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연구요약 5
CHAPTER Ⅰ. 서장 20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1
2. 연구 내용 23
가. 대학원 정책 변천과정 분석 23
나. 대학원 현황 분석 23
다. 연구중심 대학의 대학원 운영 사례 분석 23
라. 주요국의 대학원 정책 및 운영 사례 분석 23
마. 대학원 정책 및 운영 진단 24
바. 대학원 교육 혁신 방안 도출 24
3. 연구 방법 24
가. 문헌조사 24
나. 통계분석 24
다. 면담 조사(Focus Group Interview) 25
라. 대학원 교육 운영 사례조사 25
마. 전문가 협의회 26
4. 선행연구 분석 및 연구 과제 26
가. 해외의 대학원 정책 연구 26
나. 한국의 대학원 관련 정책 동향 29
다. 대학원 관련 연구 동향 31
라. 연구 과제 34
CHAPTER Ⅱ. 대학원 정책 동향 37
1. 시기별 대학원 정책 38
가. 제도 도입기(1946~1965) 39
나. 제도 정착기(1966~1990) 39
다. 제도 기반 강화기(1991~2000) 40
라. 제도 발전기(2001~현재) 41
2. 대학원 제도 현황 43
가. 대학원의 종류와 학위 43
나. 대학원 및 학과(전공) 신설 46
나. 대학원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53
다. 학년도, 수업(재학)연한, 학기 등 학사 54
라. 학위의 종류 및 수여 55
마. 학교규칙(학칙) 55
3. 대학원 학술 지원 제도 56
가. 이학 및 공학 분야 56
나. 인문 사회 분야 58
4. 대학원 재정지원 사업 60
가. 두뇌한국(BK) 21 사업 60
나. WCU 사업 72
다. GPF(Global Ph.D Fellowship) 사업 82
라. 대학원 재정지원사업의 특징 86
5. 소결 88
CHAPTER Ⅲ. 대학원 현황 분석 91
1. 국제 통계로 본 대학원 현황 92
가. 박사 과정 신규 입학 연령 92
나. 전공계열별 박사 졸업 분포 94
다. 학력 수준별 상대 임금 95
라. 박사 교육과정 등록금 96
마. 학자금 대출 98
바. 박사 졸업자 중 외국인 비율 99
사. WEF(World Economic Forum) 글로벌 경쟁력 지수 100
아. 라이덴 랭킹(Leiden Ranking) 104
2. 국내 통계로 본 대학원 현황 108
가. 자료의 기술 통계 108
나. 주요 역량 지표 분석 111
3. 대학원 유형별 특징 130
가. 자료의 수집 및 분석 방법 130
나. 분석 결과 130
4. 소결 137
CHAPTER Ⅳ. 대학원 교육 혁신 사례 분석 141
1. AA대학원 142
가. 대학원 현황 142
나. 대학원 교육 혁신 148
다. 전망 및 과제 156
2. BB대학원 159
가. 대학원 현황 159
나. 대학원 교육 혁신 163
다. 전망 및 과제 168
3. CC대학원 169
가. 대학원 현황 169
나. 대학원 교육과정 혁신 175
다. 전망 및 과제 179
4. DD대학원 181
가. 대학원 현황 181
나. 대학원 교육 혁신 185
다. 전망 및 과제 191
5. EE대학원 192
가. 대학원 현황 192
나. 대학원 교육 혁신 197
다. 특징 및 시사점 201
6. FF대학원 202
가. 대학원 현황 202
나. 대학원 교육 혁신 204
다. 전망 및 과제 210
7. 소결 212
