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국문요약문 7
Summary 10
제1장 연구 개발 과제의 개요 14
제1절 연구 개발 목적 14
제2절 연구 개발의 필요성 14
제3절 연구 개발 범위 18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20
제1절 국내 기술 개발 현황 20
제2절 국외 기술 개발 현황 26
제3절 연구결과의 위치 31
제3장 연구 수행 내용 및 결과 33
제1절 연구 수행 내용 33
1. 최적환경관리방안 선진 사례 분석 및 유기농경지 적용 가능 기술 탐색 33
2. 영농 현황 인벤토리 작성 및 최적환경관리 기술의 적용 33
3. 유기농에 대한 최적환경관리방안 매뉴얼 작성 34
4. 밭의 유기농법 적용에 따른 포장 시험 35
5. 국내 유기농업 형태, 작물과 작부 형태와 활용 농자재 특성 37
6. 유기재배 밭의 양분 수지 분석 및 비교 평가 37
7. 강우 사상별 침식과 유거 특성 39
8. 양분 이동 39
9. 가축분 퇴비 및 액비 처리별 질소(N)와 인(P) 가용화 40
10. 유기자재 처리별 밭토양 토양 침식 및 유실량 산정 및 특성 인자 40
11. 유거 저감 물관리 및 토양관리 방안 41
12. 유기논 및 관행논에서 토양 시료 채취 및 분석 42
13. 유기논 및 관행논에서 수질 시료 채취 및 분석 44
14. 논에서 물수지 및 양분수지 분석, 원단위 부하량 산정 45
15. 논 토양에서의 N, P 거동 특성 분석 48
16. 유기농법 적용에 따른 오염물질의 특성 평가 포장 실험(1년차) 48
17. 유기농법 적용에 따른 오염물질의 특성 평가 포장 실험(2년차) 50
18. 유기농법 적용에 따른 오염물질의 특성 평가 포장 실험(3년차) 51
19. 분석방법 54
20. 유기농법 적용에 따른 수문 및 수질 모니터링 55
21. 유기농법 적용에 따른 부하량 산정 및 원단위 평가 58
22. 유기농경지에 적용 가능한 모델링 기반의 BMP 효과 평가 62
23. 관행 농경지와 유기농경지의 생물다양성 비교 평가('15) 75
24. 관행 농경지와 유기농경지의 생물다양성 비교 평가('16) 76
25. 관행 농경지와 유기농경지의 생물다양성 비교 평가('17) 77
제2절 결과 77
1. 최적환경관리방안 선진 사례 분석 및 유기농경지 적용 가능 기술 탐색 77
2. 영농 현황 인벤토리 작성 및 최적환경관리 기술의 적용 85
3. 유기농에 대한 최적환경관리방안 매뉴얼 작성 95
4. 국내외 유기농업 형태, 작물과 작부 형태와 활용 농자재 특성 96
5. 작물과 작부체계 114
6. 작물별 양분요구도 및 양분수지 120
7. 양분 이용과 시비 135
8. 토양 침식 및 유실량 산정 및 특성 인자 157
9. 관행논 및 유기논의 토양 특성 비교 171
10. 농업 방법에 따른 유해물질 비교 평가(1년차) 234
11. 농업 방법에 따른 유해물질 비교 평가(2년차) 240
12. 농업 방법에 따른 유해물질 비교 평가(3년차) 253
13. 연차별 농법에 따른 토양 특성 및 오염물질 거동 변화 262
14. 유기농법 적용에 따른 수문 및 수질 모니터링 276
15. 유기농법 적용에 따른 부하량 산정 및 원단위 평가 284
16. 농경지(논 및 밭)에서는 최적관리기법(BMP) 사례조사 293
17. 유기농경지에적용가능한모델링 기반의 BMP 효과 평가 298
18. 유기농경지와 관행농경지의 생물다양성 결과(1-2년차) 312
19. 유기농경지와 관행농경지의 생물다양성 총 연구결과 요약('15-'17)(표 194~196) 315
20. 국제공동연구 401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 기여도 467
제1절 목표대비 달성도 467
제2절 정량적 성과(논문게재, 특허출원, 기타) 467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468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469
제7장 연구 개발 결과의 보안 등급 470
제8장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에 등록한 연구시설ㆍ장비 현황 471
제9장 연구개발과제 수행에 따른 연구실 등의 안전조치 이행실적 472
제10장 연구개발과제의 대표적 연구실적 473
제11장 기타사항 477
제12장 참고문헌 478
표 1. 주요 노지 유기농 재배 지역 및 재배 작목 현황 17
표 2. 국내 유기농 토양 관련 연구 현황 20
표 3. 비점오염 저감 관련 정책과 연구 수행 내용 21
표 4. 농업분야 비점오염저감 추진 대책과 과제 23
표 5. 국외 유기농업 관련 연구 동향 29
표 6. 국가별 농경지 비점오염 관리 기법 30
표 7. 작물별 표준 시비량 34
표 8. 작물별 표준 시비량 36
표 9. 시험작물별 질소기준 표준시비량과 비료형태별 질소함량 37
표 10. 시험에 적용한 유기농자재의 이화학적 특성 37
표 11. 토양 내 질소순환과정 40
표 12/표 11. 연구 대상지 42
표 13/표 12. 토양 및 수질분석 방법 45
표 14/표 13. 1차년도 시험구 처리내역 49
표 15/표 14. 작물별 표준시비량 기준 49
표 16/표 15. 2차년도 밭 시험 처리구 시비량 50
표 17/표 16. 3차년도 밭 시험 처리구 시비량 52
표 18/표 17. 이화학적 특성 및 오염물질 분석 평가 방법 및 기기 54
표 19/표 18. 가축분 퇴비 중금속 함량 55
표 20/표 19. 가축분 퇴비 항생제 함량 55
표 21/표 20. 대상지역의 시험포장 구축 내용, 영농 및 모니터링 특성 56
표 22/표 21. 수질 분석 방법(MOE, 2003) 56
표 23/표 22. 토양 분석 방법(NAAS, 2010) 58
표 24/표 23. NIER 원단위 산정을 위한 강우 계급에 따른 모니터링 적정 횟수 61
표 25/표 24.국내 관행농경지 최적 환경관리 방안(BEMP) 사례 조사 분석표 78
표 26/표 25. 국외 관행농경지 최적 환경관리 방안 사례 조사 분석표 80
표 27/표 26. 토양 특성 85
표 28/표 27. 유기농업자재 (유기질비료) 시용 85
표 29/표 28. 유기농업자재 (식물보호제) 사용 현황 86
표 30/표 29. 제초작업 종류별 현황 86
표 31/표 30. 농가 벼 수확량 및 농기계 현황 86
표 32/표 31. 농기계별 연료 소모량 현황 86
