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제1편 계획의 기본구상 7
제1장 계획의 개요 8
1. 계획의 배경 및 목적 9
2. 계획의 범위 11
3. 계획의 수립방법 및 절차 13
제2장 제1차 환경보전계획 추진성과 14
1. 계획의 개요 15
2. 분야별 성과평가 16
제3장 지역특성 및 관련계획 검토 30
1. 부평구 지역특성 31
2. 관련계획 검토 43
3. 환경도시 선진사례 조사 69
제4장 환경의식 수요조사 84
1. 조사개요 85
2. 전문가 수요조사 87
3. 주민 수요조사 104
4. 요약 및 결론 124
제2편 부문별 계획수립 126
제1장 대기환경 126
1. 환경현황 조사 128
2. 여건변화와 발전방향 151
제2장 소음ㆍ진동 164
1. 환경현황 조사 165
2. 여건변화와 발전방향 185
제3장 수질환경 193
1. 환경현황 조사 194
2. 여건변화와 발전방향 215
제4장 상ㆍ하수도 220
1. 환경현황 조사 221
2. 여건변화와 발전방향 231
제5장 폐기물 238
1. 환경현황 조사 239
2. 여건변화와 발전방향 254
제6장 토양ㆍ지하수 258
1. 환경현황 조사 259
2. 여건변화와 발전방향 276
제7장 자연환경 280
1. 환경현황 조사 281
2. 여건변화와 발전방향 314
제8장 유해화학물질 320
1. 환경현황 조사 321
2. 여건변화와 발전방향 333
제9장 에너지 339
1. 환경현황 조사 340
2. 여건변화와 발전방향 352
제3편 비전 및 전략설정 356
제1장 여건분석 357
1. 환경보전계획의 추진방향 분석 357
2. 1차 환경보전계획의 추진성과 분석 357
3. 부평구 지역특성 분석 358
4. 관련계획 분석 358
5. 환경도시 선진사례 분석 358
6. 환경의식 수요조사 분석 359
제2장 분야별 발전방향 360
제3장 SWOT 분석 361
1. 강점(Strength) 361
2. 약점(Weakness) 361
3. 기회(Opportunity) 362
4. 위협(Threat) 362
제4장 환경비전 및 전략설정 364
제4편 5대 중점 프로젝트 366
제1장 굴포천 복원 프로젝트 367
1-1. 상ㆍ하류 협력증진사업(굴포천 유지용수 공급사업) 368
1-2. 굴포천 오염부하량 관리 체계 확충 371
1-3. 굴포천 수질정화 합동조사 시행 373
1-4. 굴포천 생물서식환경 조성 375
1-5. 굴포천 생물서식환경 건강 기록반 구축 377
1-6. 생태환경감시벨트 지정 378
1-7. 수변 경관 거점(폴리) 지정 380
1-8. 부평 생태체험교육 활성화 382
제2장 캠프마켓 토양정화 프로젝트 383
2-1. 토양오염 영향권 조사 384
2-2. 토양오염조사 투명성 강화 385
2-3. 환경오염물질 배출업소 맞춤형 관리 387
2-4. 불투수 토양포장 총량관리제 운영 389
2-5. 토양 클린라인(Clean Line) 조성 390
제3장 생활권공원 연결 프로젝트 391
3-1. 부평 네트워크 거점 공원 지정ㆍ관리 392
3-2. 가로경관 질적 제고 393
3-3. 유휴공간 그린오너제 시행 394
제4장 대기환경 개선 프로젝트 395
4-1. 실내공기질 지도관리 강화 396
4-2. 악취민원 해결체계 구축 397
4-3. 대기오염 자동측정망 교체 및 추가설치 398
4-4. 대기오염 경보 해제 후 도로 앞 물청소 399
제5장 폐기물 재활용 프로젝트 400
5-1. 나눔장터 활성화를 위한 유통센터 구축 401
5-2. 꿈꾸는 고물상 402
5-3. 제로 마켓(Zero Waste Market) 403
5-4. 컬러풀 분리수거함 디자인 404
5-5. 나무ㆍ폐화 무료 나누기 406
제5편 공간환경계획 407
제1장 필요성 및 수립지침 408
1. 공간환경계획의 의의 409
2. 공간환경계획의 필요성 409
3. 인천시 환경생태계획 구상 410
제2장 부평구 공간환경지도 415
1. 산림 네트워크 417
2. 하천 네트워크 419
3. 공원 네트워크 420
4. 생물서식 네트워크 421
제6편 집행 및 관리 422
제1장 우선순위 선정 423
제2장 연차별 투자계획 425
제3장 프로젝트별 투자계획 428
1. 굴포천 복원 프로젝트 428
2. 캠프마켓 토양정화 프로젝트 430
3. 생활권공원 연결 프로젝트 431
4. 대기환경 개선 프로젝트 432
5. 폐기물 재활용 프로젝트 433
제4장 소요재원 확보방안 434
[부록] 부평구 환경보전계획 수립을 위한 환경의식 설문조사 435
표 1-2-1. 제1차 부평구 환경보전계획(2007~2015년) 핵심가치와 전략 15
표 1-2-2. 분야별 성과평가(총 74개 사업) 16
표 1-2-3. 대기환경 추진실적(16개 사업) 18
표 1-2-4. 자연환경 추진실적(14개 사업) 20
표 1-2-5. 물환경 추진실적(13개 사업) 22
표 1-2-6. 폐기물환경 추진실적(9개 사업) 24
표 1-2-7. 소음ㆍ진동 추진실적(8개 사업) 26
표 1-2-8. 토양환경 추진실적(6개 사업) 27
표 1-2-9. 환경관리기반 추진실적(8개 사업) 29
표 1-3-1. 경ㆍ위도상의 부평구 위치 31
표 1-3-2. 부평구 행정구역 32