CHAPTER Ⅴ. 해외의 대학원 교육 혁신 216
1. 미국의 대학원 교육 혁신 218
가. 대학원 현황 218
나. 대학원 교육 혁신 배경 223
나. 정부의 대학원 교육 혁신 정책 228
다. 개별 대학원 교육 혁신 사례 234
라. 전망과 과제 245
2. 영국의 대학원 교육 혁신 246
가. 대학원 현황 246
나. 대학원 교육 혁신 배경 254
다. 대학원 정책 추이와 배경 256
라. 대학원 교육 혁신 운영 사례 260
마. 전망 및 과제 268
3. 일본의 대학원 교육 혁신 269
가. 대학원 현황 269
나. 대학원 정책 추이와 배경 279
다. 정부의 대학원 교육 혁신 정책 285
라. 개별대학의 사례 289
마. 전망 및 과제 296
4. 소결 297
CHAPTER Ⅵ. 대학원 교육 혁신 진단 303
1. 대학원 교육 혁신 배경 306
가. 4차 산업혁명(기술변화) 306
나. 저출산 고령화 309
다. 평생학습 수요 증대 312
라. 대학원생 취업 및 진로 변화 314
마. 정부의 대학원 지원사업 318
2. 대학원 교육의 문제 321
가. 교육과정의 문제 321
나. 교육방법의 문제 327
다. 교육환경의 문제 331
라. 기타 336
3. 대학원 교육 혁신 방안 338
가. 교육과정 혁신방안 338
나. 교육방법 혁신방안 346
다. 교육환경 혁신방안 352
라. 대학원 재구조화 358
마. 대학원 교육에 대한 인식개선 364
4. 소결 366
CHAPTER Ⅶ. 결론 369
1. 분석 결과 요약 370
가. 대학원 정책 동향 370
나. 대학원 현황 분석 372
다. 대학원 교육 혁신 사례 분석 374
라. 해외의 대학원 교육 혁신 375
마. 대학원 교육 혁신 진단 377
2. 정책 방안 380
가. 대학의 역할: 교육과정 운영 혁신 381
나. 정부의 역할: 대학원 제도 혁신 389
3. 한계와 과제 394
가. 연구의 한계 394
나. 향후 과제 395
참고문헌 396
Abstract 420
[부록 1] 면담지 425
[부록 2] 해외대학원 사례 분석 틀 431
판권기 432
〈표 Ⅰ-1〉 면담 대상자 25
〈표 Ⅰ-2〉 사례 조사 유형 25
〈표 Ⅱ-1〉 대학원 유형 44
〈표 Ⅱ-2〉 대학원 기본 현황 44
〈표 Ⅱ-3〉 대학원 유형별 학위과정의 학과 또는 전공의 설치기준 45
〈표 Ⅱ-4〉 전문대학원 교원산출기준 및 교사기준면적 46
〈표 Ⅱ-5〉 대학원 학과(전공) 신설 요건 47
〈표 Ⅱ-6〉 최근 5년간의 대학원 입학정원(각년도 4. 1. 기준) 49
〈표 Ⅱ-7〉 대학원별 재적생 현황(2019. 4. 1. 기준) 50
〈표 Ⅱ-8〉 정원 조정의 유형과 요건 51
〈표 Ⅱ-9〉 교육부 장관이 고시하는 첨단분야 52
〈표 Ⅱ-10〉 대학원 학위 취득자 현황(4. 1. 기준) 55
〈표 Ⅱ-11〉 이공분야 학술연구지원사업 개요 57
〈표 Ⅱ-12〉 이공분야 학술연구지원사업 예산 규모 58
〈표 Ⅱ-13〉 BK21 1단계 사업 내용과 추진 전략 61
〈표 Ⅱ-14〉 각 단계별 BK21 사업 분야 62
〈표 Ⅱ-15〉 연차별 BK21사업 평균 참여 인원(대학원생) 63
〈표 Ⅱ-16〉 1단계 과학기술분야 연차별 연구성과 64
〈표 Ⅱ-17〉 2단계 과학기술분야 연구성과 65
〈표 Ⅱ-18〉 3단계 글로벌인재양성 분야 연구실적 65
〈표 Ⅱ-19〉 3단계 미래기반 창의인재양성형 분야 연구실적 66
〈표 Ⅱ-20〉 2단계 BK21사업의 문제점에 대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결과 68
