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1장 연구의 개요 33
제1절 연구 추진배경 35
제2절 연구 목적 및 범위 36
1. 연구 목적 36
2. 2020년 사업의 연구 목적 및 범위 37
3. 공동연구기관별 과업 내용 40
제3절 연구용역의 추진전략 및 추진체계 42
1. 추진 전략 42
2. 추진체계 44
제2장 시화호 종합관리체계 확립 및 제도 개선 47
제1절 시화호유역 통합관리기구 운영 지원 49
1. 2020년 제1회 시화호관리위원회 전문위원회 개최 49
2. 2020년 제2회 시화호관리위원회 전문위원회 개최 50
3. 2020년 제3회 시화호관리위원회 전문위원회 개최 51
4. 2020년 제1회 시화호관리위원회 실무협의회 개최 52
제2절 시화지구지속가능발전협의회 관련 해양 분야 안건 검토 및 사업 추진 점검 53
1. 시화지구지속가능발전협의회 개요 및 수질개선로드맵 현황 53
2. 해양수산부 관련 사업 추진 지원 54
제3장 시화호 및 주변 해역 환경모니터링 59
제1절 통합환경모니터링 체계 구축·운영 61
1. 해양·유역 환경 조사 자료 수집 및 공유 61
제2절 시화호 내·외측 해역 수질 연속관측 및 퇴적물 모니터링 63
1. 연구목표 63
2. 연구범위 및 조사방법 63
3. 연구결과 68
4. 결론 99
제3절 시화갯벌 저서생태계 모니터링 100
1. 연구개요 100
2. 연구지역 및 방법 100
3. 결과 102
4. 결론 119
제4절 시화호 유역 비점오염부하 모니터링 120
1. 연구목표 120
2. 연구범위 및 조사방법 120
3. 연구결과 121
4. 결론 135
제4장 시화호 연안오염총량관리 이행 및 중장기 시행방안 마련 137
제1절 시화호 연안오염총량관리 이행 139
1. 연구목표 139
2. 연구범위 140
3. 과업의 세부내용 142
4. 연구결과 143
제2절 제3차 시화호 연안오염총량관리 시행방안 155
1. 연구목표 155
2. 연구범위 155
3. 과업의 세부내용 156
4. 연구결과 156
5. 결론 209
제3절 시화호 연안오염총량관리 목표수질 설정(안) 마련을 위한 유역모델링 211
1. 연구 배경 및 목적 211
2. 연구 범위 및 방법 211
3. 과업의 세부내용 215
4. 연구결과 216
5. 요약 및 결론 237
제4절 제3차 시화호 연안오염총량관리 목표수질(안) 마련을 위한 해역수질모델링 238
1. 연구목적 238
2. 연구범위 238
3. 과업의 세부내용 239
4. 연구결과 240
5. 결론 262
제5장 시화호 유역의 지역역량강화 및 홍보 263
제1절 홍보사업 265
1. 시화호 홈페이지 운영 265
2. 시화호 포럼 개최 269
3. 「시화호 시민과학자의 날」 운영 270
제2절 시민참여 강화 300
1. 시민모니터링 과정 운영 300
2. 시화호 유튜브 채널 '시화호TV' 개설 349
3. 시민참여 비점오염원 모니터링 시범 실시 357
4. 인천연안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운영 378
제3절 대외협력 379
1. 특별관리해역 네트워크 참여 379
2. 특별관리해역 공동사업 : 국제연안정화의 날 행사 운영 380
참고문헌 391
부록 398
제3장 시화호 및 주변 해역 환경모니터링 403
제2절 시화호 내·외측 해역 수질 연속관측 및 퇴적물 모니터링 405
제3절 시화갯벌 저서생태계 모니터링 409
제4절 시화호 유역 비점오염부하 모니터링 415
제4장 시화호 연안오염총량관리 이행 및 중장기 시행방안 마련 431
제2절 제3차 시화호 연안오염총량관리 시행방안 433
1. 특별관리해역 연안오염총량관리 기본방침 개정(안) 433
2. 시화호 연안오염총량관리 기술지침 개정(안) 465
제3절 시화호 연안오염총량관리 목표수질(안) 마련을 위한 유역 모델링 558
1. 유역 모델 STREAM의 개요 558
2. 유역 모델 STREAM의 수문·수질 모의구조 560
제4절 제3차 시화호 연안오염총량관리 목표수질(안) 마련을 위한 해역수질모델링 568
1. 해역수질모델 입력자료 568
2. 해수유동 모델 검정 574
3. 해역수질모델 보·검정 580
4. 시화호 내·외측 수질환경 예측 및 분석 607
5. 시화호 하수처리장 방류수 재이용에 따른 영향 분석 614
표 2-1-1. 2020년 제1회 시화호관리위원회 전문위원회 결과 49
표 2-1-2. 2020년 제2회 시화호관리위원회 전문위원회 결과 50
표 2-1-3. 2020년 제3회 시화호관리위원회 전문위원회 결과 51
표 2-1-4. 2020년 제1회 시화호관리위원회 실무협의회 결과 52
표 2-2-1. 시화호 수질개선특별대책로드맵 추진 현황 53