표 33/표 32. 시험전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87
표 34/표 33. 사용 자재의 이화학적 특성 87
표 35/표 34. 밭 토양에서의 유거수 중 수질 농도 88
표 36/표 35. 밭 토양에서의 유거수 중 양이온 성분 88
표 37/표 36. 밭 토양에서의 유거수 중 음이온 성분 88
표 38/표 37. 시험 기간중 토양의 화학적 특성 90
표 39/표 38. 시험 전후 토양의 물리적 특성 변화 91
표 40/표 39. 시험 후 토양의 화학적 특성 91
표 41/표 40. 시험전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92
표 42/표 41. 사용 자재의 이화학적 특성 92
표 43/표 42. 시험 기간중 토양의 화학적 특성 92
표 44/표 43. 수확후 토양의 화학적 특성 94
표 45/표 44. 토양 시비 및 조절에 사용되는 물질(CODEX) 101
표 46/표 45. 폐기물 비료원료로 사용 시 중금속 허용 기준 103
표 47/표 46. 친환경 농업에 사용되는 농업 자재 103
표 48/표 47. 친환경 농업에 사용되는 농업 자재의 용도 분류 104
표 49/표 48. 친환경농어업법 시행규칙에 따른 유기농자재 허용물질 105
표 50/표 49. 친환경 농업에 사용되는 농업 자재의 필요 조건 105
표 51/표 50. 친환경 농산물 생산을 위한 농업 자재 기준 106
표 52/표 51. 농촌진흥청이 설정한 비료 조성 기준 및 품질 기준의 예 106
표 53/표 52. 개별 농장 단위로 자체 개발한 환경적으로 건전한 농업 자재의 특성 및 공급원 107
표 54/표 53. 산업에 의해 개발된 환경적으로 건전한 농업 자재의 특성과 공급원 108
표 55/표 54. 친환경농자재의 주요성분 함유량 108
표 56/표 55. 친환경농자재 원료별 특성 109
표 57/표 56. 농촌 진흥청 고시 유기 비료의 제조 및 품질 기준 110
표 58/표 57. 유기질비료 특성별 양분 조성 비율 111
표 59/표 58. 무기친환경농자재의 주요성분 함유량 111
표 60/표 59. 친환경무기농자재 원료 및 특성 112
표 61/표 60. 다양한 형태의 유기 비료 및 물질의 화학적 특성 113
표 62/표 61. 미정제 쌀 식초의 특성 113
표 63/표 62. 미정제 쌀 식초 및 와인에 함유된 아미노산의 종류와 양 113
표 64/표 63. 청정 쌀 식초에 함유된 무기물의 종류 및 양 114
표 65/표 64. 농업용 유기 농업 자재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114
표 66/표 65. 우리나라 지역별 작부체계 적용 작물 115
표 67/표 66. 재배빈도수에 따른 10개 작물 116
표 68/표 67. 지역별 작부체계 116
표 69/표 68. 작부체계에 적용되는 녹비작물의 종류 117
표 70/표 69. 노지 유기농 실시 농가 현황 예 117
표 71/표 70. 주요 노지 유기농 재배 지역 및 재배 작목 현황 118
표 72/표 71. 윤작 실천 유기재배 농가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118
표 73/표 72. 재배작물별 유기 농지의 토양 화학적 특성 119
표 74/표 73. 녹비작물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를 처리한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119
표 75/표 74. 영양소 균형을 계산 시 고려 요인 122
표 76/표 75. 토지 이용 제도(LUS)의 속성 및 내용 123
표 77/표 76. 토양 내 영양소 흐름을 관장하는 투입 및 출력 계수 123
표 78/표 77. 토지 이용 시스템별 광물질 비료(IN1) 산출 가중치 123
표 79/표 78. 생물학적 N 고정에 대한 비공생 N 고정 기여 비교 124
표 80/표 79. 강우량 및 점토함량에 따른 N, K 침투 비율 125
표 81/표 80. 토양/수분 별 탈질 126
표 82/표 81. 토양 비료 수준별 토양 양분 침식률 126
표 83/표 82. 양분수지 대조표(예) 128
표 84/표 83. 시설과 노지 재배 채소류별 표준시비량 설정 129
표 85/표 84. 유사작물군별 양분흡수량과 수량생산성 130
표 86/표 85. 채소작물별 3요소 표준시비량 설정 130
표 87/표 86. 일본 채소의 토양전기전도도와 토성별 비료시비권장량 131
표 88/표 87. 미국의 토성별 유기물 및 양이온치환용량, 기후에 따른 권장시비량 131
표 89/표 88. 작물별 관행과 유기재배간 수량생산성과 양분 수지 132
표 90/표 89. 작물별 비료 표준시비량 133
표 91/표 90. 유사작물군별 질소흡수량 기준 양분수지 134
표 92/표 91. 질소원 종류에 따른 질소 무기화율 135
표 93/표 92. 유기물의 분해율 135
표 94/표 93. 유기물 처리 함량별 총 질소함량과 토양 내 가용화 함량 환산표 136
표 95/표 94. 유기물내 질소함량과 질소가용화비율별 별 양분수지 136
표 96/표 95. 관행 농경지 고추 수량생산성과 질소 양분 수지 137
표 97/표 96. 양분수지 산정을 위한 작목별 처리 전 토양 특성과 양분 분포 138
표 98/표 97. 양분수지 산정을 위한 작목별 처리 후 토양 특성과 양분 분포 139
표 99/표 98. 양분수지 산정을 위한 작목별 처리 전 토양내 양분 분포 140
표 100/표 99. 양분수지 산정을 위한 작목별 처리 후 토양내 양분 분포 141
표 101/표 100. 표준시비량에 따른 비종과 작물별 양분수지(2016) 142
표 102/표 101. 비종과 작물별 양분 손실 비율 142
표 103/표 102. 투입량에 따른 비종과 작물별 손실율 143
표 104/표 103. 비종과 작물별 손실대 잔류량 특성 143
표 105/표 104. 투입량별 수용성과 치환성 양분 특성 144
표 106/표 105. 표준시비량에 따른 비종과 작물별 양분수지(2017) 144
표 107/표 106. 토양환경 내 질소형태 145
표 108/표 107. 연차별 질소의 무기화율 145
표 109/표 108. 유기질소의 무기화율 모델식 147
표 110/표 109. 토양수분함량에 따른 요소(60ppm N) 암모니아의 휘발 손실량 148
표 111/표 110. 토성별 질소 전환량 148