〈표 Ⅱ-21〉 사업 유형별 선정 현황 72
〈표 Ⅱ-22〉 2007년 The Times 평가 200위 이내 아시아 국가의 주요대학 현황 74
〈표 Ⅱ-23〉 WCU 사업의 유형별 특징 75
〈표 Ⅱ-24〉 1유형의 운영 모형 및 소속교수 편제 원칙 76
〈표 Ⅱ-25〉 WCU 사업 지원 유형 및 현황 77
〈표 Ⅱ-26〉 WCU 사업 지원 금액(1차년도) 77
〈표 Ⅱ-27〉 WCU 사업의 연차별 논문 성과 78
〈표 Ⅱ-28〉 패널회귀분석 결과에 따른 사업 성과 비교 79
〈표 Ⅱ-29〉 WCU 사업성과에 대한 참여교수와 대학원생의 전반적 평가 80
〈표 Ⅱ-30〉 WCU 사업이 대학의 연구력 제고에 미친 영향 80
〈표 Ⅱ-31〉 대학원 재정지원 사업 비교 87
〈표 Ⅲ-1〉 박사 과정 신규 입학생 20%, 중위수, 80% 연령(2017) 93
〈표 Ⅲ-2〉 전공계열별 박사 졸업자 비율(2017) 95
〈표 Ⅲ-3〉 주요국의 학력 수준별 상대 임금(2016) 96
〈표 Ⅲ-4〉 교육수준별 공립 고등교육의 내국인 등록금(2015/2016) 97
〈표 Ⅲ-5〉 대학생 정부 대출(public loan)(2013/14), 수혜자 수 동향(2004/5와 2014/15) (PPP환산 USD) 98
〈표 Ⅲ-6〉 박사 졸업자 중 외국인 비율(2017) 99
〈표 Ⅲ-7〉 WEF 2019 경쟁력 지수: 역량(skill) 부문 주요국의 순위 102
〈표 Ⅲ-8〉 WEF 2019 경쟁력 지수: 혁신역량 부문 주요국의 순위 103
〈표 Ⅲ-9〉 학교 유형(사립/국공립) 108
〈표 Ⅲ-10〉 지역(비수도권/수도권) 108
〈표 Ⅲ-11〉 지역(시ㆍ도별) 109
〈표 Ⅲ-12〉 BK21 선정 대학(학교 유형별) 109
〈표 Ⅲ-13〉 BK21 선정 대학(지역별) 110
〈표 Ⅲ-14〉 라이덴 랭킹 내 대학(학교 유형별) 110
〈표 Ⅲ-15〉 라이덴 랭킹 내 대학(지역별) 111
〈표 Ⅲ-16〉 신입생 충원율 112
〈표 Ⅲ-17〉 신입생 충원율(BK21 선정 대학 여부) 112
〈표 Ⅲ-18〉 신입생 충원율(라이덴 랭킹 내 대학 여부) 113
〈표 Ⅲ-19〉 재학생 충원율 113
〈표 Ⅲ-20〉 재학생 충원율(BK21 선정 대학 여부) 114
〈표 Ⅲ-21〉 재학생 충원율(라이덴 랭킹 내 대학 여부) 115
〈표 Ⅲ-22〉 전임교원 강의 담당 비율 116
〈표 Ⅲ-23〉 전임교원 강의 담당 비율(BK21 선정 대학 여부) 116
〈표 Ⅲ-24〉 전임교원 강의 담당 비율(라이덴 랭킹 내 대학 여부) 117
〈표 Ⅲ-25〉 석사 학위 진학률 118
〈표 Ⅲ-26〉 석사 학위자 진학률(BK21 선정 대학 여부) 119
〈표 Ⅲ-27〉 석사 학위자 진학률(라이덴 랭킹 내 대학 여부) 119
〈표 Ⅲ-28〉 박사 학위자 진학률 120
〈표 Ⅲ-29〉 박사 학위자 진학률(BK21 선정 대학 여부) 120
〈표 Ⅲ-30〉 박사 학위자 진학률(라이덴 랭킹 내 대학 여부) 121
〈표 Ⅲ-31〉 취업률 122
〈표 Ⅲ-32〉 취업률(BK21 선정 대학 여부) 122
〈표 Ⅲ-33〉 취업률(라이덴 랭킹 내 대학 여부) 123
〈표 Ⅲ-34〉 재학생 1인당 장학금 124
〈표 Ⅲ-35〉 재학생 1인당 장학금(BK21 선정 대학 여부) 125
〈표 Ⅲ-36〉 재학생 1인당 장학금(라이덴 랭킹 내 대학 여부) 125
〈표 Ⅲ-37〉 전임교원 논문 실적(국내) 126