표 1-3-3. 부평구 기온변화 33
표 1-3-4. 부평구 기상개황 33
표 1-3-5. 부평구 토지지목별 현황 34
표 1-3-6. 부평구 최근 10년간 인구추이 35
표 1-3-7. 부평구 행정구역별 인구현황 36
표 1-3-8. 부평구 주택현황 및 보급률 37
표 1-3-9. 부평구 사업체 수 및 종사자 수 38
표 1-3-10. 부평구 용도지역(도시지역) 지정현황 38
표 1-3-11. 부평구 도로현황 39
표 1-3-12. 부평구 차량등록 현황 39
표 1-3-13. 부평구 자전거도로 현황 40
표 1-3-14. 부평구 주차장 현황 40
표 1-3-15. 부평구 연혁 41
표 1-3-16. 부평구 주요 관광자원 현황 42
표 1-3-17. 5대 프로젝트별 주요사업 45
표 1-3-18. 환경보전계획 정책방향의 변화 46
표 1-3-19. 추진전략별 정책과제 46
표 1-3-20. 인천광역시 2018 환경 지표 47
표 1-3-21. 녹색성장 기반구축 및 녹색생활역명 세부 추진계획 49
표 1-3-22. 기후변화 대응 및 적응 세부 추진계획 49
표 1-3-23. 녹색기술 개발 및 녹색산업 육성 세부 추진계획 50
표 1-3-24. 녹색공간 및 저탄소 도시인프라 확충 세부 추진계획 50
표 1-3-25. 이행과제 현황 53
표 1-3-26. 맑고 깨끗한 생태도시: 13개 사업 점검ㆍ평가 54
표 1-3-27. 자원이 순환되는 도시: 11개 사업 점검ㆍ평가 54
표 1-3-28.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미래도시: 15개 사업 점검ㆍ평가 55
표 1-3-29. 사람과 자연이 어우러져 하천이 아름다운 도시: 4개 사업 점검ㆍ평가 55
표 1-3-30. 탄소중립형 계획요소 64
표 1-3-31. 공원ㆍ녹지 관리계획 66
표 1-3-32. 특화테마벨트 구상 66
표 1-3-33. 코펜하겐 자전거 이용률 변화 71
표 1-3-34. 일본 오사키지구 디자인 가이드라인 83
표 1-4-1. 부평구 환경보전기본계획 설문조사내용 86
표 1-4-2. 전문가-응답자 일반사항 87
표 1-4-3. 전문가-평상시 환경문제 관심도 88
표 1-4-4. 전문가-향후 부평구의 환경상황 88
표 1-4-5. 전문가-각 분야별 부평구 환경오염상태 89
표 1-4-6. 전문가-부평구 미래의 환경 이미지 90
표 1-4-7. 전문가-기업ㆍ산업체가 부평구 환경에 미치는 영향 91
표 1-4-8. 전문가-대기오염의 주원인 92
표 1-4-9. 전문가-소음ㆍ진동의 주원인 93
표 1-4-10. 전문가-실내공기질 악화의 주원인 94
표 1-4-11. 전문가-굴포천 수질 악화의 주원인 95
표 1-4-12. 전문가-굴포천의 오염상태 중 가장 심각한 부분 95
표 1-4-13. 전문가-쓰레기 및 폐기물처리 발생의 주원인 96
표 1-4-14. 전문가-폐기물처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추진과제 97
표 1-4-15. 전문가-토양ㆍ지하수 오염의 주원인 98
표 1-4-16. 전문가-자연환경 문제 중 심각한 부분 99
표 1-4-17. '환경보전'과 '지역개발'에 대한 의견 100
표 1-4-18. 전문가-부평구 환경에 대한 정보 100
표 1-4-19. 전문가-환경문제나 환경정책 등에 대한 정보나 지식을 얻는 경로 101
표 1-4-20. 전문가-교육추진 및 홍보를 위해 해야 할 일 102
표 1-4-21. 전문가-부평구 환경보전기본계획 기타의견 103
표 1-4-22. 주민-응답자 일반사항 104
표 1-4-23. 주민-평상시 환경문제 관심도 105
표 1-4-24. 주민-향후 부평구의 환경상황 106
표 1-4-25. 주민-각 분야별 부평구 환경오염상태 107
표 1-4-26. 주민-대기오염의 주원인 110
표 1-4-27. 주민-소음ㆍ진동의 주원인 111
표 1-4-28. 주민-실내공기질 악화의 주원인 112
표 1-4-29. 주민-수질 악화의 주 원인 113
표 1-4-30. 주민-굴포천의 오염상태 중 가장 심각한 부분 114
표 1-4-31. 주민-쓰레기 및 폐기물처리 발생의 주 원인 114
표 1-4-32. 주민-토양ㆍ지하수 오염의 주원인 116
표 1-4-33. 주민-자연환경 문제 중 심각한 부분 117
표 1-4-34. '환경보전'과 '지역개발'에 대한 의견 118
표 1-4-35. 주민-환경문제에 대한 정보나 지식을 얻는 경로 119
표 1-4-36. 주민-환경보전 활동 참여의사 120
표 1-4-37. 주민-환경보전 활동 참여 경로 120
표 1-4-38. 성별, 연령, 거주기간, 거주지에 따른 환경보전 활동 참여의사 121
표 1-4-39. 거주지에 따른 환경보전 활동 참여의사 122
표 1-4-40. 주민-교육추진 및 홍보를 위해 해야 할 일 123
표 1-4-41. 주민-부평구 환경보전기본계획 기타의견 123
표 1-4-42. 거주지에 따른 환경오염 상태지수(100점 환산) 124
표 1-4-43. 각 분야별 환경오염의 주원인과 우선대책 125
표 2-1-1. 대기환경기준의 체계변경 및 강화내역 128
표 2-1-2. 대기환경기준 129