표 2-2-2. 수질개선특별대책로드맵 중 '시화호 수질모니터링' 추진 현황 54
표 3-1-1. 시화호 해양·유역 2019년 환경 조사자료 61
표 3-2-1. 2004-2020년 시화호 내측 수질의 조사시기별 평균농도 비교(해양환경측정망 자료) 72
표 3-2-2. 시화호 방조제 내측 표층수 중 일반수질 및 유기물 농도 변화(2004-2020년도) 72
표 3-2-3. 시화호 방조제 내측 표층수 중의 영양염 농도변화(2004-2020년도) 73
표 3-2-4. 시화호 방조제 내측 해수 중의 수질평가지수 평균 및 각 항목변화(2004-2020년도) 73
표 3-2-5. 2004-2020년 시화호 외측 수질의 조사시기 별 평균농도 비교(해양환경측정망 자료) 74
표 3-2-6. 시화호 방조제 외측 표층수 중 일반수질 및 유기물 농도 변화(2004-2020년도) 74
표 3-2-7. 시화호 방조제 외측 표층수 중의 영양염 농도변화(2004-2020년도) 75
표 3-2-8. 시화호 방조제 외측 해수 중의 수질평가지수 평균 및 각 항목변화(2004-2020년도) 75
표 3-2-9. 시화호 방조제 내측 및 외측 표층 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 91
표 3-2-10. 시화호 방조제 내측 및 외측 표층 퇴적물 중의 중금속 농도 93
표 3-3-1. 2020년 시화갯벌 저서동물 분류군별 조성과 평균 서식밀도 및 생체량 103
표 3-3-2. 2013년과 2020년 정점별 고도 변화 114
표 3-3-3. 시화갯벌 패류자원의 평균밀도, 평균 생체량의 연도별 변화 117
표 3-3-4. 흰발농게 평균밀도의 연도별 변화 118
표 3-3-5. 흰이빨참갯지렁이 평균밀도의 연도별 변화 119
표 3-4-1. 조사지역 및 조사시기별 비점오염물질의 평균농도 비교 127
표 3-4-2. 조사지역 및 조사시기별 비점오염물질의 총유출량 비교 127
표 3-4-3. 조사지역 및 조사시기별 비점오염물질의 단위면적당 총유출량 비교 127
표 3-4-4. 조사지역 및 조사시기별 비점오염물질의 단위면적당/총강우량 총유출량 비교 127
표 3-4-5. 토지이용 형태에 따른 비강우 시 시화호 및 외해 유입하천의 일반수질 및... 130
표 3-4-6. 토지이용 형태에 따른 비강우 시 시화호 및 외해 유입하천 퇴적물 내 중금속... 130
표 4-1-1. 시화호 특별관리해역 연안오염총량관리 관리구역 140
표 4-1-2. 시화호 연안오염총량관리 관리구역 범위 141
표 4-1-3. 목표수질 평가를 위한 10개 정점 COD 현황 143
표 4-1-4. 목표수질 평가를 위한 10개 정점 T-P 현황 144
표 4-1-5. 시군별 오염원 증감 현황 147
표 4-1-6. 시행계획 대비 개발실적 평가 149
표 4-1-7. 시군별 개발부하량 산정 149
표 4-1-8. 봉담하수처리장(5,400㎥/일) 수질 모니터링 결과 151
표 4-1-9. 시군별 삭감부하량 산정 151
표 4-1-10. 시화호 연안오염총량관리 워크숍 153
표 4-2-1. 목표수질 설정시 고려사항(연안오염총량관리 기본방침 제5조) 157
표 4-2-2. 해역 생태기반 수질기준(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 별표) 157
표 4-2-3. 용도별 해역 수질기준(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2012.4.15.)) 157
표 4-2-4. 연도별 조력발전소 운영 현황 163
표 4-2-5. 월별 조력발전소 운영 현황(2015~2019) 165
표 4-2-6. 공공처리시설 현황 165
표 4-2-7. 제3차 시화호 연안오염총량관리 목표수질 설정원칙(안) 166
표 4-2-8. 최근 5년(2015~2019년) 월평균 COD 농도 167
표 4-2-9. 최근 5년(2015~2019년) 월평균 TP 농도 169
표 4-2-10. 제3차 시화호 연안오염총량관리 목표수질 설정 방안 172
표 4-2-11. 목표수질 설정 지점 방안별 비교 분석 173
표 4-2-12. 연도별 5~9월 평균 농도 174
표 4-2-13. 제3차 목표수질(안) 마련을 위한 삭감시나리오 175
표 4-2-14. 점오염원 배출부하량(2019년 현황 및 자연증감) 175
표 4-2-15. 개발부하량(2023~2027년) 177
표 4-2-16. 시나리오0 배출부하량 177
표 4-2-17. 시나리오1 삭감방안(2023~2027년) 179
표 4-2-18. 시나리오1 배출부하량 180
표 4-2-19. 시나리오2 삭감방안(2023~2027년) 182
표 4-2-20. 시나리오2 배출부하량 183
표 4-2-21. 시나리오3 배출부하량 185