표 112/표 111. 모델 log (No-Nt) = log No-kt (Nt = cumulative N mineralized at time, t; k = mineralization rate constant)을 사용한 2주 후 토양 질소 전환 추정치 149
표 113/표 112. 토성별 질소전환량 비교 150
표 114/표 113. 토성 별 질소전환율 상수 151
표 115/표 114. 토양 용적밀도(BD)와 유기물농도(SOM) 간의 상관관계 모델 154
표 116/표 115. 관행과 퇴비 처리 토양 깊이별 토양화학성과 양분 분포 특성 156
표 117/표 116. 고추재배 포장 처리와 처리면적별 유거수량 162
표 118/표 117. 토성별 식물가용수분함량 164
표 119/표 118. 재배기간 및 기후변화에 따른 작물 성장 단계 변화 165
표 120/표 119. 작물 근권발달에 따른 토양수분 변화 166
표 121/표 120. 현장 작물 요구 수분함량 계산(예) 166
표 122/표 121. 작물별 수분요구량 168
표 123/표 122. 강우사상에 따른 유거특성과 중력수분함량 변화 168
표 124/표 123. 고랑형태에 따른 저수단면적, 침투면적, 안정성 및 작업성 169
표 125/표 124. 이랑 및 고랑구조에 따른 강우저장량 169
표 126/표 125. 이랑 및 고랑구조에 따른 유거특성 170
표 127/표 126. 이랑구조에 따른 수분 효율 171
표 128/표 127. 기비전 용인지역과 안성지역에서 관행논 및 유기논 표층토양의 이화학성 분석 179
표 129/표 128. 2016년 기비전 용인지역과 안성지역에서 관행논 및 유기논 심층토양의 이화학성 분석 181
표 130. 2016년 기비후 용인지역과 안성지역에서 관행논 및 유기논 표층토양의 이화학성 분석 183
표 131. 기비후 용인지역과 안성지역의 관행논 및 유기논의 심층토양 이화학성 184
표 132. 추비후 용인지역과 안성지역에서 관행논 및 유기논 표층토양의 이화학성 분석 186
표 133. 수확후 용인지역과 안성지역에서 관행논 및 유기논 표층토양의 이화학성 분석 188
표 134. 수확후 용인지역과 안성지역에서 관행논 및 유기논 심층토양의 이화학성 분석 190
표 135. 2017년 기비전 표층토양(0~15cm)의 물리화학적 특성 결과 192
표 136. 2017년 기비전 심층토양(15~30cm)의 물리화학적 특성 결과 193
표 137. 2017년 기비후 표층 토양(0~15cm)의 물리화학적 특성 결과 값 195
표 138. 2017년 추비후 표층 토양(0~15cm)의 물리화학적 특성 결과 값 197
표 139. 2017년 수확후 표층 토양(0~15cm)의 물리화학적 특성 결과 값 199
표 140. 2017년 기비전 표층토양(0~15cm) 특성 인자 간에 상관관계 분석 결과 199
표 141. 2017년 기비전 심층토양(15~30cm) 특성 인자 간에 상관관계 분석 결과 200
표 142. 2017년 기비후 표층 토양(0~15cm) 특성 인자 간에 상관관계 분석 결과 200
표 143. 2017년 추비후 표층 토양(0~15cm) 특성 인자 간에 상관관계 분석 결과 201
표 144. 유기논과 관행논에서 중금속의 평균 농도 204
표 145. 표층토양 및 심층토양 중금속 분석 205
표 146. 기비전 표층토양(0~15cm)의 중금속 분석 결과 207
표 147. 기비전 심층토양(15~30cm)의 중금속 분석 결과 208
표 148. 2016년 기비후 용인지역과 안성지역의 관행논 및 유기논의 수질 분석 및 유의성 검정 211
표 149. 추비후 용인지역과 안성지역의 관행논 및 유기논의 수질 분석 및 유의성 검증 212
표 150. 2017년 기비후 관행논과 유기논의 수질 특성 값 214
표 151. 2017년 추비후 관행논과 유기논의 수질 특성 값 214
표 152. 2017년 기비후 수질 특성 인자 간에 상관관계 분석 결과 215
표 153. 2017년 추비후 수질 특성 인자 간에 상관관계 분석 결과 216
표 154. 2016년 유기논과 관행논의 물수지 분석 216
표 155. 2015년 유기논과 관행논의 물질수지 분석 217
표 156. 2016년 유기논과 관행논의 물수지 분석 218
표 157. 시기별 농법과 지역에 따른 비료 종류 및 시비량 218
표 158. 2016년 유기논과 관행논의 물질수지 분석 219
표 159. 2017년 유기논과 관행논의 물수지 분석 220
표 160. 2017년 유기논과 관행논의 물질수지 분석 221
표 161. APEX-PADDY Modeling 결과 225
표 162/표 161. 질소 및 인 컬럼시험 결과 227
표 163/표 162. 경운방법에 따른 가비중 및 수량성 평가 229
표 164/표 163. 토양특성에 따른 경운과 무경운 감수심 변화 229
표 165/표 164. 생육시기별 물관리 방법 230
표 166/표 165. 작물체 내 중금속 원소 중 Pb 함량 239
표 167/표 166. 토양 내 항생제의 농도 239
표 168/표 167. 밭 토양 내 항생제 농도 252
표 169/표 168. 논토양 내 항생제 농도 253
표 170/표 169. 밭 토양 내 항생제 농도 261
표 171/표 170. 논토양 내 항생제 농도 262
표 172/표 171. 밭 토양 내 중금속 함량과 이화학적 특성과의 상관관계 276
표 173/표 172. 논토양 내 중금속 함량과 이화학적 특성과의 상관관계 276
표 174/표 173. 처리구별 전체 강우사상에 대한 수문분석 결과 280
표 175/표 174. 각 처리구별 물리화학적 토양 특성 분석 결과 282
표 176/표 175. 대표 강우사상에 대한 수질 모니터링 결과 284
표 177/표 176. NIER 방법에 따른 강우계급별 밭에서의 유출률 및 모니터링 횟수 285
표 178/표 177. 강우계급에 따른 각 처리구별 EMCx, EMCy 그리고 EMCz의 산정 결과 286
표 179/표 178. 강우계급에 따른 각 처리구별 수질농도의 원단위 산정 결과 287
표 180/표 179. 다양한 원단위 산정 방법에 따른 각 처리구별 수질농도의 원단위 결과 비교 287
표 181/표 180. NIER 방법에 따른 강우계급별 논 처리구의 유출률 및 모니터링 횟수 290
표 182/표 181. 다양한 원단위 산정방법에 따른 논 처리구별 수질농도에 대한 원단위 분석 결과 비교 291
표 183/표 182. 지표피복재 적용에 따른 오염부하량 및 저감률 비교(Shin et al., 2014) 294
표 184/표 183. 초생대 적용에 따른 오염부하량 및 저감비율 비교(Lee et al,. 2015) 294