〈표 Ⅲ-38〉 전임교원 1인당 국내논문 실적(BK21 선정 대학 여부) 127
〈표 Ⅲ-39〉 전임교원 1인당 국내논문 실적(라이덴 랭킹 내 대학 여부) 127
〈표 Ⅲ-40〉 전임교원 1인당 국제논문 실적 128
〈표 Ⅲ-41〉 전임교원 1인당 국제논문 실적(BK21 선정 대학 여부) 129
〈표 Ⅲ-42〉 전임교원 1인당 국제논문 실적(라이덴 랭킹 내 대학 여부) 129
〈표 Ⅲ-43〉 군집분석 결과 132
〈표 Ⅲ-44〉 군집 개요 및 별명 133
〈표 Ⅲ-45〉 군집별 구성 특성 133
〈표 Ⅲ-46〉 상관관계 분석 결과 134
〈표 Ⅲ-47〉 글로벌형 상관관계 분석 결과 135
〈표 Ⅲ-48〉 글로컬형 상관관계 분석 결과 136
〈표 Ⅲ-49〉 로컬형 상관관계 분석 결과 136
〈표 Ⅳ-1〉 AA대학 공과대학 대학원 과정 설치 현황 및 교원ㆍ학생 규모 143
〈표 Ⅳ-2〉 AA대학 자연과학대학 교원 및 학생 수 144
〈표 Ⅳ-3〉 AA대학 이공계 전공별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 수혜 현황 145
〈표 Ⅳ-4〉 AA대학원 중도탈락 및 졸업생 진로 현황 146
〈표 Ⅳ-5〉 AA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이수 체계 150
〈표 Ⅳ-6〉 AA대학 자연과학대학원 생명과학부 교과과정 및 이수 체제 151
〈표 Ⅳ-7〉 AA대학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융합과학부 교육과정 및 졸업요건 154
〈표 Ⅳ-8〉 2019년 현재 BB대학원 학생 현황 159
〈표 Ⅳ-9〉 2019년 현재 BB대학원 교원 현황 160
〈표 Ⅳ-10〉 2019년 현재 BB대학원 신입생 충원 현황 160
〈표 Ⅳ-11〉 2019년 현재 BB대학원 재정투자 현황 161
〈표 Ⅳ-12〉 BB대학원 연도별 장학금 수혜 현황(공시기준) 162
〈표 Ⅳ-13〉 2018학년도 BB대학원 학과별 개설과목 현황 165
〈표 Ⅳ-14〉 BB대학원 최근 3년 간 강의평가 결과 166
〈표 Ⅳ-15〉 CC대학원 유형 170
〈표 Ⅳ-16〉 CC대학 일반대학원 학과 현황 170
〈표 Ⅳ-17〉 CC대학원 일반대학원 학생 현황 170
〈표 Ⅳ-18〉 2020년 7월 기준 CC대학원 K학과 대학원 현황 171
〈표 Ⅳ-19〉 2017~2020학년도 전기까지 CC대학원 K학과 대학원생 연구장학금 수령 내역 172
〈표 Ⅳ-20〉 2017~2020학년도 CC대학원 K학과 대학원생 교내 장학금 수령 내역 172
〈표 Ⅳ-21〉 CC대학원 최근 3년 간 연구과제 및 연구비 목록 173
〈표 Ⅳ-22〉 CC대학원 2017~2020년 중도탈락율 174
〈표 Ⅳ-23〉 CC대학원 K학과 대학원 취업 및 진학 현황 175
〈표 Ⅳ-24〉 2019년 현재 DD대학 일반대학원 운영 현황 181
〈표 Ⅳ-25〉 2019년 현재 DD대학 특수 및 전문대학원 운영 현황 182
〈표 Ⅳ-26〉 2019년 현재 DD대학 일반대학원 학생 현황 182
〈표 Ⅳ-27〉 2019년 현재 DD대학 특수 및 전문대학원 학생 현황 183
〈표 Ⅳ-28〉 2019년 현재 DD대학원 유형별 장학금 수급현황 183
〈표 Ⅳ-29〉 2019년 현재 DD대학원 졸업생 취업 184
〈표 Ⅳ-30〉 2019년 현재 DD대학 교원 현황 184
〈표 Ⅳ-31〉 2019년 현재 DD대학원 교원 강의담당 현황 185
〈표 Ⅳ-32〉 2020년 DD대학원 교육과정 개편 운영 현황 190