표 4-2-22. 시나리오별 유입부하량 모의 결과(2019년 강우량 기준) 187
표 4-2-23. 시나리오별 유입부하량 모의 결과(2010년 강우량 기준) 189
표 4-2-24. 강우량 조건별 2019년 유입농도 모의결과 비교 190
표 4-2-25. 해역모델 시나리오 모의 결과(2019년 강우량 기준) 191
표 4-2-26. 해역모델 시나리오 증감율 반영 수질(2019년 관측 값 대비) 192
표 4-2-27. 해역모델 시나리오 모의 결과(2010년 강우량 기준) 192
표 4-2-28. 해역모델 시나리오 증감율 반영 수질(2019년 강수량 기준 관측값/모의값 적용) 193
표 4-2-29. 제3차 시화호 연안오염총량관리 목표수질(안) 194
표 4-2-30. 특별관리해역 연안오염총량관리 기본방침 개정(안) 신구대조표 195
표 4-2-31. 시화호 연안오염총량관리 기술지침 개정(안) 신구대조표 198
표 4-2-32. COD/BOD 기초통계 분석 결과(전체 자료) 207
표 4-2-33. COD/BOD 기초통계 분석 결과(20 이하) 208
표 4-3-1. 시화호 내외측 유역의 구성과 면적 216
표 4-3-2. 2014년과 2019년 시화호 유역 내측과 외측 토지피복별 면적 비교 218
표 4-3-3. 2019년 시화호 유역의 환경기초시설의 연평균 배출유량과 배출부하량 220
표 4-3-4. 2019년 기준 시화호 내외측 유입부하량 산정결과 228
표 4-3-5. 시화호 연안오염총량관리제 목표수질 설정을 위한 시나리오 계획 231
표 4-3-6. 기준년도 시나리오의 유역별 연간 시화호 유입량 232
표 4-3-7. 기준년도 시나리오의 유역별 연간 시화호 유입량 233
표 4-3-8. 기준년도 시나리오의 유역별 연간 시화호 유입량 234
표 4-3-9. 기준년도 시나리오의 유역별 연간 시화호 유입량 235
표 4-3-10. 기준년도 시나리오의 유역별 연간 시화호 유입량 236
표 4-4-1. 시화호 수질모델실험 개요 240
표 4-4-2. 시화호 외측 유역명과 모델입력 위치 244
표 4-4-3. 시화호 내측 유역명과 모델입력 위치 245
표 4-4-4. 수치실험에 적용한 저질 용출량 251
표 4-4-5. 실험안 개요 254
표 4-4-6. 시화호 내측 해양환경측정망 정점에서 실험안별 모델결과(5월~9월 평균) 256
표 4-4-7. 시화호 외측 해양환경측정망 정점에서 실험안별 모델결과(5월~9월 평균) 256
표 4-4-8. 각 정점의 5월~9월의 표층 평균농도(Case SS, Case S0) 257
표 4-4-9. 각 정점의 5월~9월의 표층 평균농도(Case S1, Case S2) 257
표 4-4-10. 각 정점의 5월~9월의 표층 평균농도(Case S3, Case S4, Case S5) 258
표 4-4-11. 각 정점의 5월~9월의 표층 평균농도(Case SS, Case S0) 258
표 4-4-12. 각 정점의 5월~9월의 표층 평균농도(Case S1, Case S2) 259
표 4-4-13. 각 정점의 5월~9월의 표층 평균농도(Case S3, Case S4, Case S5) 259
표 4-4-14. 실험안 개요 260
표 4-4-15. 시화호 내측 해양환경측정망 정점에서 실험안별 모델결과(5월~9월 평균) 261
표 5-1-1. 시화호 홈페이지 2020년 자료 업데이트 내용 267
표 5-1-2. 2020년 시화호 뉴스레터 구성 268
표 5-1-3. 2020년 시화호 뉴스레터 발송 결과 269
표 5-1-4. 2020년 시화호 포럼 개최 현황 269
표 5-1-5. 2020년 시민 생물다양성 탐사 기획회의 내용 270
표 5-1-6. 2020년 시민 생물다양성 탐사 조사분야 및 방법 271
표 5-1-7. 2020년 시민 생물다양성 탐사 지원 부스 운영내용 272
표 5-1-8. 2020년 시민 생물다양성 탐사 일정(안) 272
표 5-1-9. 2020년 시민 생물다양성 탐사 조사 분야별 전문가 목록 274
표 5-1-10. 2020년 시민 생물다양성 탐사 시민단체 그룹 목록 275
표 5-1-11. 시민 생물다양성 탐사 최종확인종수(The final tally) 275
표 5-1-12. Point intercept 조사방법 278
표 5-1-13. 조사지역에서 출현한 수생식물 목록 280
표 5-1-14. 조사지역에서 출현한 육상식물 목록 288
표 5-1-15. 조사지역에서 출현한 조류 목록 291
표 5-1-16. 조사지역에서 출현한 곤충목록 295
표 5-1-17. 조사지점별 토양특성 및 염도 299
표 5-2-1. 검은머리물떼새 서식지 모니터링 주요내용 302
표 5-2-2. 동시모니터링 조사구역 범위와 조사자 목록 304
표 5-2-3. 2020 시화호 조류 동시모니터링 결과(전체 개체수) 305