표 185/표 184. 식생밭두렁 적용에 따른 오염부하량 저감비율 비교(Kim and Kim, 2015) 295
표 186/표 185. 장기간의 과거 기상자료를 이용한 논에서의 BMP 적용 효과 모델링 결과 비교(Song et al., 2017) 298
표 187/표 186. APEX 모델의 영농활동에 대한 입력자료 형식 299
표 188/표 187. APEX 모델의 기상자료에 대한 입력자료 형식 300
표 189/표 188. APEX 모델의 토양에 대한 입력자료 형식 301
표 190/표 189. APEX 모델의 수문 매개변수 선정 및 보정 결과 303
표 191/표 190. APEX 모델의 수질 매개변수 선정 및 보정 결과 303
표 192/표 190. 각 처리구에 대한 월별 실측 및 모의 유출량에 대한 비교 결과 304
표 193/표 191. 각 처리구별 수문ㆍ수질에 대한 모형의 적합성 평가 결과 306
표 194/표 192. 모니터링 기간의 각 처리구별 유출량 통계 308
표 195/표 193. 각 처리구별 수문ㆍ수질에 대한 모형의 적합성 평가 결과 310
표 196/표 194. 1년차 목별, 그룹별 분류 분석결과 316
표 197/표 195. 2년차 목별, 그룹별 분류 분석결과 316
표 198/표 196. 3년차 목별, 그룹별 분류 분석결과 317
표 199/표 197. Collected basis data of the farms for paddy rice production 410
표 200/표 198. Default CH4 baseline emission factor 412
표 201/표 199. Scaling factor SFw for aerations during cultivation period 412
표 202/표 200. Scaling factor SFp for flooding pre-season 413
표 203/표 201. Conversion factors of organic amendments for the calculation of the scaling factor SFo 413
표 204/표 202. Default N2O emission factor for managed soils 414
표 205/표 203. Basic information on assessed farm, soil properties, and planting history 415
표 206/표 204. Processes in the seedling preparation section of the FARM model for organic paddy rice assessment in South Korea 417
표 207/표 205. Processes in the field preparation section of the FARM model for organic paddy rice production in South Korea 418
표 208/표 206. Processes used for the planting and plant protections section of the FARM model for organic paddy rice production in South Korea 419
표 209/표 207. Global warming potentials (GWP) per kg rice and per ha expressed as CO2-eq. for the organic farms 460
표 210/표 208. Sensitivity analysis of the effect of oil cake as organic amendment 461
표 211/표 209. Global warming potentials (GWP) per kg rice and per hae xpressed as CO2-eq. for the non-organic farms 462
표 212/표 210. Comparison of direct methane emissions from paddy fields on national levels for selected countries(FAOSTAT 2017) 462
그림 1. 토양개량(객토)에 의한 토양 안정성 저하(좌)와 농경지로부터 오탁수 유출(우) 24
그림 2. 유거 및 침식 측정 시스템 모식도(2016년) 33
그림 3. 토양 유실 측정용 트렌치와 수분포텐셜 측정 센서 설치 34
그림 4.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내 농업연구시험포장 전경과 토양단면 특성 35
그림 5. 관행포장 양분 및 토양 유실 측정용 트렌치 사진(대전시 유성구 송정동 소재 시험포장) 35
그림 6. 시험포장 처리구와 처리구 배치도와 유거측정 장치 설치 사진 36
그림 7. 토양내 양분이동 특성 조사 lysimeter와 현장 설치 사진 38
그림 8.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내 농업연구시험포장 38
그림 9. 양분 및 토양 유실 측정용 트렌치 설치 장면(충남대학교 시험포장) 39
그림 10. 현장 용출수 포집(지중 라이시미터) 및 수분포텐셜 측정 센서 설치 39
그림 11. 가축분뇨 처리별 토양 용출수 특성 조사 실험 40
그림 12. 유거 및 침식 측정 시스템 모식도 40
그림 13. 유거와 침식 특성조사 장치 규격 41
그림 14.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내 농업연구시험포장 전경과 토양단면 특성 41
그림 15. 강우수확법과 마디고량 모식도 41
그림 16. 유거와 침식방지 강우수확법과 마디고랑 시험포장 전경 42
그림 17. 연구대상지 42
그림 18. 대상지 재배작부 체계 43
그림 19. 토양 Sampling 43
그림 20. 토양 시료 건조 및 분쇄, 전처리 44
그림 21. 토양 화학분석 전처리 및 pH, EC 측정 44
그림 22/그림 19. 통계프로그램(SAS 9.4)을 활용한 통계분석 45
그림 23/그림 19. 유입수 및 침투량 측정을 위한 유량계, 침투계 설치 46
그림 24/그림 20. ET0 프로그램을 활용한 증발산량 산정 47
그림 25/그림 21. 유출량 및 유출시료채취를 위한 Weir 및 오토샘플러 설치 47
그림 26/그림 22. Weir를 통한 강우유출량 측정 48
그림 27/그림 23. 불교란 시료 채취 및 컬럼 장치 설치 48
그림 28/그림 24. 1차년도 충남대학교 시험 처리구 모식도 49
