽록소 농도의 수직 분포와 5월 9일 획득된... 383
[그림 3.3.23] 소용돌이 중심 탐색 385
[그림 3.3.24] 소용돌이 경계 탐색 385
[그림 3.3.25] 소용돌이 탐색 결과 385
[그림 3.3.26] 한류성 소용돌이 386
[그림 3.3.27] 난류성 소용돌이 386
[그림 3.3.28] 소용돌이 전체 386
[그림 3.3.29] 소용돌이 개수 387
[그림 3.3.30] 소용돌이 세기(Intensity) 387
[그림 3.3.31] 소용돌이 반경 387
[그림 3.3.32] 소용돌이의 평균 수명 388
[그림 3.3.33] 소용돌이의 평균 세기(확률 밀도 함수) 388
[그림 3.3.34] 1년 이상의 수명을 지녔던 소용돌이의... 388
[그림 3.3.35] 왼쪽 : 난류성, 오른쪽 : 한류성 소용돌이의 평균 전파방향별 비율 389
[그림 3.3.36] 왼쪽 : 난류성, 오른쪽 : 한류성 소용돌이의 총 전파 경로 389
[그림 3.3.37] 울릉분지 연간 일차생산력... 390
[그림 3.3.38] 울릉분지에서 수온, 염분, 밀도 연직구조의 연간변동 390
[그림 3.3.39] 울릉분지에서 질산염, 인산염, 규산염 농도 분포의 연간변동 391
[그림 3.3.40] 울릉분지에서 일차생산 신·재생산,... 391
[그림 3.3.41] 여름철 Kuroshio에서 동해 울릉분지까지의 수주구조에 따른 영양염 분포 식물플랑크톤 분포 및... 392
[그림 3.3.42] 동해 울릉분지, 일본분지, 야마토분지, 그리고 서아극태평양 조사 정점도 393
[그림 3.3.43] 조사해역별 식물플랑크톤 크기와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 394
[그림 3.3.44] 해역별 환경요인과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 자료를 이용한 집괴분석 394
[그림 3.3.45] 동해 울릉분지, 일본분지, 야마토분지, 그리고 서아극태평양의 환경요인과 식물플... 395
[그림 3.3.46] (좌)-2012년 3월 동해연안과 울릉분지 주변에서 식물플랑크톤 체내조성성분, (우)-2012년 10... 397
[그림 3.3.47] 2012년과 2013년의 동해에서 식물플랑크톤 체내조성 비교 397
[그림 3.3.48] 2012년과 2013년 동해 식물플랑크톤 FM(Food... 399
[그림 3.3.49] 2014년 11월 동해 식물플랑크톤의 체내조성 399
[그림 3.3.50] 2013년 3월과 2014년 11월 식물플랑크톤 체내조성 비교 399
[그림 3.3.51] M-line 조사 정점도 400
[그림 3.3.52] M-line에서 수온, 염분 밀도 계절별 연직분포 400
[그림 3.3.53] 계절별 주요 환경요인과 식물플랑크톤 분류군의 다변량분석(CCA) 401
[그림 3.3.54] M-line에서 클로로필 a와 8개의 식물플랑크톤 분류군(diatoms, dinoflagellates, cryptophytes,... 402
[그림 3.3.55] 2011년 8월 울릉분지 주변 연구해역의 박테리아 개체수... 405
[그림 3.3.56] 2012년 3월 울릉분지 주변 연구해역의 박테리아 개체수... 405
[그림 3.3.57] 2012년 7월 울릉분지 주변 연구해역의 박테리... 406
[그림 3.3.58] 2013년 3월 울울릉분지 주변 연구해역의 박테... 406
[그림 3.3.59] 2014년 11월 울릉분지 주변 연구해역의 박테... 406
[그림 3.3.60] 2015년 11월 울릉분지 주... 406
[그림 3.3.61] q-PCR을 이용한 수심별 박테리아와 아키아의 정량적 분포 411
[그림 3.3.62] 수심별 박테리아 그룹(phylum 또는 class)의 계절적 분포와 박테리아 대발생 시료(★) 413