〈표 Ⅳ-33〉 2019년 현재 EE대학원생 현황(편입생 포함 재학생) 193
〈표 Ⅳ-34〉 EE대학원 단과대학 및 전공 구성 193
〈표 Ⅳ-35〉 최근 3년간 EE대학원 신입생 지원 및 입학 현황 194
〈표 Ⅳ-36〉 EE대학 전체 학생 대비 전임교원 수 194
〈표 Ⅳ-37〉 EE대학 교수 1인당 연구비 수혜 실적 연도별 추이 195
〈표 Ⅳ-38〉 2019학년도 EE대학원 대학원별 취업률 195
〈표 Ⅳ-39〉 FF대학원 학부 및 대학원의 교육체계 203
〈표 Ⅳ-40〉 FF대학원 교원 및 학생 현황 204
〈표 Ⅳ-41〉 FF대학원 졸업생 현황 204
〈표 Ⅳ-42〉 사례대학 운영 특징 212
〈표 Ⅴ-1〉 영국 대학원 졸업현황(2014-2019) 250
〈표 Ⅴ-2〉 영국 대학원생 성별 전공 현황(2016-2019) 250
〈표 Ⅴ-3〉 영국 대학원생 출신 국가/거주지 현황(2016-2019) 251
〈표 Ⅴ-4〉 영국 대학원 졸업생 취업 현황 252
〈표 Ⅴ-5〉 대학원 수료자의 진로 278
〈표 Ⅴ-6〉 도쿄대학의 국제 탁월대학원 교육 프로그램(WINGS) 일람 291
〈표 Ⅴ-7〉 주요국의 대학원 정책 및 운영 특징 297
〈표 Ⅵ-1〉 면담 대상자 304
[그림 Ⅰ-1] 연구 추진도 36
[그림 Ⅱ-1] 2020 인문사회분야 학술연구지원사업 59
[그림 Ⅱ-2] BK21 2단계 사업 기본 방향 67
[그림 Ⅱ-3] BK21 3단계 사업 기본 방향 69
[그림 Ⅱ-4] BK21 4단계 사업 기본 방향 70
[그림 Ⅱ-5] 4단계 BK21 사업의 기본 구조 71
[그림 Ⅱ-6] GFP 선정평가 절차 84
[그림 Ⅲ-1] 박사 과정 신규 입학 연령 분포(2017) 93
[그림 Ⅲ-2] 전공계열별 박사 졸업자 비율(2017) 94
[그림 Ⅲ-3] 주요국의 학력 수준별 상대 임금(2016) 96
[그림 Ⅲ-4] 교육수준별 공립 고등교육의 내국인 등록금(2015/2016) 연간 평균 전일제 내국인 학생 등록금, PPP 환산 USD 97
[그림 Ⅲ-5] 박사졸업자 중 외국인 비율(2017) 99
[그림 Ⅲ-6] 글로벌 경쟁력 지수 2019 101
[그림 Ⅲ-7] 혁신역량과 노동적응력(labour adaptability) 104
[그림 Ⅲ-8] 국가별 라이덴 랭킹 대학 수 105
[그림 Ⅲ-9] 모든 과학 분야 논문 수, Top 10% 내의 논문 수와 그 비율 106
[그림 Ⅲ-10] 모든 과학 분야 논문 수와 Top 10% 비율(2015-2018) 106
[그림 Ⅲ-11] 사회과학 분야 논문 수, Top 10% 내의 논문 수와 그 비율 107
[그림 Ⅲ-12] 사회과학 분야 논문 수와 top 10% 비율 (2015-2018) 107
[그림 Ⅲ-13] 신입생 충원율 111
[그림 Ⅲ-14] 재학생 충원율 114
[그림 Ⅲ-15] 전임교원 강의 담당 비율 116
[그림 Ⅲ-16] 석사 학위 진학률 118
[그림 Ⅲ-17] 박사 학위자 진학률 120
[그림 Ⅲ-18] 취업률 122
[그림 Ⅲ-19] 재학생 1인당 장학금 124
[그림 Ⅲ-20] 전임교원 1인당 국내논문 실적 126
[그림 Ⅲ-21] 전임교원 논문 실적(국제) 128
[그림 Ⅳ-1] 2019년 현재 BB대학원 수입 및 지출 161
[그림 Ⅳ-2] BB대학원 학사구조 162
[그림 Ⅳ-3] BB대학원 비전 및 목표 163
[그림 Ⅳ-4] BB대학원 2014-2019년 학술성과 요약(SciVal 주요지표) 168
[그림 Ⅳ-5] DD대학원 비전 및 목표 186