표 5-2-4. 시민모니터링 보도자료 내용 308
표 5-2-5. 시민모니터링 성과 주요 보도 내용 309
표 5-2-6. 2020년 정기 모니터링(2020.04.01~11.27) 조류목록 311
표 5-2-7. 조류 시민모니터링 보호종 목록 314
표 5-2-8. 조류모니터링 보호종 개체수 315
표 5-2-9. 2020 시화호 가락지부착 저어새 목록 316
표 5-2-10. 시화호 대송습지 4월1일 조류목록 320
표 5-2-11. 시화호 대송습지 5월18일 조류 목록 323
표 5-2-12. 시화호 대송습지 5월30일 조류 목록 326
표 5-2-13. 시화호 대송습지 8월22일 조류 목록 329
표 5-2-14. 시화호 대송습지 9월18일 조류 목록 332
표 5-2-15. 시화호 대송습지 10월12일 조류 목록 335
표 5-2-16. 시화호 대송습지 10월16일 조류 목록 339
표 5-2-17. 시화호 대송습지 11월7일 조류 목록 342
표 5-2-18. 시화호 대송습지 11월13일 조류 목록 345
표 5-2-19. 시화호 대송습지 11월27일 조류 목록 348
표 5-2-20. 시화호TV 유튜브 채널 컨설팅 및 미디어 교육 내용 349
표 5-2-21. 채널 로고 및 슬로건 시안 350
표 5-2-22. 채널아트 이미지 및 프로필 351
표 5-2-23. 시화호TV 기획 영상물 내용 352
표 5-2-24. 미세플라스틱 이야기 세부 컷 353
표 5-2-25. 힐링 시화호 드론 영상 세부 컷 354
표 5-2-26. 2021년 시화호 채널 추가 컨텐츠(안) 356
표 5-2-27. 2019년 시민참여 비점오염원 모니터링 추진 경과 357
표 5-2-28. 신길 3구간 토구 유출수 조사 결과 360
표 5-2-29. 신길 3구간 토구별 오염 현황 361
표 5-2-30. 신길 3구간 비점오염원 현황 363
표 5-2-31. 제4간선수로 토구 유출수 조사 결과 365
표 5-2-32. 제4간선수로 토구별 오염 현황 366
표 5-2-33. 제3간선수로 토구 유출수 조사 결과 370
표 5-2-34. 제3간선수로 토구별 오염 현황 371
표 5-2-35. 인천연안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 회의 결과 378
표 5-3-1. 2020년 특별관리해역 네트워크 회의 결과 379
표 5-3-2. 2020 해양쓰레기 모니터링 및 정화활동 일정 및 대상지역 381
표 5-3-3. 2020 국제연안정화의 날 행사 참가단체 및 인원 381
표 5-3-4. 2020 국제연안정화의 날 행사 지점별 해양쓰레기 모니터링 개수 및 수거량 382
표 5-3-5. 2020 국제연안정화의 날 행사 결과(전체) 383
표 5-3-6. 언택트 가족형 연안정화 활동 프로그램 내용 389
표 3-2-1. 시화호 방조제 내측 연속관측 결과(2020.09.07~08) 405
표 3-2-2. 시화호 방조제 외측 연속관측 결과(2019.09.07) 407
표 3-3-1. 시화갯벌 대형저서동물 및 환경요인 조사 위치(WGS-84) 409
표 3-3-2. 2020년 시화갯벌에서 상위 10개 우점종의 분류군, 출현개체수, 개체수... 411
표 3-3-3. SIMPER 분석에 의한 군집별 및 상위 10개 기여종 411
표 3-3-4. SIMPER 분석에 의한 군집간 비유사도 및 상위 10개 기여종 412
표 3-3-5. 시화갯벌 생태지수의 연도별/정점별 비교 413
표 3-4-1. 강우 시 안산천의 수질분포(2020.07.13) 415
표 3-4-2. 강우 시 안산천의 수질분포(2020.11.01) 416
표 3-4-3. 강우 시 승기천의 수질분포(2020.07.13) 417
표 3-4-4. 강우 시 승기천의 수질분포(2020.11.01) 418
표 3-4-5. 비강우 시 시화호 및 외해 유입하천의 일반수질 및 유기물 분포(2020.03.30) 419
표 3-4-6. 비강우 시 시화호 및 외해 유입하천의 일반수질 및 유기물 분포(2020.04.16) 420
표 3-4-7. 비강우 시 시화호 및 외해 유입하천의 일반수질 및 유기물 분포(2020.05.14) 421
표 3-4-8. 비강우 시 시화호 및 외해 유입하천의 일반수질 및 유기물 분포(2020.06.12) 422
표 3-4-9. 비강우 시 시화호 및 외해 유입하천의 일반수질 및 유기물 분포(2020.07.03) 423
표 3-4-10. 비강우 시 시화호 및 외해 유입하천의 일반수질 및 유기물 분포(2020.08.12) 424
표 3-4-11. 비강우 시 시화호 및 외해 유입하천의 일반수질 및 유기물 분포(2020.09.01) 425
표 3-4-12. 비강우 시 시화호 및 외해 유입하천의 일반수질 및 유기물 분포(2020.09.16) 426