[그림 3.3.63] 수심별 아키아(Archaea) 그룹(phylum 또는 class)의 계절적 분포와 박테리아 대발생 시료(★) 416
[그림 3.3.64] 2012년 10월 한-러 공동관측기간 중 부유성 요각류의 각 정점별 출현종수 420
[그림 3.3.65] 2012년 10월 한-러 공동관측기간 중 부유성 요각류의 각 정점별 출현양 420
[그림 3.3.67] 2012년 10월 부유성 요각류의 정점별 출현양을 이용하여 Bray-Curtis 유사... 421
[그림 3.3.68] 2012년 10월 부유성 요각류의 정점별 출현양을 기초로 실시... 421
[그림 3.3.69] 2014년 4월 한-러 공동관측기간 중 부유성 요각류의 각 정점별 출현종수 422
[그림 3.3.70] 2014년 4월 한-러 공동관측기간 중 부유성 요각류의 각 정점별 출현양 422
[그림 3.3.71] 2014년 4월 부유성 요각류의 정점별 출현양을 이용하여 Bray-Curtis... 423
[그림 3.3.72] 2014년 4월 부유성 요각류의 정점별 출현양을 기초로 실... 423
[그림 3.3.73] 2014년 11월 부유성 요각류의 정점별 출현양을 이용하여 Bray-Curtis... 424
[그림 3.3.74] 2011년 8월 관할수역 집중조사 중에 출현한 네 요각류와... 425
[그림 3.3.75] Stable Isotope Analysis in R(SIAR; Parnell et al., 2010)분석을 통해 얻어진 먹이원의 각 요각... 426
[그림 3.3.76] picoplankton의 질소안정동위원소비를 기초로 하여 나타낸 동해 동물플랑... 426
[그림 3.4.1] Talley 등(2003)에 의해 제시된 북대서양 MOC stream... 427
[그림 3.4.2] Yoshikawa 등(1999)에 의해 제시된 a) 겨울철(2월) 및 b) 여름철(8월) 동해 MOC tream... 428
[그림 3.4.3] Park 등(2013)의 control run 실험에 의해 제안된... 429
[그림 3.4.4] 동해 지역 모델로부터 계산한 MOC stream function 431
[그림 3.4.5] HYCOM으로부터 계산한 월별 동해 MOC stream function 432
[그림 3.4.6] (a) 동해연안 북한한류(푸른색)와 동한난류(붉은색)의 모식도.... 434
[그림 3.4.7] 묵호에서 얻은 조위 자료와 대기압 간의 대기압 보정 전과후의 상관관계 435
[그림 3.4.8] 수심 평균된 10분 간격 유속의 V 성분의 spectrum(왼쪽)과 40시간 low-pass filter 된 유속의 수... 436
[그림 3.4.9] (a) 수심 평균된 월평균 유속(검은선)과 STE(errorbar), STD(gray shade) 그리고 장기간 평균... 437
[그림 3.4.10] ESROB에서 관측한 월평균 profile과 6개년 기후적 월평균 profile (blue dashed line),... 438
[그림 3.4.11] ESROB에서 얻어진 연안과 평행한 표층 유속과 1993-2011년간 얻어진 AVISO 자료로부터... 439
[그림 3.4.12] ESROB과 UB2에서 관측된 수심30m V의 기후적월평균 439
[그림 3.4.13] ESROB에서 관측한 수온, 염분 밀도의 기후적 월평균 (a, c, e) 과 STD (b, d, f)의 수심 -시간 그... 441
[그림 3.4.14] (a) 네 곳의 조위관측소(속초: SC, 묵호: MH, 후포: HP, 포항: PH)의 기후적 월평균 sea level... 442
[그림 3.4.15] 가용한 자료로 구한 해안과 평행한 성분의 운동량 항과... 445
[그림 3.4.16] 남북방향의 NIFS 수심별 수온, 염분, 밀도 자료의 계절 변동 그림. 검은 점선은 ESROB 위치를... 446