표 2-1-3. 복합악취 배출허용기준 129
표 2-1-4. 지정악취물질 배출허용기준 130
표 2-1-5. 실내오염물질의 발생원 및 영향 131
표 2-1-6.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유지기준 132
표 2-1-7.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권고기준 132
표 2-1-8. 신축 공동주택 실내공기질 권고 기준 132
표 2-1-9. 수도권 대기관리권역(수도권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133
표 2-1-10. 지역별 오존주의보 발령일수(발령횟수) 134
표 2-1-11. 지역별 NO₂ 연평균 농도변화 135
표 2-1-12. 지역별 PM10 연평균 농도변화 136
표 2-1-13. 인천시 도시대기 측정망 현황 137
표 2-1-14. 인천시 행정구역 측정소별 대기오염도 현황 138
표 2-1-15. 인천시 미세먼지 관련 기사 (1) 139
표 2-1-16. 인천시 미세먼지 관련 기사 (2) 140
표 2-1-17. 인천시 미세먼지 관리 모습 140
표 2-1-18. 연도별 주요 시ㆍ도의 오존주의보 발령현황 140
표 2-1-19.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141
표 2-1-20. 인천시 산업단지 현황 142
표 2-1-21. 부평구 대기오염물질 배출사업장 143
표 2-1-22. 부평구 산업단지 환경오염물질 배출사업장 현황 143
표 2-1-23. 휘발성유기화합물(VOC) 배출시설 현황(2013년) 144
표 2-1-24. 악취 민원 지역별 접수현황(2013년) 144
표 2-1-25. 악취 민원 월별 접수현황(2013년) 144
표 2-1-26. 부평구 비산먼지 발생사업장 현황 145
표 2-1-27. 부평구 다중이용시설별 측정지점 유형 145
표 2-1-28. 부평구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관리 146
표 2-1-29. 2014년 부평구 다중이용시설 구분 146
표 2-1-30. 부평구 환경오염물질 배출사업장 단속 및 행정조치 현황 147
표 2-1-31. 인천시 대기오염 예ㆍ경보 권역 변경 148
표 2-1-32. 인천시 미세먼지 농도 기준 변경 148
표 2-1-33. 부평구 대기오염 자동측정소 설치 현황 149
표 2-1-34. 부평구 대기오염 전광판 현황 149
표 2-1-35. 2015년 악취중점관리업체(6개소) 150
표 2-1-36. 악취중점사업장의 악취오염도 검사 회수 150
표 2-1-37. 무인악취포집기 설치 현황 150
표 2-1-38. 악취포집기 운영 현황(악취 시료채취 건수) 150
표 2-1-39. 국내 저감대책 관련 수도권 미세먼지(PM10, PM2.5) 관리대책 153
표 2-1-40. 2019년도 실내공기질 관리목표 154
표 2-1-41. 2차 수도권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의 시도별 대기개선 목표(2024년) 156
표 2-1-42. 인천 대기질 현황 및 2024년 인천광역시 대기질 목표 157
표 2-1-43. 2019년 전망 배출량 및 지역 배출허용총량 157
표 2-1-44. 2024년 전망 배출량 및 지역 배출허용총량 158
표 2-1-45. 인천광역시 시행계획 세부대책 개요 158
표 2-1-46. 인천시 환경보전계획 중 선진국 수준의 대기질 확보방안 159
표 2-1-47. 관리업체 기준 161
표 2-1-48. 부평구의 주요 대기환경오염원 162
표 2-1-49. 대기환경분야 추진전략 163
표 2-2-1. 소음ㆍ진동 발생원 165
표 2-2-2. 소음측정지역 구분 168
표 2-2-3. 소음측정 시간대별 측정회수 및 측정시간 169
표 2-2-4. 소음 환경기준 170
표 2-2-5. 교통소음ㆍ진동 관리기준(도로) 171
표 2-2-6. 교통소음ㆍ진동 관리기준(철도) 171
표 2-2-7. 생활소음 규제기준 172
표 2-2-8. 생활진동 규제기준 172
표 2-2-9. 공장소음 배출허용기준(2015.1.2. 개정) 173
표 2-2-10. 공장진동 배출허용기준(2015.1.2. 개정) 173
표 2-2-11. 부평구 소음측정망 운영 현황 174
표 2-2-12. 인천시 교통소음 민원 현황 175
표 2-2-13. 부평구 환경소음도 현황(준주거지역) 176
표 2-2-14. 인천 소음관련 민원 현황 177
표 2-2-15. 인천 생활소음 민원 현황 177
표 2-2-16. 부평구 환경소음도 현황(일반공업지역) 178
표 2-2-17. 인천시 정온시설 현황 179
표 2-2-18. 인천시 소음ㆍ진동 배출업소 현황(2013년 기준) 180
표 2-2-19. 부평구 소음ㆍ진동 배출업소 현황 180
표 2-2-20. 인천시 교통소음관리지역 지정 현황 181
표 2-2-21. 인천시 방음벽 실적 181
표 2-2-22. 인천시 건설공사장 소음피해 관련 점검실적 182
표 2-2-23. 부평구 소음ㆍ진동 점검(위반)사항 및 행정처분 182