표 3-4-13. 비강우 시 시화호 및 외해 유입하천의 일반수질 및 유기물 분포(2020.10.08) 427
표 3-4-14. 비강우 시 시화호 및 외해 유입하천의 일반수질 및 유기물 분포(2020.11.02) 428
표 3-4-15. 비강우 시 시화호 및 외해 유입하천의 퇴적물 중금속 농도(2020.09.01) 429
표 4-3-1. 유역모델 STREAM의 모델 입력자료 560
표 4-3-2. 유역모델 STREAM의 토양과 수체 내 영양물질 성분 변수 562
표 4-4-1. 해역수질모델 입력자료 구성에 사용된 기존 수질조사자료 개요 568
표 4-4-2. 국가해양환경측정망 공간분포 수질조사 자료(2019년 2월) 569
표 4-4-3. 국가해양환경측정망 공간분포 수질조사 자료(2019년 5월) 570
표 4-4-4. 국가해양환경측정망 공간분포 수질조사 자료(2019년 8월) 571
표 4-4-5. 국가해양환경측정망 공간분포 수질조사 자료(2019년 11월) 572
표 4-4-6. 공간분포 수질조사 자료 573
표 4-4-7. 외해경계 수질조사 자료 573
표 4-4-8. 육상오염원 수질조사 자료 574
표 4-4-9. 조위검정 결과 576
그림 1-2-1. 시화호·인천연안 특별관리해역 관리범위 및 유역 37
그림 1-3-1. 시화호유역 통합관리기구 조직도 42
그림 1-3-2. 시화호 연안오염총량관리 연구팀 협력체계 43
그림 1-3-3. 과업의 추진체계 45
그림 2-2-1. 사업 추진 시 유역 및 해역 모델 예측 항목 및 정확도 개선 효과 58
그림 3-2-1. 시화호의 수질 조사지점(해양환경공단) 64
그림 3-2-2. 시화호 및 외측 표층퇴적물 조사지점 65
그림 3-2-3. 시화호 및 외측 용출 및 수질 연속관측 조사지점 65
그림 3-2-4. 시화호 내측 2004-2020년 조사시기별 표층 수질변화(DO-저층) 76
그림 3-2-5. 시화호 외측 2004-2020년 조사시기별 표층 수질변화(DO-저층) 78
그림 3-2-6. 2004-2020년 시화호 내·외측 연변화 비교(DO-저층) 80
그림 3-2-7. 2020년 2월, 5월 시화호 내·외측 수질평가지수 비교 81
그림 3-2-8. 2020년 8월, 11월 시화호 내·외측 수질평가지수 비교 82
그림 3-2-9. 시화호 방조제 내측 연속관측 결과(2020.09.07) 84
그림 3-2-10. 시화호 방조제 외측 연속관측 결과(2020.09.07~08) 86
그림 3-2-11. 시화호 방조제 내측 표층 퇴적물의 지화학적 분포 92
그림 3-2-12. 시화호 방조제 외측 표층 퇴적물의 지화학적 분포 92
그림 3-2-13. 시화호 방조제 내측 표층 퇴적물의 중금속 함량과 국내기준(TEL, PEL)과 비교 94
그림 3-2-14. 시화호 방조제 외측 표층 퇴적물의 중금속 함량과 국내기준(TEL, PEL)과 비교 95
그림 3-2-15. 시화호 방조제 내측 및 외측 표층 퇴적물의 입도(phi scale)와 중금속간의 상관관계 96
그림 3-2-16. 시화호 방조제 내측 및 외측 표층 퇴적물의 Al과 중금속 간의 상관관계 97
그림 3-2-17. 2020년 시화호 내측(SH05, SH09) 및 외측(Y06) 산소소모량 및 용존무기탄소 용출량 98
그림 3-2-18. 2020년 시화호 내측(SH05, SH09) 및 외측(Y06) 영양염 용출량 99
그림 3-3-1. 시화갯벌 저서생태계 모니터링 연구지역 및 조사정점도 101
그림 3-3-2. 2020년 9월 시화갯벌에서 출현한 상위 10개 우점종의 공간분포 103
그림 3-3-3. 시화갯벌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의 시·공간 분포 104
그림 3-3-4. 시화갯벌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 출현개체수의 시·공간분포 105
그림 3-3-5. 시화갯벌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 생체량의 시·공간분포 106
그림 3-3-6. 시화갯벌의 종다양도지수의 시·공간분포 106
그림 3-3-7. 시화갯벌의 교란도지수의 시·공간분포 107
그림 3-3-8. 2018년과 2020년의 대형저서동물 집괴분석 결과 108
그림 3-3-9. 2018년과 2020년의 다차원 척도법 분석 결과 108
그림 3-3-10. 2018년과 2020년의 대형저서동물의 종별 출현개체수 자료를 이용한... 109
그림 3-3-11. 시화갯벌 출현종수 및 종다양도지수의 장기 변동 110
그림 3-3-12. 2011년부터 2020년까지의 시화갯벌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와 출현개체수의... 112