[그림 3.4.17] 6월과 7월의 SSHA (contour)와 wind stress curl anomaly (line)의 CSEOF... 447
[그림 3.4.18] 식 3을 이용하여 그림 10에서 회색선 위치(동한만, ESROB 위치) 간 WSC에 의한 SSHA의 차이... 448
[그림 3.4.19] NIFS 자료를 이용하여 107line부터 103line 까지 바닥을 무류면으로 한 동서방향의 지형류 단면 449
[그림 3.4.20] ESROB 위치에서의 WSC의 계절 변화(맨 위)와... 450
[그림 3.4.21] ESROB에서 관측한 수심 5m 해류와 SSH 자료를 이용하여 구한 월평균 해류 및 STE 451
[그림 3.4.22] 포항에서 블라디보스토크까지 연안을... 451
[그림 3.4.23] 여름철과 겨울철 동해 해류구조 모식도 452
[그림 3.4.24] 동해 지형 모식도. 배경 색은 수심을 의미하고, 빨간색 별은... 453
[그림 3.4.25] UIG를 통해 울릉분지로 유입하는... 454
[그림 3.4.26] 재구성한 심층 해류 수송량의 시계열. 빨간 실선은 90일로 LOWPASS FILTER한... 455
[그림 3.4.27] 연평균 심층 수송량과 연평균 수송량의 anomaly 456
[그림 3.4.28] 수송량을 (좌)Wavelet 분석한 결과와 (우)scale-averaged energy 456
[그림 3.4.29] 동해에서 추정된 수송량(subpolar gyre strength, NKCC, EC1)과 ESROB에서 관... 457
[그림 3.4.30] 다양한 주기에서의 percentage variance를 계절별로 계산한 결과 460
[그림 3.4.31] 준관성 주기의 kinetic energy. 검은 실선은 준관성 주기의 유속이 0.1m/s을 의미함 460
[그림 3.4.32] (좌) 2011년 10월의 유속을 이용한 spectra 분석 결과, (우) 10월 10일~11월 3일 동안의 a) 바... 460
[그림 3.4.33] (a) ECMWF ERA-interim으로 계산한 바람 응력, (b) slab model을 통... 462
[그림 3.4.34] 2D 스펙트럼. 점선은 EC1이 위치한 위도에서의 준관성 주기를 의미함 462
[그림 3.4.35] 관성주기로 노멀라이즈 한 effective coriolis frequency 462
[그림 3.4.36] (a) 북서태평양과 주변해의 지형도. 초록색 박스는 동해라는 연구 지역을 나타냄. (b) 동해의... 464
[그림 3.4.37] (a) 1976년부터 2007년까지 HCA의 선형 경향성 공간 분포. 음영으로 표시된 곳은 90% 신뢰구간... 466
[그림 3.4.38] (a) 1976년부터 2007년까지 동해 전체 영역 (EJS) 평균된... 468
[그림 3.4.39] (a) 수과원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한 해양 심층수의 기준이 되는 2℃ 등온선의 평균... 469
[그림 3.4.40] (a) EAST 영역에서의 HCA (회색 음영), R1의 heaving... 471
[그림 3.4.41] (a) 전 기간 평균한 10℃ 등온선 수심 분포. 컨투어 간격은 10m임. 검은 박스들은 각... 473
[그림 3.4.42] (a) 비계절적인 표층 수온 변동과 WEST 영역에서의 10℃ 등온선 heaving 효... 474
[그림 3.4.43] (a) NA12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한 1977년 평균 역학적 고도 편차 분포. 기준면은... 475
[그림 3.4.44] (a) [그림 3.4.43] EAST영역에 표시한 라인에서의 표층 해수면 고도 자료를 통해... 476