표 2-2-24. 부평구 생활민원 점검(위반)사항 및 행정처분 183
표 2-2-25. 인천시 소음ㆍ진동 배출업소 지도점검 실적 184
표 2-2-26. 부평구 주민홍보 실적 184
표 2-2-27. 소음진동 관리법 190
표 2-2-28. 소음ㆍ진동환경분야 추진전략 192
표 2-3-1. 하천수질 환경기준 194
표 2-3-2. 단위유역 관할 자치단체 및 면적 점유율 195
표 2-3-3. 부평구 하천현황 196
표 2-3-4. 굴포천 수질측정 지점 196
표 2-3-5. 굴포천 수질측정 현황 197
표 2-3-6. 부평구 하천현황 200
표 2-3-7. 굴포천 연도별 투자계획 200
표 2-3-8. 굴포천 복원사업 추진모습 201
표 2-3-9. 굴포천 복원사업 추진실적 201
표 2-3-10. 산업폐수 배출사업장 203
표 2-3-11. 산업폐수 발생량(2013년) 204
표 2-3-12. 하수발생량 205
표 2-3-13. 1일 1인당 오수 발생량(2013년) 206
표 2-3-14. 하수도 수요추정 206
표 2-3-15. 하수종말처리장 현황(2013년) 207
표 2-3-16. 하수처리시설 신설계획 207
표 2-3-17. 분뇨발생량 208
표 2-3-18. 부평구 분뇨배출량(2014년) 208
표 2-3-19. 분뇨처리시설 현황 209
표 2-3-20. 분뇨수집ㆍ운반업체 현황 209
표 2-3-21. 수질측정망 채수지점 현황 210
표 2-3-22. 폐수배출업소 지도ㆍ점검 실적 211
표 2-3-23. 부평구 수질오염원 지도ㆍ점검 회수 211
표 2-3-24. 부평구 폐수배출업소 관리내용 212
표 2-3-25. 최종방류구 개방화 추진실적(1997~2010년) 212
표 2-3-26. 폐수배출업소 수질원격감시체계(TMS) 구축 213
표 2-3-27. 인천시 환경보전계획 중 생태적으로 건강한 물환경 조성 확보방안 215
표 2-3-28. 인천시 지역특성에 따른 권역별 하천정비 215
표 2-3-29. 한강수계 특별ㆍ광역시ㆍ도 경계지점의 목표수질 217
표 2-3-30. 수질환경분야 추진전략 219
표 2-4-1. 인천광역시 수도사업소별 관할지역 221
표 2-4-2. 인천광역시와 부평구의 상수도 보급 현황 222
표 2-4-3. 부평구 상수도관 현황(도수관 및 송수관) 222
표 2-4-4. 부평구 상수도관 현황(배수관 및 급수관) 223
표 2-4-5. 정수장 계통별 급수현황 223
표 2-4-6. 인천시 정수장별 일반현황 224
표 2-4-7. 부평구 하수도 사용 인구 및 보급률 226
표 2-4-8. 부평구 하수관거 설치 현황 226
표 2-4-9. 인천광역시 하수처리장 현황 227
표 2-4-10. 유수지 및 빗물펌프장 운영 현황 227
표 2-4-11. 인천광역시 수질검사항목 228
표 2-4-12. 인천시 정수장별 수돗물 탁도 현황(2013년) 228
표 2-4-13. 인천광역시 하ㆍ폐수처리수 재이용 현황 229
표 2-4-14. 인천시 하수처리장 현황 및 증축계획(2030년 목표) 230
표 2-4-15. 상수도계획 현황 및 범위 231
표 2-4-16. 인천시 환경보전계획 중 안전한 물 공급 및 방류수역 관리방안 233
표 2-4-17. 물 재이용 기본계획(2011~2020년) 추진전략 및 주요정책 과제 234
표 2-4-18. 제2차 비점오염원관리 종합대책(2012~2020년) 분야별 추진대책 235
표 2-4-19. 상ㆍ하수도환경분야 추진전략 237
표 2-5-1. 폐기물의 분류 체계 239
표 2-5-2.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241
표 2-5-3. 인천시 생활폐기물 처리방법별 현황 243
표 2-5-4. 인천시 건설폐기물 처리방법별 현황 245
표 2-5-5. 2013년 국내 사업장지정폐기물(의료제외) 발생현황 247
표 2-5-6. 2013년 부평구 사업장 지정폐기물 발생현황 248
표 2-5-7. 부평구 지정폐기물 처리방법별 현황 248
표 2-5-8. 인천시 폐기물 관리인원 및 장비현황 249
표 2-5-9. 인천시 폐기물 관리인원 및 장비현황 249
표 2-5-10. 인천시 폐기물 재활용센터 현황 250
표 2-5-11. 인천시 중소형 소각시설 현황 251
표 2-5-12. 2014년 부평구 폐기물 배출사업장 및 처리시설 현황 252
표 2-5-13. 인천시 음식물류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252
표 2-5-14. 인천시 음식물폐기물 감량 의무대상 사업장 현황 252
표 2-5-15. 종량제 시행 전후 생활쓰레기 발생량 분석 253
표 2-5-16. 인천시 환경보전계획(2014~2018년) 자원ㆍ에너지 선순환 기반조성 255
표 2-5-17. 폐기물환경분야 추진전략 257
표 2-6-1. 토양오염물질 259
표 2-6-2. 토양오염 조사항목 별 인체에 미치는 영향 260
표 2-6-3. 현행 토양오염 우려기준 및 대책기준 261
표 2-6-4. 토양측정망 구성 262
표 2-6-5. 조사항목 263
표 2-6-6. 토양오염 실태조사대상지역별 조사지점 수 263