그림 29/그림 25. 2차년도 충남대학교 시험 처리구 모식도 51
그림 30/그림 26. 3차년도 충남대학교 시험 처리구 모식도 52
그림 31/그림 27. 녹비작물 파종 및 환원을 위한 경운(A, B: 녹비작물 파종, C: 경운) 53
그림 32/그림 28. 충남대 농업연구시험포장에 처리구 설치(A: 시비, B: 멀칭, C: 정식) 53
그림 33/그림 29. 충남대 농업연구시험 포장에 처리구 6월(A: 고추, B: 양배추, C: 옥수수) 53
그림 34/그림 30. 충남대 농업연구시험포장에 처리구 9월(A: 고추, B: 양배추, C: 옥수수) 53
그림 35/그림 31. 항생물질 추출방법(A: SPE, B: 질소농축기, C: HPLC/MS/MS) 54
그림 36/그림 32.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제시한 원단위 산정 방법(NIER, 2012) 62
그림 37/그림 33. APEX 모델의 구성(Taxas A & M, 2016) 63
그림 38/그림 34. 수문ㆍ수질 모의를 위한 APEX 모형의 구성(APEX0806 theory by RDA, 2016) 64
그림 39/그림 35. APEX 모델의 입력자료 및 데이터베이스(APEX user's manual version 0806, 2013) 65
그림 40/그림 36. 논 환경의 수문ㆍ수질 특성을 고려한 APEX-Paddy 모델의 주요 알고리즘(Choi, 2017) 69
그림 41/그림 37. VFSMOD-W 모델의 알고리즘과 모형의 구성(Lee et al., 2014) 72
그림 42/그림 38. 밭의 규모별, 형상별 그리고 강우사상별에 따른 유사 저감 효과(Lee et al., 2014) 73
그림 43/그림 39. CREAMS 모델의 입력자료 및 구성(Seo and Kim, 2002) 74
그림 44/그림 40. CREAMS-Paddy 모델의 구성(Seo and Kim, 2002) 74
그림 45/그림 41. 각 시나리오에 따른 논에서의 T-N 및 T-P의 오염부하량(1981-2010)(Song et al., 2012) 75
그림 46/그림 42. 곤충의 조사 방법(A: 말레이즈트랩채집, B: 라이트트랩 채집, C: 육안채집) 76
그림 47/그림 43. Braun-Branquet 방법에 의한 우점도 판정 방법 76
그림 48/그림 44. iron bag 적용 사례 79
그림 49/그림 45. 밭 토양에서의 깊이별 수분 함량 변화 90
그림 50/그림 46. 매뉴얼의 표지(위)와 목차(아래) 95
그림 51/그림 47. 작부체계 적용 재배작물의 재배한계선과 가능 작부체계 115
그림 52/그림 48. 작부체계 설정에 따른 토양과 물관리 모형 120
그림 53/그림 49. 질소 순환. 회색 화살표는 N의 유입을 나타내고 검은색 화살표는 N개의 유출을 의미 121
그림 54/그림 50. 토양 표면 N균형의 주요 요소들(OECD, 2001a) 121
그림 55/그림 51. 시스템 내에서 양분의 유입과 유출 흐름 모식도 122
그림 56/그림 52. 작물별 질소 균형 수지 127
그림 57/그림 53. 유기물 분해와 축적 및 축적된 유기물의 연간 분해 상관관계 134
그림 58/그림 54. 토양 내 생분뇨처리 후 유기태 질소의 무기화율 146
그림 59/그림 55. 토양 내 액비처리 후 시간경과에 따른 토성별 질소 무기화 148
그림 60/그림 56. 미사질양토에 처리된 퇴비의 질소 무기화 비율과 전환양 148
그림 61/그림 57. 순질소 무기화율(Net-Nm)과 NSOS와의 상관관계 149
그림 62/그림 58. 시간경과에 따른 토양내 NO₃-N의 누적량 149
그림 63/그림 59. 시간에 따른 토성 별 질소전환량 비교 151
그림 64/그림 60. 돈분 액비 처리 후 산화질소, 암모늄, 질산이온 변화(8월 10일 처리 후 2주) 152
그림 65/그림 61. 돈분 액비 처리 후 산화질소, 암모늄, 질산이온 변화(9월 20일-10월 30일) 152
그림 66/그림 62. 식(N = N0exp(-kt))을 이용하여 질소무기화율이 각각 다른 토양에 돈분액비를 처리한 토양에 남아 있는 질소함량 변화 152
그림 67/그림 63. 토양내 돈분액비 처리 후 온도조건(30-35℃)에 따른 무기질소 형태별 함량변화 153
그림 68/그림 64. 토양내 돈분액비 처리 후 온도조건(25-27℃)에 따른 무기질소 형태별 함량변화(9월20일~10월30일) 153
그림 69/그림 65. 토양 용적밀도와 토양 유기물 함량 분포 모델 154
그림 70/그림 66. 토성별 토양 유기물함량에 따른 입단형성 상관관계 155
그림 71/그림 67. 토양 유기물 회화에 따른 유기탄소량 155
그림 72/그림 68. 시비형태에 따른 토양수분모니터링(고추) 157
그림 73/그림 69. 시비형태에 따른 토양 EC모니터링(고추) 157
그림 74/그림 70. 시비형태에 따른 토양수분모니터링(양배추) 158
그림 75/그림 71. 시비형태에 따른 토양 EC모니터링(양배추) 158
그림 76/그림 72. 시비형태에 따른 토양수분모니터링(옥수수) 159
그림 77/그림 73. 시비형태에 따른 토양 EC모니터링(옥수수) 159
그림 78/그림 74. 관행 포장 일일 강수량 및 누적강수량(2015년 5월~8월) 160
그림 79/그림 75. 시험포장 월별 강수량 160
그림 80/그림 76. 시험포장 월일별 강수량 160
그림 81/그림 77. 고랑과 이랑사이의 강수분포(2015년 7월 29일) 161
그림 82/그림 78. 밭고랑 사이의 강수분포 비율(2015년 7월 29일) 161
그림 83/그림 79. 포화 토양 컬럼 깊이별 침투속도 161
그림 84/그림 80. 시간 경과에 따른 사질토의 침투 속도 161
그림 85/그림 81. 양질사토에 퇴비처리 비율에 따른 토양수분침투속도 162
그림 86/그림 82. 양질사토 내 액비처리에 따른 토양 침투속도 162
그림 87/그림 83. 액비처리 후 포화수리전도도 변화 163
그림 88/그림 84. 액비처리 후 수리전도도 변화 163
그림 89/그림 85. 시비형태에 따른 밭토양 토양수분특성곡선(FS: Farm land Soil) 163
그림 90/그림 86. 시비형태별 밭토양 토양수분보유 특성 곡선 164
그림 91/그림 87. 유기물함량에 따른 토양부피수분함량 164
그림 92/그림 88. 작물의 생육단계별 증발산과 작물계수 165
그림 93/그림 89. 강수수확법 담수용 고랑의 형태 169
그림 94/그림 90. 강우수확 방식 이랑구조(water(rainfall)harvesting method)(예시) 170