[그림 3.4.45] (a) 연 평균 대한해협 수송량으로 전체 수송량 VT는 검정 정사각형, 서수도 수송량 WVT는... 479
[그림 3.4.46] (a) 전 기간 평균된 바람 응력 순환의 분포. (b) 서태평양 기압 패턴 인자가 양... 481
[그림 3.4.47] 한러 국제 공동 조사의 전체 관측 정... 484
[그림 3.4.48] (a) 동해 중앙수 (CW), 동해 심층수 (DW)의 경계 수심인 DSM의 변화를 붉은 원으로, 동해 심층... 484
[그림 3.4.49] (a) 정점 C에서의 Z*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CW는 검정 원으로 DW는... 486
[그림 3.4.50] (a) 겨울철 기후 인덱스의 연... 489
[그림 3.4.51] 겨울철 SST와 기후 인덱스(EAWM, NPO)간의 상관계수와 상관계수 제곱 값의 차이 490
[그림 3.4.52] 겨울철 KOE 지역(북위 36-42도, 동경... 492
[그림 3.4.53] SH 인덱스, NPO 인덱스와 SLP간의 기간별 상관계수 493
[그림 3.4.54] 북태평양 지역 500 hPa... 494
[그림 3.4.55] 동해 연안 관할수역(수산과학원 107 정선 2번 정점)에서 1994-2011년 기... 496
[그림 3.4.56] 2001년과 2010년 봄철 동해 관할수역에 나타난 해수의 수온-염분... 497
[그림 3.4.57] 동해 HYCOM 모델 재분석장으로부터 파악된 동해 중층(밀도 범위:... 498
[그림 3.4.58] [그림 3.4.57]과 동일하나 2010년의 경우 498
[그림 3.4.59] 중층수 밀도층 용존산소 분포 및 유입량. (a) γ=26 밀도면상의 용존 산소... 500
[그림 3.4.60] (a) Pacific Decadal Oscillation (PDO) 인덱스. (b) Central Mode... 501
[그림 3.4.61] 등밀도면 γ=26.0 상에서의 용존 산소 변동. 시간에 대한 평균값을 뺀 anomaly 값을 색깔... 502
[그림 3.4.62] 등밀도면 γ=27.0 상에서의 용존 산소 변동. 시간에 대한 평균값을 뺀 anomaly 값을 색깔... 503
[그림 3.4.63] (a) 상부 중층수 CMW 밀도 (γ=25.6-26.6) 층의 두께. (b) CMW를 이루는... 504
[그림 3.4.64] 수심 300m에서 용존 산소 및 인산염 선형 트랜드. 음영은 트랜드, 실선은 평균... 505
[그림 3.4.65] (a) 용존 산소 트랜드의 수직 단면. 137°E 과 144°E에서의 단면을 위도와 깊이의 함수로... 506
[그림 3.4.66] 인산염의 시간에 대한 anomaly를 x-축에 용존 산소의 시간에 대한 anomaly를 y-축... 507
[그림 3.4.67] (a) World Ocean Atlas 자료로 계산한 수온 장기 변동. 음영은 1995-2013 평균에서... 508
[그림 3.4.68] Subtropical gyre 북쪽 경계 (왼쪽 패널)와 남쪽 경계 (오른쪽 패널)의 시간에 대한 변동. 경계의... 509
[그림 3.4.69] 북태평양 풍성류 비교 510
[그림 3.4.70] 고해상도 CM2.6 모델로 모의한 바람 변화에 따른 중위도 인산염 분포 반응 510
[그림 3.4.71] KIOST에서 개발한 MOM3 재해석 자료를 이용... 511
[그림 3.4.72] MOM3 재해석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 512
[그림 3.4.73] World Ocean Database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한 동해 수심별 용존 산소 변동. 상위 지도... 513
[그림 3.4.74] 일본의 가모 교수가 금년에 펴 낸 일반인을 위한 동해 과학소... 516