표 2-6-7. 부평구 토양오염실태조사 지점 264
표 2-6-8. 토양측정망 오염도 현황 265
표 2-6-9. 부평구 토양측정망 운영결과 266
표 2-6-10. 토양오염실태조사 결과 267
표 2-6-11. 부평구 지하수 수질측정망 268
표 2-6-12. 부평구 지하수 이용량 추이 269
표 2-6-13. 인천시 행정구역별 지하수 이용량 비교 270
표 2-6-14. 먹는 물의 수질기준 271
표 2-6-15. 지하수(음용수) 제외 수질기준 272
표 2-6-16. 부평구 수질검사 현황 272
표 2-6-17. 부평구 일반지역 수질현황 273
표 2-6-18. 부평구 오염우려지역 수질현황 274
표 2-6-19. 인천시 환경보전계획(2014~2018년) 합리적 토양관리 기반 구축 277
표 2-6-20. 토양ㆍ지하수환경분야 추진전략 279
표 2-7-1.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제15조)에 의한 도시공원 281
표 2-7-2.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제35조)에 의한 녹지 283
표 2-7-3. 도시공원 및 녹지 체계 284
표 2-7-4. 인천광역시 도시공원 현황 285
표 2-7-5. 부평구 도시공원 현황 286
표 2-7-6. 부평구 주요공원 시설 현황 286
표 2-7-7. 마장근린공원 조성 추진실적 287
표 2-7-8. 인천광역시 녹지 지정현황 288
표 2-7-9. 부평구 주요 도시녹화 사업 추진실적 289
표 2-7-10. 가로녹지 및 쉼터 현황 289
표 2-7-11. 인천광역시 소유별 산림현황 289
표 2-7-12. 부평구 소재 주요산 290
표 2-7-13. 부평구 소유별 산림현황 290
표 2-7-14. 추진개요 및 성과 291
표 2-7-15. 부평구 조림사업 현황 291
표 2-7-16. 부평구 토지이용 유형별 면적 및 비율(1) 293
표 2-7-17. 부평구 토지이용 유형별 면적 및 비율(2) 294
표 2-7-18. 부평구 토지이용현황도(2014년도) 294
표 2-7-19. 부평구 현존식생도(2014년) 295
표 2-7-20. 부평구 현존식생 유형별 면적 및 비율(1) 296
표 2-7-21. 부평구 현존식생 유형별 면적 및 비율(2) 297
표 2-7-22. 부평구 건폐율 현황도(2014년) 297
표 2-7-23. 부평구 시가화지역 건폐율 면적 및 비율 298
표 2-7-24. 부평구 시가화지역 층고 면적 및 비율 298
표 2-7-25. 부평구 토양피복 유형별 면적 및 비율 299
표 2-7-26. 부평구 토양피복 현황도(2014년) 299
표 2-7-27. 부평구 불투수 면적 및 비율 300
표 2-7-28. 부평구 불투수률 현황도(2014년) 300
표 2-7-29. 부평구 녹피율 면적 및 비율 301
표 2-7-30. 부평구 녹피율 현황도(2014년) 301
표 2-7-31. 부평구 중분류 비오톱 유형별 면적 및 비율 303
표 2-7-32. 비오톱 유형도-중분류(2014년) 304
표 2-7-33. 인천광역시 비오톱 유형 평가등급 기준 304
표 2-7-34. 부평구 중분류 비오톱 평가 면적 및 비율 305
표 2-7-35. 부평구 중분류 비오톱 평가도(2014년) 305
표 2-7-36. 부평구 중분류 비오톱 평가 면적 및 비율 306
표 2-7-37. 부평구 야생조류 현황(여름철) 308
표 2-7-38. 부평구 야생조류 현황(겨울철) 308
표 2-7-39. 부평구 보호수 및 큰나무(2014년) 309
표 2-7-40. 추진개요 및 성과 310
표 2-7-41. 공원 개선사업 추진성과 311
표 2-7-42. 공원 내 친환경 시설관리 사업 추진성과 311
표 2-7-43. 멸종위기 야생동ㆍ식물 현황(Ⅰ급: 8종, Ⅱ급: 28종) 312
표 2-7-44. 생태체험 프로그램 운영 313
표 2-7-45. 생태계보전 협력금제도 내용 314
표 2-7-46. 인천시 자연환경보전 실천계획 실천목표와 추진과제 315
표 2-7-47. 부평구 '자연이 함께하는 부평' 세부 사업 316
표 2-7-48. 인천시 환경보전계획(2014~2018년) 생활밀착형 자연생태 조성 방안 317
표 2-7-49. 인천시 환경보전계획(2014~2018년) 쾌적한 자연공생 도시 조성 방안 317
표 2-7-50. 자연환경분야 추진전략 319
표 2-8-1. 유해화학물질 종류 321
표 2-8-2. 화학물질 조사대상 322
표 2-8-3. 배출량, 이동량 및 자가 매립량 의미 322
표 2-8-4. 전국 화학물질 배출량 및 이동량 323
표 2-8-5. 부평구 연도별 화학물질 배출량 및 이동량 추이 325
표 2-8-6. 인천시 행정구역별 화학물질 배출량 및 이동량 비교 326
표 2-8-7. 부평구 유해화학물 취급업소 현황 327
표 2-8-8. 유해화학물질 위반현장 사진 328
표 2-8-9. 부평구 석면조사 결과 330
표 2-8-10. 부평구 석면해체ㆍ제거업자 현황 331
표 2-8-11. 부평구 위험시설물 안전관리 연도별 투자계획 331
표 2-8-12. 부평구 위험시설물 지도ㆍ점검 실시 추진실적 332