그림 95/그림 91. 입도 분석 및 토성 분류 171
그림 96/그림 92. 유기논(녹색)과 관행논(황색)의 표층(0-15cm) 토양에서 (a) 건조밀도, (b) pH, (c) EC, (d) 유기물함량 172
그림 97/그림 93. 유기논(녹색)과 관행논(황색)의 표층(0-15cm) 토양에서 (a) T-P, (b) P₂O5, (c) T-N, (d) NH₄-N, (e) NO₃-N 174
그림 98/그림 94. 유기논(녹색)과 관행논(황색)의 심층(15-30cm) 토양에서 (a) 건조밀도, (b) pH, (c) EC, (d) 유기물함량 175
그림 99/그림 95. 유기논(녹색)과 관행논(황색)의 심층(15-30cm) 토양에서 (a) T-P, (b) P₂O5, (c) T-N, (d) NH₄-N, (e) NO₃-N 176
그림 100/그림 96. 시비에 따른 유기논 및 관행논에서 토양의 T-P, P₂O5, PO₄-P 함량 비교분석 177
그림 101/그림 97. 시비에 따른 유기논 및 관행논에서 토양의 (a) T-N, (b) NH₄-N, (c) NO₃-N 함량 비교분석 178
그림 102/그림 98. 기비전 용인지역과 안성지역의 관행논 및 유기논의 표층토양의 이화학성 비교 (a) Water content, (b) Organic matter, (c) T-N, (d) NH₃-N, (e) T-P, (f) P₂O5 180
그림 103/그림 99. 2016년 기비전 용인지역과 안성지역의 관행논 및 유기논의 표층토양의 이화학성 비교 (a) Water content, (b) Organic matter, (c) T-N, (d) T-P, (e) P₂O5 182
그림 104/그림 101. 기비후 용인지역과 안성지역의 관행논 및 유기논의 심층토양의 이화학성 비교 (a) Water content, (b) Organic matter, (c) T-P, (d) T-N 185
그림 105/그림 102. 2016년 기비후 용인지역과 안성지역의 관행논 및 유기논의 표층토양의 이화학성 비교 (a) T-P, (b) P₂O5, (c) T-N, (d) NO₃-N 185
그림 106/그림 103. 추비후 용인지역과 안성지역의 관행논 및 유기논의 표층토양의 이화학성 비교 (a) Water content, (b) pH, (c) NO₃-N, (d) P₂O5 187
그림 107/그림 104. 2016년 수확후 용인지역과 안성지역의 관행논 및 유기논의 표층토양의 이화학성 비교 (a) Water content, (b) pH, (c) EC, (d) Organic matter 188
그림 108/그림 105. 2016년 수확후 용인지역과 안성지역의 관행논 및 유기논의 표층토양의 화학성 비교 (a) T-N, (b) NH₄-N, (c) NO₃-N, (d) T-P, (e) P₂O5 189
그림 109/그림 106. 수확후 용인지역과 안성지역의 관행논 및 유기논의 심층토양의 이화학성 비교 (a) Water content, (b) pH, (c) EC, (d) Organic matter 190
그림 110/그림 107. 수확후 용인지역과 안성지역의 관행논 및 유기논의 심층토양의 화학성 비교 (a) T-N, (b) NH₄-N, (c) NO₃-N, (d) T-P, (e) P₂O5 191
그림 111/그림 108. 2017년 기비전 표층토양 (0~15cm) 특성 비교 분석 (a) Electric conductivity, (b) Organic matter, (c) T-P, (d) P₂O5 192
그림 112/그림 109. 2017년 기비전 심층토양 (15~30cm) 특성 비교 분석 (a) Water content, (b) Electric conductivity, (c) Organic matter, (d) T-P, (e) P₂O5 194
그림 113/그림 110. 2017년 기비후 표층토양(0~15cm) 특성 비교 분석 (a) Water content, (b) pH, (c) Electric conductivity, (d) Organic matter, (e) T-N, (f) NH₃-N, (g) T-P, (h) P₂O5 196
그림 114/그림 111. 2017년 추비후 표층토양(0~15cm) 특성 비교 분석 (a) pH, (b) Electric conductivity, (c) T-P, (d) P₂O5 198
그림 115/그림 112. 유기논(녹색)과 관행논(황색)의 표층(0-15cm) 토양에서 (a) As, (b) Cd, (c) Cr, (d) Ni, (e) Pb, (f) Zn 농도 202
그림 116/그림 113. 유기논(녹색)과 관행논(황색)의 심층(15-30cm) 토양에서 (a) As, (b) Cd, (c) Cr, (d) Ni, (e) Pb, (f) Zn 농도 203
그림 117/그림 114. 용인지역과 안성지역의 관행논 및 유기논의 중금속 함량 비교 As (a & b), Pb (c & d), Zn(e & f) 206
그림 118/그림 115. 기비전 표층토양(0~15cm) 중금속함량 비교 분석 (a) Zn, (b) As 207
그림 119/그림 116. 기비전 심층토양(15~30cm) 중금속함량 비교 분석 (a) Zn, (b) Ni 208
그림 120/그림 117. 시비시기에 따른 수질의 (a) BOD, (b) COD, (c) T-N, (d) T-P, (e) NO₃-N, (f) PO₄-P, (g) NH₃-N, (h) SS 함량 비교분석 209
그림 121/그림 118. 2016년 기비후 용인지역과 안성지역의 관행논 및 유기논의 수질 특성 비교 (a) pH, (b) EC, (c) COD, (d) T-N, (e) T-P, (f) PO₄-P 211
그림 122/그림 119. 2016년 추비후 용인지역과 안성지역의 관행논 및 유기논의 수질특성 비교 (a) pH, (b) EC, (c) T-N, (d) NO₃-N 213
그림 123/그림 120. 유기농 및 관행논 강우유출에 따른 부하량 산정 (a) 유기농(7/24~25), (b) 유기농(7/29~7/30), (c) 관행농(7/24~25), (d) 관행농(7/29~7/30) 222
그림 124/그림 121. 유기논 및 관행논 강우유출에 따른 부하량 산정 (a) 유기논A (2016/7/4.~7/5), (b) 유기논B(2016/7/4~7/5), (c) 유기논A-2 (2016/7/29~7/30), (d) 유기논B-2 (2016/7/29... 223
그림 125/그림 122. 관행논과 유기논의 강우이벤트에 따른 강우 및 유출특성과 오염부하 224
