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국문목차

표제지 = 0,1,1

논문개요 = I,2,4

목차 = V,6,4

표 및 도목차 = IX,10,1

제1장 서론 = 1,11,1

제1절 연구의 목적 = 1,11,3

제2절 연구의 범위 = 3,13,2

제3절 연구의 방법 = 4,14,1

제2장 상사중재의 의의 및 특징 = 5,15,1

제1절 상사중재의 의의 = 5,15,1

제2절 상사중재와 유사개념 = 6,16,1

1. 조정 = 6,16,1

2. 화해 = 7,17,1

3. 알선 = 7,17,2

제3절 상사중재의 특징 = 8,18,1

1. 양당사자의 합의 = 8,18,1

2. 중재의 대상 = 9,19,1

3. 재판권의 배제 = 9,19,2

4. 중재인의 자격 = 10,20,1

5. 중재판정의 규준 = 10,20,2

6. 중재심리의 비공개 = 12,22,1

7. 단심제도 = 12,22,2

8. 준거법 = 13,23,4

9. 중재판정의 효력 = 16,26,3

제3장 상사중재제도의 발전과 주요국의 상사중재제도 = 19,29,1

제1절 상사중재제도의 발전 = 19,29,4

제2절 주요국의 상사중재제도 = 23,33,1

1. 영국 = 23,33,3

2. 미국 = 25,35,4

3. 프랑스 = 28,38,2

4. 이탈리아 = 29,39,4

5. 독일 = 32,42,2

6. 일본 = 33,43,3

제4장 국제상사중재제도의 확립을 위한 상사중재제도의 통일화운동 = 36,46,8

제5장 한국의 상사중재제도 = 44,54,1

제1절 한국상사중재제도의 발달과정 = 44,54,4

제2절 한국상사중재제도의 특성 = 47,57,1

1. 한국의 상사중재법제 = 47,57,2

2. 한국상사 중재제도의 기능 = 48,58,4

제3절 대한상사중재원 및 그 업무처리 현황 = 51,61,1

1. 대한상사중재원 = 51,61,4

2. 업무처리 현황 = 55,65,2

제4절 한국상사중재제도와 국제협약 = 57,67,1

1. 다수국간 국제협약 = 57,67,4

2. 이국간 쌍무협정 = 60,70,6

제5절 한국상사중재법규와 중재절차 = 65,75,1

1. 상사중재법규의 개요 = 65,75,3

2. 상사중재절차 = 67,77,4

제6절 한국상사중재제도와 ICC중재제도 및 UNCITRAL중재법규와의 비교 = 71,81,1

1. 중재합의 = 71,81,2

2. 중재합의와 직소금지 = 72,82,1

3. 중재인 = 73,83,3

4. 적용범위 = 75,85,2

5. 중재심문 = 76,86,2

6. 중재지 = 77,87,1

7. 중재판정 = 77,87,2

제6장 한국상사중재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79,89,7

제7장 결론 = 86,96,2

참고문헌 = 88,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