표 2-8-13. 국내 화학물질 관리법 333
표 2-8-14. 유해화학물질 관리 강화 추진내용 334
표 2-8-15. 생활주변 유해물질 관리 강화 추진내용 335
표 2-8-16. 석면조사 대상 건축물 현황 336
표 2-8-17. 노후슬레이트 처리 지원(2014년도) 336
표 2-8-18. 신축 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 권고기준 336
표 2-8-19.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 설치 현황 336
표 2-9-1. 에너지의 형태 340
표 2-9-2. 역대 정부 지역에너지 정책 개요 343
표 2-9-3. 인천시 해양에너지 메카시티 기반구축 세부사업 및 추진내역 344
표 2-9-4. 인천시 신재생에너지 보급확대 및 고효율에너지 절약사업 추진내역 344
표 2-9-5. 전국 1차 에너지 공급량 현황 345
표 2-9-6. 전국 최종에너지 소비 현황 346
표 2-9-7. 전국 산업별 전력사용량 346
표 2-9-8. 전국 신재생에너지 설비용량(발전) 347
표 2-9-9. 전국 신재생에너지 생산량 347
표 2-9-10. 부평구 석유류 소비량 348
표 2-9-11. 인천시 행정구역별 석유류 소비량 348
표 2-9-12. 부평구 용도별 도시가스 이용현황 349
표 2-9-13. 인천시 행정구역별 도시가스 이용현황 349
표 2-9-14. 부평구 계약종별 전력사용량 350
표 2-9-15. 인천시 행정구역별 전력사용량 비교 350
표 2-9-16. 지원규모 및 가구수 현황 351
표 2-9-17. 군구별 지원현황 351
표 2-9-18. 2차 에너지기본계획 10개 하위계획 352
표 2-9-19. 제로에너지 빌딩의 개념 353
표 2-9-20. 정부가 제시한 맞춤형 제로에너지빌딩 사업모델 353
표 2-9-21. 인천시 환경보전계획 신재생에너지 인프라 및 에너지 복지 증대방안 354
표 2-9-22. 인천시 환경보전계획 기후변화대응 및 온실가스감축을 위한 기반조성 방안 354
표 2-9-23. 에너지환경분야 추진전략 355
표 4-1-1. 굴포천 BOD 할당부하량 목표 371
표 4-2-1. 인천시 친환경기업 관리역량 성과지표 388
표 6-1-1. 우선순위 선정 424
표 6-2-1. 연차별 투자계획 425
표 6-2-2. 추진목표 별 투자계획 427
표 6-3-1. '굴포천 복원 프로젝트' 투자계획 428
표 6-3-2. '캠프마켓 토양정화 프로젝트' 투자계획 430
표 6-3-3. '생활권공원 연결 프로젝트' 투자계획 431
표 6-3-4. '대기환경 개선 프로젝트' 투자계획 432
표 6-3-5. '폐기물 재활용 프로젝트' 투자계획 433
그림 1-1-1. 부평 지속가능발전 비전 및 이행계획(안) 9
그림 1-1-2. 연구의 목적 10
그림 1-1-3. 수행체계 13
그림 1-3-1. 부평구 위치와 상세지도 31
그림 1-3-2. 2013년 월별 기온 및 강수량 33
그림 1-3-3. 2013년 토지지목별 현황 34
그림 1-3-4. 인천환경보전계획 비전 및 미래상, 5대 프로젝트 43
그림 1-3-5. 인천시 환경보전계획 핵심전략 44
그림 1-3-6. 5대 프로젝트와 핵심전략의 관계 45
그림 1-3-7. 인천 녹색성장 미래비전 48
그림 1-3-8. 미래부평 지속가능발전 비전 52
그림 1-3-9. 10대 핵심이슈 56
그림 1-3-10. 도시미래상 구체화 57
그림 1-3-11. 인천도시기본계획 목표 및 전략 58
그림 1-3-12. 부평구 기후변화적응대책 비전 및 목표 설정 68
그림 1-3-13. Finger Plan 70
그림 1-3-14. 자전거도로와 보행자도로가 분리된 모습 72
그림 1-3-15. 자전거 전용도로, Cycle Snake 72
그림 1-3-16. 취리히 자연숲공원 위치 73
그림 1-3-17. 지역자연공원의 공간구성 74
그림 1-3-18. 실발트 방문자센터 내 박물관 74
그림 1-3-19. 싱가포르 컨셉트플랜 76
그림 1-3-20. 싱가포르 공원녹지와 수공간계획 76
그림 1-3-21. 싱가포르 파크커넥터 네트워크 계획 76
그림 1-3-22. 파크커넥터 유형 77
그림 1-3-23. 칼랑강 파크커넥터 78
그림 1-3-24. 앙모키오 파크커넥터 79
그림 1-3-25. 마이홈임차 프로세스 80
그림 1-3-26. 오사키지구 도시재생긴급정비지역 81
그림 1-3-27. 오사키지구의 바람길 확보계획 82
그림 1-3-28. 메구로강변 친수광장 83
그림 1-3-29. 친수광장 내 통로 83
그림 1-4-1. 자료처리단계 86
그림 1-4-2. 전문가-환경보전을 위해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 90
그림 1-4-3. 전문가-기업ㆍ산업체가 해로운 영향을 주는 분야 91
그림 1-4-4. 전문가-대기환경 보전을 위한 우선대책 92
그림 1-4-5. 전문가-소음ㆍ진동 감소를 위한 우선대책 93
그림 1-4-6. 전문가-실내공기질 개선방안 94
그림 1-4-7. 전문가-하천(굴포천) 수질 개선방안 96
그림 1-4-8. 전문가-재활용품 분리수거의 개선점 97