그림 126/그림 123. APEX-PADDY Model 유출 모의치와 실측치 결과 비교(2016, 관행논) 225
그림 127/그림 124. APEX-PADDY Model 유출 모의치와 실측치 결과 비교(2016-2017, 유기논) 226
그림 128/그림 125. 컬럼제작 및 분석 226
그림 129/그림 126. 질소 및 인 거동특성 비교 228
그림 130/그림 127. 관행논과 유기논에서 시기에 따른 질소 및 인 함량 비교 234
그림 131/그림 128. 고추 재배지에 대한 일반분석 결과(A: pH; B: Electronic Conductivity; C: Soil Organic matter; D: Availability P₂O5) 235
그림 132/그림 129. 양배추 재배지에 대한 일반분석 결과(A: pH; B: Electronic Conductivity; C: Soil Organic matter; D: Availability P₂O5) 236
그림 133/그림 130. 논토양 일반 분석 결과(A: pH; B: Electronic Conductivity; C: Soil Organic matter; D: Availability P₂O5) 237
그림 134/그림 131. 작물 재배 시기별 밭 토양 내 중금속 농도 변화(A: 고추 5월, B: 고추 9월, C: 양배추 5월, D: 양배추 9월) 238
그림 135/그림 132. 작물 재배 시기별 논토양 내 중금속 농도 변화(A: 논 5월, B: 논 9월) 238
그림 136/그림 133. 고추 작물 재배 처리구에 대한 일반분석 5월, 8월 비교: 표토(A: pH, B: 전기전도도, C: 유기물, D: 유효인산, E: 양이온치환용량(CEC)) 241
그림 137/그림 134. 고추 작물 재배 처리구에 대한 일반분석 5월, 8월 비교: 심토(A: pH, B: 전기전도도, C: 유기물, D: 유효인산, E: 양이온치환용량(CEC)) 242
그림 138/그림 135. 양배추 작물 재배 처리구에 대한 일반분석 5월, 8월 비교: 표토(A: pH, B: 전기전도도, C: 유기물, D: 유효인산, E: 양이온치환용량(CEC)) 243
그림 139/그림 136. 양배추 작물 재배 처리구에 대한 일반분석 5월, 8월 비교: 심토(A: pH, B: 전기전도도, C: 유기물, D: 유효인산, E: 양이온치환용량(CEC)) 244
그림 140/그림 137. 옥수수 작물 재배 처리구에 대한 일반분석 5월, 8월 비교: 표토(A: pH, B: 전기전도도, C: 유기물, D: 유효인산, E: 양이온치환용량(CEC)) 245
그림 141/그림 138. 옥수수 작물 재배 처리구에 대한 일반분석 5월, 8월 비교: 심토(A: pH, B: 전기전도도, C: 유기물, D: 유효인산, E: 양이온치환용량(CEC)) 246
그림 142/그림 139. 벼 작물 재배 처리구에 대한 일반분석 6월, 9월 비교: 표토 (A: pH, B: 전기전도도, C: 유기물, D: 유효인산, E: 양이온치환용량(CEC)) 248
그림 143/그림 140. 벼 작물 재배 처리구에 대한 일반분석 6월, 9월 비교: 심토(A: pH, B: 전기전도도, C: 유기물, D: 유효인산, E: 양이온치환용량(CEC)) 249
그림 144/그림 141. 작물 재배 시기별 밭 토양 내 중금속 농도 변화(A: 고추 5월, B: 고추 8월, C: 양배추 5월, D: 양배추 8월, E: 옥수수 5월, F: 옥수수 8월) 251
그림 145/그림 142. 작물 재배 시기별 논 토양 내 중금속 농도 변화(A: 논 6월, B: 논 9월) 252
그림 146/그림 143. 고추 작물 재배 처리구에 대한 일반분석 5월, 9월 비교: 표토(A: pH, B: 전기전도도, C: 유기물, D: 유효인산, E: 양이온치환용량(CEC)) 254
그림 147/그림 144. 고추 작물 재배 처리구에 대한 일반분석 5월, 9월 비교: 심토(A: pH, B: 전기전도도, C: 유기물, D: 유효인산, E: 양이온치환용량(CEC)) 255
그림 148/그림 145. 양배추 작물 재배 처리구에 대한 일반분석 5월, 9월 비교: 표토(A: pH, B: 전기전도도, C: 유기물, D: 유효인산, E: 양이온치환용량(CEC)) 256
그림 149/그림 146. 양배추 작물 재배 처리구에 대한일 반분석 5월, 9월 비교: 심토(A: pH, B: 전기전도도, C: 유기물, D: 유효인산, E: 양이온치환용량(CEC)) 257
그림 150/그림 147. 옥수수 작물 재배 처리구에 대한 일반분석 5월, 9월 비교: 표토(A: pH, B: 전기전도도, C: 유기물, D: 유효인산, E: 양이온치환용량(CEC)) 258
그림 151/그림 148. 옥수수 작물 재배 처리구에 대한 일반분석 5월, 9월 비교: 심토(A: pH, B: 전기전도도, C: 유기물, D: 유효인산, E: 양이온치환용량(CEC)) 259
그림 152/그림 149. 작물 재배 시기별 밭 토양 내 중금속 농도 변화(A: 고추 5월, B: 고추 9월, C: 양배추 5월, D: 양배추 9월, E: 옥수수 5월, F: 옥수수 9월) 260
그림 153/그림 150. 작물 재배 시기별 논 토양 내 중금속 농도 변화(A: 논 3월, B: 논 9월) 261
그림 154/그림 151. 고추 작물 재배 처리구에 대한 연차별 일반분석 비교(A: pH, B: 전기전도도, C: 유기물, D: 유효인산, E: 양이온치환용량(CEC)) 263
그림 155/그림 152. 양배추 작물 재배 처리구에 대한 연차별 일반분석 비교(A: pH, B: 전기전도도, C: 유기물, D: 유효인산, E: 양이온치환용량(CEC)) 264
그림 156/그림 153. 옥수수 작물 재배 처리구에 대한 연차별 일반분석 비교(A: pH, B: 전기전도도, C: 유기물, D: 유효인산, E: 양이온치환용량(CEC)) 265
그림 157/그림 154. 논토양에 대한 연차별 일반분석 비교(A: pH, B: 전기전도도, C: 유기물, D: 유효인산, E: 양이온치환용량(CEC)) 266
그림 158/그림 155. 고추 작물 재배 처리구에 대한 연차별 중금속 농도 비교(A: Arsenic, B: Cadmium, C: Chromium, D: Cooper) 267
그림 159/그림 156. 고추 작물 재배 처리구에 대한 연차별 중금속 농도 비교(A: Nickel, B: Lead, C: Zinc) 268
그림 160/그림 157. 양배추 작물 재배 처리구에 대한 연차별 중금속 농도 비교(A: Arsenic, B: Cadmium, C: Chromium, D: Cooper) 269