그림 3-3-13. 2011년부터 2018년까지의 시화갯벌 대형저서동물 종다양도지수와 서식지... 113
그림 3-3-14. 조사선별 퇴적상 변화 114
그림 3-3-15. 시화갯벌 모래함량의 연도별 공간분포 115
그림 3-3-16. 퇴적상 변화에 따른 대형저서동물 종 조성 변화 115
그림 3-3-17. 시화갯벌 바지락과 가무락 개체수의 연도별 공간분포 116
그림 3-3-18. 시화갯벌 동죽과 맛 개체수의 연도별 공간분포 117
그림 3-3-19. 시화갯벌 흰발농게 서식지 118
그림 3-3-20. 시화갯벌 흰이빨참갯지렁이 서식지 119
그림 3-4-1. 시화호 유역 유입하천 비점오염부하 모니터링 조사 정점 121
그림 3-4-2. 강우 시 1차 안산천의 강우량, 유량 및 비점오염물질 농도(2020.07.13) 123
그림 3-4-3. 강우 시 2차 안산천의 강우량, 유량 및 비점오염물질 농도(2020.11.01) 124
그림 3-4-4. 강우 시 1차 승기천의 강우량, 유량 및 비점오염물질 농도(2020.07.13) 125
그림 3-4-5. 강우 시 2차 승기천의 강우량, 유량 및 비점오염물질 농도(2020.11.01) 126
그림 3-4-6. 비강우시 조사시기별 시화호 및 외해 유입하천 중의 일반수질 분포 131
그림 3-4-7. 비강우시 시화호 및 외해 유입하천 중의 퇴적물 중금속 평균농도 비교 133
그림 4-1-1. 시화호 연안오염총량관리 대상구역 141
그림 4-1-2. 시화호 특별관리해역의 COD/TP 현황 144
그림 4-1-3. 시흥시 관내 하천의 COD 농도 추이(2015~2019) 145
그림 4-1-4. 시흥시 관내 하천의 TP 농도 추이(2015~2019) 145
그림 4-1-5. 안산시 관내 하천의 COD 농도 추이(2015~2019) 146
그림 4-1-6. 안산시 관내 하천의 TP 농도 추이(2015~2019) 146
그림 4-1-7. 화성시 관내 하천의 COD 농도 추이(2015~2019) 147
그림 4-1-8. 화성시 관내 하천의 TP 농도 추이(2015~2019) 147
그림 4-1-9. 시화호 연안오염총량관리 워크숍 153
그림 4-1-10. 시화호 기술검토 절차 154
그림 4-2-1. 지리적 범위 155
그림 4-2-2. 최근 5년 COD 수질 현황 158
그림 4-2-3. 최근 5년 TP 수질 현황 158
그림 4-2-4. 월별 COD 수질 현황 159
그림 4-2-5. 월별 TP 수질 현황 160
그림 4-2-6. 관리구역별 오염원 현황(2019년 기준) 161
그림 4-2-7. 2019년 기준 배출부하량 현황 162
그림 4-2-8. 시화호 관리해역의 수심분포 162
그림 4-2-9. 조력발전소 가동에 따른 해수순환(해역모델링) 163
그림 4-2-10. 월별 조력발전소 운영 현황 164
그림 4-2-11. 환경기초시설 위치 166
그림 4-2-12. 최근 5년 정점별 월평균 COD 농도 168
그림 4-2-13. 최근 5년 구역별 월평균 COD 농도 168
그림 4-2-14. 최근 5년 정점별 월평균 TP 농도 169
그림 4-2-15. 최근 5년 구역별 월평균 TP 농도 170
그림 4-2-16. 군집분석 결과(COD 및 TP) 170
그림 4-2-17. 군집분석 결과(COD) 171
그림 4-2-18. 군집분석 결과(TP) 171
그림 4-2-19. 시화호 내측 정점별 군집분석 결과 173
그림 4-2-20. 시화호 내측 목표수질 설정구역 구분(안) 174
그림 4-2-21. 시나리오0 배출부하량 현황 178
그림 4-2-22. 시나리오1 배출부하량 현황 181
그림 4-2-23. 시나리오2 배출부하량 현황 184
그림 4-2-24. 시나리오3 배출부하량 현황 186
그림 4-2-25. 시나리오별 유입부하량(2019년 강우량 기준) 188
그림 4-2-26. 시나리오별 유입부하량(2010년 강우량 기준) 190
그림 4-2-27. 시화호 관리구역 BOD의 COD 농도비율 분포(전체 자료) 207
그림 4-2-28. 시화호 관리구역 BOD의 COD 농도비율 분포(20 이하) 208
그림 4-3-1. 시화호 내·외측 유역의 공간적 분포 212
그림 4-3-2. 유역모델 STREAM의 유역분할구조 213
그림 4-3-3. 유역모델 STREAM에서의 수문과정 214
그림 4-3-4. 유역모델 STREAM의 물질(탄소, 질소, 인) 흐름도 214
그림 4-3-5. 강우관측소와 티센폴리곤 219
그림 4-3-6. 기상관측소와 티센폴리곤 219
그림 4-3-7. 시화호 유역의 동리별 배출부하량(미처리 점오염원) 221
그림 4-3-8. 안산천 지점의 강우기 유량에 대한 보정 및 검정 223