그림 1-4-9. 전문가-토양ㆍ지하수 보전을 위한 추진과제 98
그림 1-4-10. 전문가-자연환경 보전을 위한 추진과제 99
그림 1-4-11. 전문가-환경보전 활동 참여의사 101
그림 1-4-12. 전문가-환경보전 활동 참여 경로 102
그림 1-4-13. 성별, 연령, 거주기간에 따른 환경문제 관심도 106
그림 1-4-14. 주민-각 분야별 부평구 환경오염상태(100점 환산) 108
그림 1-4-15. 주민-부평구 미래의 환경 이미지 108
그림 1-4-16. 주민-환경보전을 위해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다중응답) 109
그림 1-4-17. 주민-기업ㆍ산업체가 부평구 환경에 미치는 영향 109
그림 1-4-18. 주민-대기환경 보전을 위한 우선대책 110
그림 1-4-19. 주민-소음ㆍ진동 감소를 위한 우선대책 111
그림 1-4-20. 주민-실내공기질 개선방안 112
그림 1-4-21. 주민-하천(굴포천) 수질 개선방안 113
그림 1-4-22. 주민-폐기물처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추진과제 115
그림 1-4-23. 주민-재활용품 분리수거 개선점 115
그림 1-4-24. 주민-토양ㆍ지하수 보전을 위한 추진과제 116
그림 1-4-25. 주민-자연환경 보전을 위한 추진과제 117
그림 1-4-26. 주민-부평구 환경에 대한 정보 118
그림 1-4-27. 주민-환경문제에 대한 정보나 지식을 얻는 경로 119
그림 1-4-28. 성별, 연령, 거주기간에 따른 환경보전 활동 참여의사 121
그림 1-4-29. 거주지에 따른 환경보전 활동 참여의사 122
그림 2-1-1. 서울ㆍ인천 PM10 연평균 농도변화 비교 136
그림 2-1-2. 부평구 내 산업단지 및 용도지역 현황 143
그림 2-1-3. 미세먼지 대책 T/F 조직도 152
그림 2-1-4. 추진체계도 154
그림 2-1-5. 2차 수도권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의 비전 및 목표 155
그림 2-1-6. 인천광역시 대기질 현황 및 2024년 대기질 목표 156
그림 2-1-7.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개념 160
그림 2-1-8.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주요 일정 161
그림 2-2-1. 소음자동측정기기 설치사진 167
그림 2-2-2. 부평구 소음측정 지점 174
그림 2-2-3. 부평구 차량등록 변화 175
그림 2-2-4. 인천시 생활소음 민원 현황 비교 177
그림 2-2-5. 2012~2013년 정온시설 현황 비교 179
그림 2-2-6. 행정구역 별 소음ㆍ진동 배출업소 비교 180
그림 2-2-7. 종합대책의 목표와 추진과제 185
그림 2-2-8. 소음측정망 운영체계 189
그림 2-2-9. 서울시 영등포구 철도 및 공사장 소음지도 예시 190
그림 2-3-1. 한강수계 인천광역시 기본계획 수립 단위유역도 195
그림 2-3-2. 굴포천 및 지류 현황 196
그림 2-3-3. 굴포천 수질측정지점 196
그림 2-3-4. 부평구 녹지율 현황도(인천시 도시생태현황지도, 2014) 197
그림 2-3-5. 부평구 불투수율 현황도(인천시 도시생태현황지도, 2014) 197
그림 2-3-6. 수소이온(pH)농도 변화 198
그림 2-3-7. 용존산소(DO)농도 변화 198
그림 2-3-8.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변화 199
그림 2-3-9. 화학적산소요구량(COD) 변화 199
그림 2-3-10. 부유물질(SS)농도 변화 199
그림 2-3-11. 총인(T-P)농도 변화 199
그림 2-3-12. 1사1하천 가꾸기 사업 활동모습 202
그림 2-3-13. 행정구역별 산업폐수발생량 비교 204
그림 2-3-14. 행정구역별 1일오수발생량 비교 206
그림 2-3-15. 하천정비권역 구분도 216
그림 2-3-16. 단위유역도 및 수질오염총량제 절차도 217
그림 2-4-1. 인천광역시 상수원 보호구역 225
그림 2-4-2. 인천시 미추홀 참물 엠블럼(좌)과 캐릭터(우) 225
그림 2-4-3. 가좌 하수처리장 재처리시설 및 재이용수 현장사진 230
그림 2-4-4. 환경부 하수도종합정보관리시스템 232
그림 2-5-1. 국내 폐기물 발생현황 241
그림 2-5-2. 인천시 처리방법별 폐기물 현황 242
그림 2-5-3. 인천시 지역별 폐기물 발생현황 243
그림 2-5-4. 부평구 생활폐기물 처리방법별 현황 244
그림 2-5-5. 부평구 건설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246
그림 2-6-1. 부평구 토양오염실태조사 지점 264
그림 2-6-2. 측정망과 실태조사 오염도 비교 267
그림 2-6-3. 부평구 지하수측정망 설치 현황 269
그림 2-6-4. 부평구 지하수 이용량 270