[그림 3.4.75] ONR-JES 1999(별칭 CREAMS II) 수심별 채수 시료... 516
[그림 3.4.76] 일본분지에서 용존산소 연직 분포의 변화:... 517
[그림 3.4.77] 일본분지의 심층수와 저층수의 용존산소 농도의 시간... 518
[그림 3.4.78] 일본분지 용존산소의 감소에 대한 일본 측 발표자료... 518
[그림 3.5.1] 위도에 따른 표층 이산화탄소 분압... 519
[그림 3.5.2] 울릉분지의 (a) 이산화탄소 분압 변동성(검정색 동그... 520
[그림 3.5.3] 신경망 기법으로 계산하여 채워넣은 pCO₂ , 엽록소_a, 표층수온. 배경의 실선은 현장관측 자료임... 521
[그림 3.5.4] 울릉분지에서 2003년도부터 2014년도까지 이산화탄소 분... 522
[그림 3.5.5] 1995년부터 2009년까지 관측된 동해 울릉분지 이산화탄소 분압 분포도 523
[그림 3.5.6] 2004년부터 2005년까지 관측된 동중국해 이산화탄소 분압 분포도 523
[그림 3.5.7] (a)동해 울릉분지 ΔfCO₂ 의 계절변동성과 (b)동중국해의 ΔfCO₂ 변동성 비교... 523
[그림 3.5.8] 2014도 한-러 공동조사 pH 수심 단면도. 청색원은 25℃에서 측정한 염료-분광... 527
[그림 3.5.9] pH 측정값의 온도 민감도. 가장 낮은 값은 시료를 항온수조에서 25℃로 맞추어 측정한 값 (청... 527
[그림 3.5.10] 동해 분지의 환경 특성을 대표하는 네 정점에서 2015년도 한-러공동조사 pH 수심 분포도.... 529
[그림 3.5.11] 2015년도 울릉분지 두 정점에서 pH의 수심 분포도(해양2000... 530
[그림 3.5.12] 대양의 DIC-alkalinity 다이어그램에 동해 자료를 더한 그림 (왼쪽)과 DIC-alkalinity를 변동 시키... 530
[그림 3.6.1] 난바다곤쟁이류 Euphausia pacifica와 잠재먹... 533
[그림 3.6.2] IsoSource isotope mixing model을 이용하여 분석한 각 잠재먹이원에 대... 534
[그림 3.6.3] 5종의 요각류를 대상으로 탄소와 질소안정동위원소비... 535
[그림 3.6.4] 난바다 곤쟁이류 E. pacifica 및 Post(2002)의... 536
[그림 3.6.5] 안정동위원소결과를 토대로 작성한 가을철 동해에 출현... 536
[그림 3.6.6] 울릉분지 1000m 수심에서의 월별 입자유기탄소 플럭스, 표층... 537
[그림 3.6.7] 동해 각 분지 별 방사성탄소동위원소와 알루... 538
[그림 3.6.8] (a) 대기로부터 공급되는 알루미늄의 dry... 538
[그림 3.6.9] 일본분지(40°30.244′N, 133°37.124′E)에 계류... 539
[그림 3.6.10] 인공위성으로 관측한 표층 Chl-a 농도와 1000m 수심에서... 540
[그림 3.6.11] 분리·배양된 박테리아를 대상으로 tetR gene PCR을 수행한 결과 542
[그림 3.6.12] 본 연구에서 얻어진 21개의 Tet(C) clone 단백질 서열과 Antibiotic Resistance Genes Database... 542
[그림 3.6.13] Antibiotic Resistance Genes Database로부터 얻어진 15개의 Tet(B) 단백질 서열과 32개의... 543
[그림 3.6.14] 동해 용존유기탄소와 총용존질소 조사정점 551
[그림 3.6.15] 2012년 3월~2013년 3월의 동해 용존유기탄소와 총용존질소의 수직 농도... 552
[그림 3.6.16] 용존유기탄소(a), 수온(b), 탄소-13(c) 의 수직 분포도. 자료... 552
[그림 3.6.17] 동해 CDOM 조사 지역. 2012년 7월-2013년 3월 조사 정점(좌), 2014년 4월 한-러 공동조사 정... 553