그림 4-3-9. 안산천 지점의 강우기 수질(SS, TOC, TN, TP)에 대한 보정 및 검정 224
그림 4-3-10. 장전보 지점의 비강우기 수질(SS, TOC, TN, TP)에 대한 보정 및 검정 225
그림 4-3-11. 해안교 지점의 비강우기 수질(SS, TOC, TN, TP)에 대한 보정 및 검정 225
그림 4-3-12. 신길천 지점의 비강우기 수질(SS, TOC, TN, TP)에 대한 보정 및 검정 226
그림 4-3-13. 시화3간선수로 지점의 비강우기 수질(SS, TOC, TO, TP)에 대한 보정 및 검정 226
그림 4-3-14. 보통천 지점의 비강우기 수질(SS, TOC, TN, TP)에 대한 보정 및 검정 227
그림 4-3-15. 승기천 지점의 비강우기 수질(SS, TOC, TN, TP)에 대한 보정 및 검정 227
그림 4-3-16. 2019년 기준 시화호 내외측 유입부하량 모의결과(점, 비점 구분) 229
그림 4-3-17. 2019년과 2010년 시화호 내측 유입부하량의 평균 농도 비교 230
그림 4-4-1. 해역 수질모델 연구의 공간적 위치 238
그림 4-4-2. 계산격자망도(전체해역) 241
그림 4-4-3. 계산격자망도(상세해역) 241
그림 4-4-4. 모델에 입력된 해저지형도 243
그림 4-4-5. 시화호 내·외측 하천 유입지점 246
그림 4-4-6. 모델영역 내 주요 하천 유량시계열 246
그림 4-4-7. 시화호 내측 하천 유입지점 유량시계열 247
그림 4-4-8. 모델에 입력한 바람자료 시계열 248
그림 4-4-9. 모델에 입력한 기상자료 시계열 248
그림 4-4-10. 국가해양환경측정망 시화호 내측 정점도 249
그림 4-4-11. 개방경계에서 입력한 수온 및 염분시계열 249
그림 4-4-12. 경기만의 하천 유입지점 수온시계열 250
그림 4-4-13. 조위 및 조류관측점 위치 252
그림 4-4-14. 시화호 해역수질모델 보정 정점(국가해양환경측정망) 253
그림 4-4-15. 해역수질모델 검정 정점(연속관측) 253
그림 4-4-16. 해양환경측정망 분석 정점도 256
그림 4-4-17. 시화호 내측 분석 정점도 261
그림 5-1-1. 시화호 홈페이지 메인화면 265
그림 5-1-2. 시화호 홈페이지 구성(SITE MAP) 266
그림 5-1-3. 2020년 발송 시화호 뉴스레터(1~3호) 268
그림 5-1-4. 2020년 시민 생물다양성 탐사 1차 대상지 선정 273
그림 5-1-5. 2020년 시민 생물다양성 탐사 최종 대상지 선정 273
그림 5-1-6. 1980년 시화호(군자만) 및 대송습지 276
그림 5-1-7. 수생식물 조사지점 현황지도 277
그림 5-1-8. 조사지점 선정(좌), 실제 조사경로 및 조사지점(우) 278
그림 5-1-9. 조사지역의 98개 조사정점 위치도 279
그림 5-1-10. 조사대상지의 수심분포도 279
그림 5-1-11. 솔잎가래 분포지도 280
그림 5-1-12. 이삭물수세미 분포지도 281
그림 5-1-13. 식물생체량(kg/㎡) 분포지도 281
그림 5-1-14. 수생식물 조사에서 발견된 식물종 모습 282
그림 5-1-15. 육상식물 조사범위 283
그림 5-1-16. 조사에서 발견된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284
그림 5-1-17. 귀화식물 사진 285
그림 5-1-18. 염생식물 사진 286
그림 5-1-19. 습지식물 사진 286
그림 5-1-20. 갈대와 산조풀 사진 287
그림 5-1-21. 갯드렁새와 땅비수리 사진 287
그림 5-1-22. 조류 조사 구역 290
그림 5-1-23. 곤충 조사 구역 294
그림 5-1-24. 토양조사 및 시료채취 지점 297
그림 5-1-25. 토양조사 사진 298
그림 5-1-26. 토양염도의 현장 측정값과 실험분석 값의 비교 299
그림 5-2-1. 서식지모니터링 현수막 301
그림 5-2-2. 검은머리물떼새 포란장소 302
그림 5-2-3. 서식지 모니터링 4월15일 관찰 내용 303
그림 5-2-4. 서식지 모니터링 5월15일 관찰 내용 303
그림 5-2-5. 검은머리물떼새의 3차 포란장소 전경 및 포란활동 모습 303
그림 5-2-6. 동시모니터링 구역구분 304
그림 5-2-7. 시민모니터링 조류 조사지선 310
그림 5-2-8. 시민모니터링 조류조사구역 구획도 317
그림 5-2-9. 채널 '시화호TV' 메인화면 355
그림 5-2-10. '시화호TV' 채널에 업로드한 동영상 화면 356
그림 5-3-1. 시화호 해양쓰레기 모니터링 및 정화활동 대상지역 381
그림 5-3-2. 시화호 해양쓰레기 모니터링 발생원인별 결과(전체지역) 385
그림 5-3-3. 해양쓰레기 모니터링 발생원인별 결과(안산천) 386