그림 161/그림 158. 양배추 작물 재배 처리구에 대한 연차별 중금속 농도 비교(A: Nickel, B: Lead, C: Zinc) 270
그림 162/그림 159. 옥수수 작물 재배 처리구에 대한 연차별 중금속 농도 비교(A: Arsenic, B: Cadmium, C: Chromium, D: Cooper) 271
그림 163/그림 160. 옥수수 작물 재배 처리구에 대한 연차별 중금속 농도 비교(A: Nickel, B: Lead, C: Zinc) 272
그림 164/그림 161. 논토양에 대한 연차별 중금속 농도 비교(A: Arsenic, B: Cadmium, C: Chromium, D: Cooper) 273
그림 165/그림 162. 논토양에 대한 연차별 중금속 농도 비교(A: Nickel, B: Lead, C: Zinc) 274
그림 166/그림 163. 토양 내 중금속 함량과 작물체 내 중금속 함량의 상관관계(A: 밭, B: 논) 275
그림 167/그림 164. 대상지역의 시험포장 위치 및 모니터링 장비 구축 모식도 277
그림 168/그림 165. 시험포장에 적용한 유기질 비료 278
그림 169/그림 166. 모니터링 기간의 생육시기별 시험포장의 전경 278
그림 170/그림 167. 모니터링 기간 동안 시험포장에서 발생한 강우-유출 관계 비교 279
그림 171/그림 168. 각 처리구별 강우사상에 대한 강우-유출 관계 비교 281
그림 172/그림 169. 각 처리구별 강우사상에 따른 수질농도 비교 282
그림 173/그림 170. 모니터링 기간의 각 처리구별 수질농도에 대한 박스도표 분석(A: 처리구, B: 대조구) 283
그림 174/그림 171. 각 처리구별 수질농도에 대한 유출부하량 비교 284
그림 175/그림 172. 다양한 원단위 산정방법에 따른 각 처리구별 T-N, T-P의 원단위 분석 결과 비교(M1: 연평균; M2: 산술평균 및 유출률 이용방법; M3: 확률분포 이용방법; M4:... 289
그림 176/그림 173. 지표피복재(볏짚거적) 적용 사례(Shin et al., 2014) 293
그림 177/그림 174. 초생대 적용 사례(Lee et al. 2015) 295
그림 178/그림 175. 식생밭두렁 적용 사례(Kim and Kim, 2015) 295
그림 179/그림 176. 비료 종류에 따른 수질농도별 유출부하량 비교(전북대, 2014) 296
그림 180/그림 177. 논에서의 수질개선을 위한 최적관리기법(BMP) 개발 사례(RRI, 2014) 297
그림 181/그림 178. APEX 모델의 영농활동 입력자료 예시 298
그림 182/그림 179. APEX 모델의 기상 데이터베이스 입력자료 예시 300
그림 183/그림 180. APEX 모델의 토양 데이터베이스 입력자료 예시 301
그림 184/그림 182. APEX 모델의 시험포장 입력자료 예시 302
그림 185/그림 183. APEX 모델을 이용한 각 처리구별 실측 및 모의 유출량 비교 결과 303
그림 186/그림 184. 각 처리구별 일 유출량에 대한 실측 및 모의 1:1 상관관계 비교 305
그림 187/그림 185. 각 처리구별 T-N 부하량에 대한 실측 및 모의 1:1 상관관계 비교 305
그림 188/그림 186. APEX 모형을 이용한 30년 동안의 토지피복(A: 유기농, B: 대조구)에 따른 유출량 및 T-N 부하량 모의결과 비교 306
그림 189/그림 187. APEX 모형을 이용한 30년 동안의 생육단계별 유출량 모의결과 비교 307
그림 190/그림 188. APEX 모형을 이용한 30년 동안의 생육단계별 T-N 부하량 모의결과 비교 308
그림 191/그림 189. APEX 모형을 이용한 30년 동안의 토성별 특성에 따른 T-N 부하량 모의결과 비교 309
그림 192/그림 190. APEX 모형을 이용한 30년 동안의 물꼬높이(50-150mm)별 각 처리구의 유출량 모의결과 비교 310
그림 193/그림 191. APEX 모형을 이용한 30년 동안의 물꼬높이(50-150mm)별 각 처리구의 T-N 부하량 모의결과 비교 311
그림 194/그림 192. APEX 모형을 이용한 30년 동안의 액비시용 단계별 각 처리구의 T-N 부하량 모의결과 비교 312
그림 195/그림 193. 유기농 논에 우점한 물피 313
그림 196. Thünen 기준선 2013-2023에 대한 Thünen 모델 네트워크 모델의 도입 401
그림 197. MAGNET 모델의 모식도(왼쪽)와 경지 할당 사례(오른쪽) 402
그림 198. AGMEMOD 모델의 모식도 403
그림 199. RAUMIS 모델의 모식도 405
그림 200. 확장형 FARMIS 모델의 모식도(Offermann et al., 2005) 406
그림 201. TYPICROP 모델의 모식도 407
그림 202. CAPRI 모델의 모식도 408
그림 203. FARM 모델의 예 409
그림 204. Overview of the FARM model (Flow Analysis and Resource Management) for organic paddy rice production in South Korea 416
그림 205. Sensitivity of GHG emissions per kg rice for the use of mineral fertilizer. The factors are incorporation of rice straw vs no incorporation of rice straw, a single aeration of the paddy field during... 464
그림 206. Sensitivity of GHG emissions per kg rice for the use of compost. The factors are incorporation of rice straw vs no incorporation of rice straw, a single aeration of the paddy field during flooding... 464
그림 207. Sensitivity of GHG emissions per kg rice for the use of oil cake. The factors are incorporation of rice straw vs no incorporation of rice straw, a single aeration of the paddy field during flooding... 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