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Ⅰ. 序論 9

A. 硏究의 必要性 9

B. 硏究의 目的 12

C. 硏究의 意義 및 制限點 13

1. 意義 13

2. 制限點 13

D. 用語의 定義 14

① 意思疏通과 意思疏通程度 14

② 組織獻身度 14

Ⅱ. 理論的 背景 16

A. 意思疏通 理論 16

1. 意思疏通의 槪念 16

2. 意思疏通의 重要性 19

3. 意思疏通의 一般化 20

4. 意思疏通의 過程模型 22

a. 세논-웨버(Claude E. Shannon and Warren Weaver)의 모형 23

b. 벌로(Leavid K. Berlo)의 모형 23

c. 그리피스 (Francis Griffith)의 모형 24

d. 호이(Wayne K. Hoy)와 미스켈(Cecil G. Miskel)의 모형 25

5. 意思疏通의 原則 27

6. 意思疏通의 模型 29

a. 徑路의 性格에 따른 分類 29

b. 方向에 따른 分類 31

c. 傳達 媒體에 따른 分類 33

7. 意思疏通의 障碍要因과 改善 35

a. 意思疏通의 障碍要因 35

b. 意思疏通의 改善 36

8. 效果的인 意思疏通의 方法 38

9. 意思疏通의 測定 道具 40

a. 意思疏通의 操作的 定義 40

b. 內容別 意思疏通의 下位變因 41

c. 方向別 意思疏通의 下位變因 41

B. 組織獻身度 理論 42

1. 組織獻身의 槪念 43

2. 組織獻身의 基礎理論 45

a. 古典的 硏究 46

b. 現代理論 46

3. 組織獻身性의 類型 48

a. 에치오니의 分類 48

b. 칸터의 分類 49

c. 스토우와 샐런식의 分類 49

d. 부캐넌 Ⅱ세의 分類 50

e. 앵글과 페리의 分類 50

4. 組織獻身의 模型 및 先行變數와 結果變數 52

a. 組織獻身의 模型 52

b. 組織獻身性의 先行變數 53

c. 組織獻身의 結果變數 54

5. 組織獻身度의 測定道具 56

C. 先行硏究의 考察 57

1. 意思疏通에 대한 失行硏究 考察 57

2. 組織獻身에 대한 先行硏究의 考察 59

3. 意思疏通의 程度와 組織獻身度와의 關係 60

Ⅲ. 硏究의 方法 62

A. 標集 62

B. 測定道具 64

1. 교장과 교사간의 意思疏通의 測定道具 64

2. 敎師의 組織 獻身度 測定道具 65

C. 資料處理 67

Ⅳ. 硏究의 結果 및 解析 68

A. 意思疏通의 全般的인 傾向과 敎師의 個人別 學校背景別에 따른 差異 68

B. 敎師 獻身度의 全般的인 傾向과 敎師의 個人別 學校背景別에 따른 差異 77

C. 校長과 敎師間의 意思疏通과 敎師 獻身度와의 關係 82

Ⅴ. 要約, 結論 및 提言 86

A. 要約 86

1. 연구방법 88

1) 표집대상 88

2) 측정도구 88

3) 자료처리 88

2. 결과 89

B. 結論 91

C. 提言 92

參考文獻 94

ABSTRACT 98

附錄 101

제1부 교장과 교사간의 의사소통정도 측정 질문지 102

제2부 교사의 조직헌신도 측정 질문지 104

표목차

[표 1] 의사소통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 및 강조점 18

[표 2] 조직헌신의 정의 45

[표 3] 조직헌신성의 유형 51

[표 4] 질문지 배포, 회수, 사용상황 62

[표 5] 개인 및 학교특성별로 사용된 질문지 상황 63

[표 6] 의사소통 측정의 하위변인 및 문항번호 65

[표 7] 조직헌신도 측정의 하위변인 및 문항번호 66

[표 8] 조직헌신도 질문지의 구성내용 66

[표 9] 의사소통의 전반적인 경향 68

[표 10] 교사의 개인별 학교배경별 의사소통의 경향 69

[표 11] 교사의 개인별 학교배경별에 따른 의사소통의 차이 71

[표 12] 교사의 개인별 학교배경별에 따른 정확성의 차이 72

[표 13] 교사의 개인별 학교배경별에 따른 개방성의 차이 73

[표 14] 교사의 개인별 학교배경별에 따른 빈도의 차이 74

[표 15] 교사의 개인별 학교배경별에 따른 방향성의 차이 75

[표 16] 교사의 개인별 학교배경별 분석 76

[표 17] 교사의 개인별 학교배경별에 따른 신속성의 차이 77

[표 18] 교사의 헌신도의 전반적인 경향 78

[표 19] 교사의 개인별 학교배경별 헌신도의 경향 78

[표 20] 교사의 개인별 학교배경별에 따른 헌신도의 차이 80

[표 21] 교사의 개인별 학교배경별에 따른 가치헌신의 차이 81

[표 22] 교사의 개인별 학교배경별에 따른 근속헌신의 차이 82

[표 23] 의사소통과 헌신도의 관계 83

[표 24] 교장과 교사간의 의사소통이 교사의 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84

그림목차

[그림 1] 셰논과 웨버의 의사소통 과정모형 23

[그림 2] 벌로의 의사소통 과정의 사회적 모형 24

[그림 3] 그리피스의 의사소통 과정의 사회적 모형 25

[그림 4] 사회 심리학적 의사소통 이론모형 26

[그림 5]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과업지향도 30

[그림 6] 상향적 의사소통과 하향적 의사소통의 양 33

[그림 7] 스티어즈의 조작헌신도의 과정모형 52

[그림 8] 모데이 등의 조직헌신도 과정모형 53

[그림 9] 본 연구의 관계모형 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