[그림 3.6.18] CDOM 분석 모식도 554
[그림 3.6.19] 3차원 내삽법을 이용한 Rayleigh와 Raman 산란 피크 제거 전... 554
[그림 3.6.20] 2012년 8월(좌)과 2014년 4월(우) PARAFAC 모델로 구분된 유색용존유기물 피크성분과... 555
[그림 3.6.21] 2012년 8월-2013년 3월 동해 각 CDOM 피크성분의 수직분포도 555
[그림 3.6.22] 북서태평양 해역에서 2012년 8월 염분과 유색용존유기물과의 관계 555
[그림 3.6.23] Humic-like CDOM과 겉보기 산소소비량(AOU)과의 관계. 2012년 7월-2013년... 556
[그림 3.6.24] 동해 표층(0-200m)에서 수직혼합과 양자강... 557
[그림 3.6.25] 동해(좌)와 태평양 심층(우; Yamashita and Tanoue, 2008)에서... 557
[그림 3.6.26] 과잉의 CDOM 농도 계산을 위한 모식도 558
[그림 3.6.27] 과잉의 유색용존유기물의 분포도 558
[그림 3.6.28] 동해 울릉분지와 동남해역에서의 조사 정점 560
[그림 3.6.29] 공극수 암모니아 농도 수직 분포 563
[그림 3.6.30] 공극수 질산염 농도 수직 분포 563
[그림 3.6.31] 공극수 인산염 농도 수직 분포 564
[그림 3.6.32] 공극수 망간 농도 수직 분포 564
[그림 3.6.33] 공극수 철 농도 수직 분포 565
[그림 3.6.34] 고형상 망간 농도 수직 분포 566
[그림 3.6.35] 고형상 산화철, 환원철 농도 수직 분포 567
[그림 3.6.36] 고형상 황원 황 농도 수직 분포 567
[그림 3.6.37] 연안, 대륙사면, 분지 정점에서 퇴적물내 주요 전자수용체의 수직분포 568
[그림 3.6.38] 총 혐기성 유기물 분해율과 황산염 환원율 수직 분포 570
[그림 3.6.39] Extraction and fractionation schem 571
[그림 3.6.40] Structure of alkenones(a: C37:2 alkenone, b: C37:3 alkenone) and GC-FID chromatogram... 572
[그림 3.6.41] Structure of diols(left) and Diol GC-MS chromatogram(right) 572
[그림 3.6.42] Study area 572
[그림 3.6.43] Comparison of Uk'37 and LDI in sediment cores... 575
[그림 3.6.44] Comparison of reconstructed temperature base on... 575
[그림 3.6.45] Alkenone and diols mass flux in EC1 576
[그림 3.6.46] 동해 야마토 분지 시추코아의 생규소 및... 582
[그림 3.6.47] 동해 일본분지 시추코아 GH99-1246에서 분석된 다양한 고해양학적 자료... 583
[그림 3.6.48] 동해 코아 GH87-2-308에서 분석된 저서성 유공충 자료들의 변화 584
[그림 3.7.1] 태풍 올리와(1997) 통과시 1997.9.16. 09:00~21:00 기간 연안 용승류가 급속히 생성,... 585
[그림 3.7.2] 태풍(TP) 통과시, 우선적으로 연직혼합에 의해 혼합층 수온의 급격한 변동... 586
[그림 3.7.3] 태풍 shanshan 경로(좌도) 및 수치실험결과(중도 및 우도). 동중국해로부터 대한해협을 거... 586
[그림 3.7.4] 부산남천만(좌도)에 설치한 파고계·기상자료 수신 장치(중도) 및 해수면시계열(우도) 587
[그림 3.7.5] 태풍Danas 통과시(좌도), 태풍의 대한해협 통과후 약 1.5일... 587