그림 5-3-4. 해양쓰레기 모니터링 발생원인별 결과(형도갯벌) 386
그림 5-3-5. 해양쓰레기 모니터링 조사결과 전체 Top 10 387
그림 5-3-6. 언택트 가족형 연안정화 활동 및 홍보물 사진 390
그림 4-3-1. 유역모델 STREAM의 유역분할구조 559
그림 4-3-2. 유역모델 STREAM의 수문모의구조 561
그림 4-3-3. 유역모델 STREAM의 영양물질 유입과 이동 과정 모식도 563
그림 4-3-4. 유역모델 STREAM의 토양과 수체 내 탄소 저장소와 이동 과정 모식도 565
그림 4-3-5. 유역모델 STREAM의 토양과 수체 내 질소 저장소와 이동 과정 모식도 565
그림 4-3-6. 유역모델 STREAM의 토양과 수체 내 인 저장소와 이동 과정 모식도 566
그림 4-3-7. 논에서의 물수지와 물질수지 566
그림 4-4-1. 모델 입력자료 구성에 사용된 경기만의 수질조사 위치도 568
그림 4-4-2. 조위 및 조류관측점 위치 574
그림 4-4-3. 조위검정 시계열 577
그림 4-4-4. 조류검정 시계열(PC1-표층) 578
그림 4-4-5. 조류검정 시계열(PC2-표층) 579
그림 4-4-6. 조류검정 시계열(PC3-표층) 579
그림 4-4-7. 시화호 해역수질모델 보정 정점(국가해양환경측정망) 580
그림 4-4-8. 해역수질모델과 관측결과 비교(해양환경측정망 sh01정점) 581
그림 4-4-9. 해역수질모델과 관측결과 비교(해양환경측정망 sh02정점) 582
그림 4-4-10. 해역수질모델과 관측결과 비교(해양환경측정망 sh03정점) 583
그림 4-4-11. 해역수질모델과 관측결과 비교(해양환경측정망 sh04정점) 584
그림 4-4-12. 해역수질모델과 관측결과 비교(해양환경측정망 sh05정점) 585
그림 4-4-13. 해역수질모델과 관측결과 비교(해양환경측정망 sh06정점) 586
그림 4-4-14. 해역수질모델과 관측결과 비교(해양환경측정망 sh07정점) 587
그림 4-4-15. 해역수질모델과 관측결과 비교(해양환경측정망 sh08정점) 588
그림 4-4-16. 해역수질모델과 관측결과 비교(해양환경측정망 sh09정점) 589
그림 4-4-17. 해역수질모델과 관측결과 비교(해양환경측정망 sh10정점) 590
그림 4-4-18. 해역수질모델과 관측결과 비교(해양환경측정망 inc07정점) 591
그림 4-4-19. 해역수질모델과 관측결과 비교(해양환경측정망 inc08정점) 592
그림 4-4-20. 해역수질모델과 관측결과 비교(해양환경측정망 inc09정점) 593
그림 4-4-21. 해역수질모델과 관측결과 비교(해양환경측정망 inc11정점) 594
그림 4-4-22. 해역수질모델과 관측결과 비교(해양환경측정망 inc16정점) 595
그림 4-4-23. 해역수질모델과 관측결과 비교(해양환경측정망 inc17정점) 596
그림 4-4-24. 해역수질모델과 관측결과 비교(해양환경측정망 inc18정점) 597
그림 4-4-25. 해역수질모델과 관측결과 비교(해양환경측정망 inc19정점) 598
그림 4-4-26. 해역수질모델과 관측결과 비교(해양환경측정망 inc20정점) 599
그림 4-4-27. 해역수질모델과 관측결과 비교(해양환경측정망 inc21정점) 600
그림 4-4-28. 해역수질모델과 관측결과 비교(해양환경측정망 inc22정점) 601
그림 4-4-29. 해역수질모델과 관측결과 비교(해양환경측정망 inc23정점) 602
그림 4-4-30. 해역수질모델 연속관측 검정 정점 603
그림 4-4-31. 시화호 내측 정점(St.9)에서 해역수질모델 검정 결과 604
그림 4-4-32. 시화호 외측 정점(St.F)에서 해역수질모델 검정 결과 605
그림 4-4-33. 수질인자 평균농도 공간분포(Case SN) 606
그림 4-4-34. 수질인자 평균농도 공간분포(Case SS) 607
그림 4-4-35. 수질인자 평균농도 공간분포(Case S0) 608
그림 4-4-36. 수질인자 평균농도 공간분포(Case S1) 609
그림 4-4-37. 수질인자 평균농도 공간분포(Case S2) 610
그림 4-4-38. 수질인자 평균농도 공간분포(Case S3) 611
그림 4-4-39. 수질인자 평균농도 공간분포(Case S4) 612
그림 4-4-40. 수질인자 평균농도 공간분포(Case S5) 613
그림 4-4-41. 수질인자 평균농도 공간분포(Case SS) 614
그림 4-4-42. 수질인자 평균농도 공간분포(Case S0) 615
그림 4-4-43. 수질인자 평균농도 공간분포(Case S1) 616
그림 4-4-44. 수질인자 평균농도 공간분포(Case S2) 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