[그림 Ⅳ-6] DD대학원 조직체계 187
[그림 Ⅳ-7] EE대학원의 녹색교통대학원 비전 및 목표 199
[그림 Ⅳ-8] FF대학원의 비전, 목표, 전략 205
[그림 Ⅳ-9] FF대학원의 교육 혁신 방향 205
[그림 Ⅳ-10] FF대학원 학생주도 교육체계 207
[그림 Ⅳ-11] FF대학원 AI 연계 교과목 개발 예시 208
[그림 Ⅳ-12] FF대학원 학생주도 글로벌챌린지 수행 절차 208
[그림 Ⅳ-13] FF대학원 맞춤형 수업설계 운영 절차 209
[그림 Ⅴ-1] 영국 고등교육 학제 247
[그림 Ⅴ-2] 영국 대학교 졸업현황(2000-2019) 249
[그림 Ⅴ-3] 석사 졸업생의 영국 내 full-time 유급 종사자(Full-time paid employment in the UK)에 대한 급여 범위(Salary band)) 253
[그림 Ⅴ-4] 박사 졸업생의 영국 내 full-time 유급 종사자(Full-time time paid employment in the UK)에 대한 급여 범위(Salary band)) 253
[그림 Ⅴ-5] 대학원 학자금 대출 대상 과정의 학생 증가폭 260
[그림 Ⅴ-6] King's College London 대학교 디지털 인문학과 REF 2014 평가 결과 265
[그림 Ⅴ-7] Loughborough University 커뮤니케이션 및 미디어학과의 REF 2014 평가 결과 266
[그림 Ⅴ-8] 일본 대학원 유형별 대학원 설치 대학 수 270
[그림 Ⅴ-9] 일본 대학원 과정별, 학문 분야별 대학원 재적 학생 수 270
[그림 Ⅴ-10] 일본 대학원 연도별 대학원 재적 학생 수 추이 271
[그림 Ⅴ-11] 일본 대학원 학사과정, 석사 과정, 박사 과정 진학자 수 추계 271
[그림 Ⅴ-12] 일본 대학원 박사 학위 수여자 수의 추이 272
[그림 Ⅴ-13] 일본 학부 과정 수료자의 대학원 진학률 272
[그림 Ⅴ-14] 일본 석사 과정 수료자의 박사 과정 진학률 273
[그림 Ⅴ-15] 일본 박사 과정 입학자 추이 273
[그림 Ⅴ-16] 박사 과정 진학을 고려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조건(일본) 274
[그림 Ⅴ-17] 일본의 전공별 석사 과정 입학자 충원율 추이 275
[그림 Ⅴ-18] 일본의 전공별 석사 과정 입학자 충원율 추이 276
[그림 Ⅴ-19] 일본의 전공별 석사 과정 입학자 수 분포 276
[그림 Ⅴ-20] 일본의 전공별 박사 과정 입학자 수 분포 277
[그림 Ⅴ-21] 일본의 전공별 박사 과정 입학자 수 분포 278
[그림 Ⅴ-22] 일본 대학원생의 진로 추적 추계 279
[그림 Ⅴ-23] 일본 대학원 교육 개선의 방향성(박사 과정 교육) 283
[그림 Ⅴ-24] 일본의 리딩 대학원 프로그램1 284
[그림 Ⅴ-25] 일본의 리딩 대학원 프로그램2 284
[그림 Ⅴ-26] 미래를 견인하는 대학원 교육 개혁(2015년) 개요 285
[그림 Ⅴ-27] 일본의 탁월대학원 프로그램 개요 286
[그림 Ⅴ-28] 2040년에 대비한 대학원 교육의 바람직한 모습 개요(일본) 288
[그림 Ⅴ-29] 도쿄 공업대학의 조직 개편 293
[그림 Ⅴ-30] 도쿄 공업대학의 교육 이미지 294
[그림 Ⅴ-31] 도쿄 공업대학의 커리큘럼 295
[그림 Ⅶ-1] 대학원 교육 혁신을 위한 정책 방안 3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