[그림 3.7.6] 수온냉각 우측강화현상(좌도; sanford et al., 2004) 및 3D 수치실험 결과(우도) 588
[그림 3.7.7] 먹이군별 유사도 590
[그림 3.7.8] 후포-울릉분지 주변 먹이망 590
[그림 3.7.9] 생태계 종간 상호작용. 세로축은 영향을 주는 그룹이며, 가로축은 영향을 받는 그룹 591
[그림 3.7.10] case별 실제어획량과 계산된 어획량간 비교(왼쪽)와 선형관계식(오른쪽) 592
[그림 5.1.1] 2011.06, 문학바다, 동해 이야기, EAST-I... 690
[그림 5.1.2] 2011.08, KIMST홈페이지 이달의 테마연구 - 과학으로 동해를 경영한다 690
[그림 5.1.3] 2011.10.04, 〈해양과학기술〉 매거진 창간호 , EAST-I 프로그램... 690
[그림 5.1.4] 2011.10.27, KBS 1TV 역사스페셜, 동해 울릉도-독도 주변 해류가 항해에 미치는 영... 690
[그림 5.1.5] [신문]미래환경, 2012.3.10., 해양조사원과 공동으로... 691
[그림 5.1.6] 2012.4.13., 신문-경북매일/경북일보, 방송-KBS포항, 포항-울릉간 화물선을 이용한... 691
[그림 5.1.7] 2012.6.1., 매일경제, 동해는 세계 해양연구의 보고 692
[그림 5.1.8] 2012.11.30.서울대소식지, 2012년 정부연구개발 우수성과 선정 692
[그림 5.1.9] 2012.6.7.~9, 2012 국토해양기술대전 전시회 참가 692
[그림 5.1.10] 2012.7.4., 내일신문 외, 동해 해류도 분석 과학기술 우수논문 선정 보도 692
[그림 5.1.11] 2012년 정부연구개발 우수성과 전시회... 693
[그림 5.1.12] 2012년 정부연구개발 우수성과... 693
[그림 5.1.13] 2013.5.3., 동아일보, 동해 산성화 속도 세계평균의 2배 693
[그림 5.1.14] 2013.5, 한국해양과학기술진흥원, 이달의 테마연구 선정 693
[그림 5.1.15] 2013.07, 한국해양과학기술매거진, 동해바다 지킴이-해양과학 694
[그림 5.1.16] 2014.0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사보, 지구환경을 연구하는 인재의 산실 서울대학교... 694
[그림 5.1.17] 2014.08, 극동과학자(러시아월간잡지), 동해연구의 선구자-국제해양프로그램 CREAMS 20주년 694
[그림 5.1.18] 2014.09.23., 중앙일보, 아주경제, 뉴스원, KIMST지원 동해-지중해 워크샵 개최 보도 695
[그림 5.1.19] 2014.10.23.~10.25, 2014 해양수산과학기술대전 참가 695
[그림 5.1.20] 2015.8.25.~8.26, 2015 해양수산기술사업화 페스티벌 참가 695
[그림 5.1.21] 2015.9.28., "Oceanography of the East Sea(Japan Sea)" 영문단행본에 EAST-I 연구 내용 게재 696
[그림 5.1.22] 2015.10.7., 서울대 온라인뉴스레터(NOW), 서울대 박경애교수팀 원격탐사분야 우수논문상 수상... 696
[그림 5.1.23] 국제 특허 출원 성과 703
[그림 5.1.24] 국내 특허 출원 성과 703
[그림 5.1.25] 국내 특허 등록 성과 704
[그림 5.1.26] 실시간 자료서비스를 위한 스마트폰 어플프로... 704
[그림 5.1.27] 2011.7.1., 한-러 국제공동조사를 위한 MOU 체결 708
[그림 5.1.28] 2014.02.10., 한-러 국제공동조사를 위한 MOU 체결 708
[그림 5.1.29] 2014.09.22., KIOST-불가리아 과학원간의 해양과학 연구조사 관련 MOU 체결 709
[그림 5.1.30] 과제 관련 수상 : 2012 정부연구개발우수성과 과제 선정 외 713