그림 2-6-5. 용도별지하수 이용량 270
그림 2-6-6. 부평구 지하수 오염 취약성도 275
그림 2-7-1. 갈산공원 고구마 수확행사(좌), 십정녹지 도시텃밭(우) 287
그림 2-7-2. 굴포천 합수부 대상지 위치도 306
그림 2-7-3. 굴포천 307
그림 2-7-4. 갈산녹지 대형수목 수형조절(좌), 비둘기공원 운동시설 정비(우) 311
그림 2-7-5. 부영공원 내 맹꽁이 서식지(좌), 맹꽁이(중), 야생동물 먹이주기활동(우) 312
그림 2-7-6. 물방울 사진전 313
그림 2-7-7. 이야기 곤충 특별전(좌), 곤충표본 특별전(우) 313
그림 2-8-1. 연도별 화학물질 배출량 추이 324
그림 2-8-2. 1급 발암물질 취급ㆍ배출량 변화(2008~2013) 324
그림 2-8-3. 화학물질별 배출 현황 325
그림 2-8-4. 부평 미군기지 캠프마켓 토양 시료 채취모습 328
그림 2-8-5. 인천 SK석유화학공장 모습과 사고발생 경위 330
그림 2-8-6. 구미 불산 누출사고 당시 모습 332
그림 2-8-7. 온라인 교육시스템 웹사이트 화면 337
그림 2-9-1. 전국 1차 에너지 공급 현황 345
그림 3-2-1. 분야별 발전방향 360
그림 3-3-1. SWOT 분석 363
그림 3-4-1. 부평구 환경보전계획 비전 및 추진목표 364
그림 3-4-2. 5대 주요 프로젝트에 대한 세부사업 365
그림 4-1-1. 통합집중형 오염지류 선정 부지 368
그림 4-1-2. 위치도 369
그림 4-1-3. 송수시설 370
그림 4-1-4. 계획평면도 370
그림 4-1-5. 수질원격감시시스템(TMS) 모습 372
그림 4-1-6. 서울 합동 수질정화활동 모습 373
그림 4-1-7. 굴포천 합동 조사구역(안) 374
그림 4-1-8. 버들치, 갈겨니, 메기(왼쪽부터) 375
그림 4-1-9. 갈매기류, 백할미새, 청둥오리(왼쪽부터) 375
그림 4-1-10. 수생식물 식재 모습(좌)과 수크렁(우) 376
그림 4-1-11. 토종어류 방류행사 예시 376
그림 4-1-12. 굴포천 조류 지도 377
그림 4-1-13. 굴포천 합류부 모습 378
그림 4-1-14. 부평구 야생동물 서식지 378
그림 4-1-15. 폴리 개념 다이어그램 380
그림 4-1-16. 파리 라빌레트(La Villette) 공원 380
그림 4-1-17. 광주 폴리 380
그림 4-1-18. 굴포천 상류 수변공간 거점 조성(안) 381
그림 4-1-19. 전 세대가 함께하는 환경투어 382
그림 4-2-1. 부영공원 주변 현황도 384
그림 4-2-2. 부영공원 토양오염 현황도 385
그림 4-2-3. 부영공원 토양오염조사 모습 386
그림 4-2-4. 부평 국가산업단지 위치 387
그림 4-2-5. 부평구 불투수 면적 현황도 389
그림 4-2-6. 투수성포장 예시 390
그림 4-2-7. 부영공원 우성4차 아파트 경계 클린라인 조성(안) 390
그림 4-3-1. 부평구 네트워크 거점 공원 지정(안) 392
그림 4-3-2. 도쿄 오모테산도 도로변녹화(좌), 싱가포르 파크커넥터 수변녹화(우) 393
그림 4-3-3. 그린오너제 시행(삼성반도체) 394
그림 4-3-4. 그린오너제 예시(미국) 394
그림 4-4-1. 부평구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관리 396
그림 4-4-2. 환경안전진단 사례(강서구) 396
그림 4-4-3. 악취저감시스템 전광판 397
그림 4-4-4. 경기보건환경연구원이 개발한 대기오염 신호등 398
그림 4-4-5. 도로청소를 위한 살수차 399
그림 4-4-6. 도로앞, 학교 등 물청소 시행 예시 399
그림 4-5-1. Pass The Baton 컨셉과 매장 모습 401
그림 4-5-2. 부평구 안전 리어카 디자인(안) 402
그림 4-5-3. 밸런타인데이 과대포장 사례 403
그림 4-5-4. 베를린의 누드 푸드 마켓 403
그림 4-5-5. 독일 분리수거함 404
그림 4-5-6. 네덜란드 분리수거함 404
그림 4-5-7. 분리수거함 해외사례(독일, 영국, 네덜란드) 404
그림 4-5-8. Bottle Bank Arcade 폐기물 수거함 405
그림 4-5-9. Blikvanger 캔 수집함(네덜란드, 벨기에) 405
그림 4-5-10. 해남군(좌), 곡성군(우) 나무은행 406
그림 4-5-11. 거리에 조성된 꽃 406
그림 5-1-1. 인천시 육지지역 자연생태계 보전 계획 구상도 411
그림 5-1-2. 인천시 육지지역 생태계 네트워크 계획 구상도 412
그림 5-1-3. 인천시 육지지역 생태계 복원 계획 구상도 413
그림 5-1-4. 인천시 육지지역 생태복지 계획 구상도 414
그림 5-2-1. 부평구 공간환경지도 416
그림 5-2-2. 인천시 녹지축 연결 계획도 417
그림 5-2-3. 부평구 산림 네트워크 구상도 418
그림 5-2-4. 부평구 하천 네트워크 구상도 419
그림 5-2-5. 부평구 공원 네트워크 구상도 420
그림 5-2-6. 부평구 생물서식 네트워크 구상도 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