[그림 5.1.31] 과제 관련 수상 : 수당상(2013.5.10.) 714
[그림 5.1.32] 2013.11.07., 김경렬 교수, 한국해양학회 평생업적상 수상 모습 714
[그림 5.1.33] 2013.09.27., 한국조류학회 우수포스터상 수상 714
[그림 5.1.34] 2013.12.30., 한국해양과학기술진흥원 공로상 수상 714
[그림 5.1.35] 2015.09.10., The Len Curtis Award 수상 714
[그림 5.2.1] 1, 2차 ad hoc committee Meeting 개최 732
[그림 5.2.2] 러시아... 732
[그림 5.2.3] PICES 생태보고서 동해편 작성 및 보고 733
[그림 5.2.4] 2011.10.15., 러시아 하바로브스크, PICES... 733
[그림 5.2.5] 2012~2013 PICES CREAMS-AP Meeting 참석 734
[그림 5.2.6] 2013 PICES Inter-Sesstional Meeting 참석, 2013.05.19.~23, 러시아 생페테르부르크 734
[그림 5.2.7] 2013 PICES SB Meeting 참석, 2013.10.11.~10.21, 캐나다 나나이모 734
[그림 5.2.8] PICES CREAMS-AP Meeting 참석, 2013.10.13., 캐나다 나나이모 734
[그림 5.2.9] PICES CREAMS-AP Meeting 참석, 2014.4.15., 중국칭다오 734
[그림 5.2.10] 2014.8.26.~29, 강릉원주대, 2014 PICES International Summer School 개최 735
[그림 5.2.11] 2014~2015 CREAMS/PICES Advisory Panel Meeting 참석 735
[그림 5.2.12] 2015 PICES Inter-sessional SB Meeting 참석,... 735
[그림 5.2.13] 2015 PICES AP-CREAMS Meeting, 2015.10.16, 중국 칭다오 736
[그림 5.2.14] 2015 PICES Science Board Meeting, 2015.10.18~10.24, 중국 칭다오 736
[그림 5.2.15] 2016 PICES AP-CREAMS Meeting,... 736
[그림 5.2.16] OceanSITES 2013 개최(서울대 호암교수회관) 및 OceanSITES 2014(브라질) 참석 737
[그림 5.2.17] 2012.04.12.~04.13, 서울렉싱턴호텔, 동해 환경... 737
[그림 5.2.18] 2013.05.27.~05.30, OceanSITES 2013 개최(서울대 호암교수회... 738
[그림 5.2.19] 2013.08.22.~08.23, 서울대 호암교수회관, 2013 CREAMS/PICES 국제워크샵 개최 738
[그림 5.2.20] 2012.11.6.~8, 서울대 교수회관, 제1회 동해-지중해 국제워크샵 개최 739
[그림 5.2.21] 2014.9.24.~26., 부산 파라다이스 호텔, 동해-지중해 비교연구를 위한 국제워크샵 개최 739
[그림 5.2.22] 2014.9.23., 부산 파라다이스 호텔, 동해-흑해 비교연구를 위한 국제워크샵 개최 739
[그림 5.2.23] 2014.7.23.~7.24, 러시아 블라디보스톡, 제1회 한-러 국제공동워크샵 개최 740
[그림 5.2.24] 2015.07.23.~25, 강원도 동해시, 제2회 한-러 국제워크샵 개최 740
[그림 5.2.25] 1965~2015년 기간 중 81개 SCI급 저널에 수록된 동해 관련 논문에서 사용된 동해 관련 논문에... 743
[그림 5.2.26] SCI저널에 수록된 동해 관련 논문에서 사용된 동해 명칭 현황 분석표 (a) 1965~2015년... 7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