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국문목차

표제지 = 0,1,3

목차 = ⅰ,4,3

표목차 = ⅳ,7,1

그림목차 = ⅴ,8,1

Ⅰ.서론 = 1,9,1

A.문제의 제기 = 11,9,3

B.연구목적 = 4,12,3

C.연구방법 = 6,14,2

Ⅱ.이론적 배경 = 8,16,1

A.감사과정과 감사인의 판단 = 8,16,1

1.감사과정과 감사계획 = 8,16,3

2.감사증거에 대한 감사인의 판단 = 10,18,5

B.인지심리학에서의 휴리스틱(Heuristics) = 14,22,2

1.대표성 휴리스틱(Representativeness Heuristics) = 15,23,6

2.가용성 휴리스틱(Availability Heuristics) = 20,28,3

3.앵커링과 조정(Anchoring and Adjustment) = 22,30,7

C.Einhorn & Hogarth 의 신념수정모형 = 28,36,2

1.증거의 방향,강도 및 형태 = 29,37,2

2.증거의 순서 및 표현양식 = 30,38,3

3.대조/관성모형(Contrast/Intertia Model) = 32,40,2

1)부정적 정보에 대한 감소모형 (Discounting Model) = 34,42,3

2)긍정적 증거에 대한 증가모형 (Accretion Model) = 36,44,3

3)혼합증거모형 (Mixed Evidence Model) = 38,46,3

4.모형의 예측 = 41,49,1

1)일관성이 있는 증거에 대한 순서영향의 부재 = 41,49,3

2)혼합증거에 대한 순서영향의 부재 = 43,51,4

3)순차적 및 동시적 처리과정에서 제시양식의 영향 = 46,54,2

D.선행연구 = 48,56,1

1.가설구조와 신념수정(Hypothesis Frame and Belief Revision) = 48,56,4

2.증거의 방향과 신념수정 = 51,59,5

3.순서의 효과와 신념수정 (Order Effects and Belief Revision) = 56,64,5

4.감사인 판단이 최종행위에 미치는 영향 = 61,69,4

5.추가적인 증거의 탐색 = 64,72,2

6.정보처리방식 : 순차적,동시적 = 65,73,3

Ⅲ.연구가설 및 연구설계 = 68,76,1

A.연구가설 = 68,76,1

1.정보의 제시순서와 신념수정 = 68,76,2

2.최초가설구조와 신념수정 = 69,77,2

3.판단과 최종행위 결정 = 70,78,2

4.응답요구 방식과 신념수정 = 71,79,1

B.연구변수 = 72,80,1

1.독립변수 = 72,80,1

1)가설구조 = 72,80,1

2)정보의 제시 순서 = 73,81,1

3)종속신념 수정에 대한 최초신념의 영향(놀람효과) = 73,81,2

4)응답요구 방식 = 74,82,1

2.종속변수 = 74,82,1

C.실험설계 = 75,83,1

1.연구모형 = 75,83,2

2.피실험자 = 76,84,2

3.설문지의 내용과 실험절차 = 77,85,2

Ⅳ.연구결과 분석 = 79,87,1

A.실험환경에 대한 분석 = 79,87,1

1.추가정보의 방향에 관한 분석 = 79,87,1

2.피험자들에 대한 지각에 관한 분석 = 82,90,2

B.정보제시 효과 = 83,91,2

1.순서의 효과 = 85,93,3

2.최근효과 = 87,95,3

C.최초가설구조와 후속신념수정 = 90,98,3

D.판단과 최종행위(고유위험수준 결정) = 93,101,3

E.응답요구 방식과 신념수정 = 95,103,1

1.최종판단에 대한 차이 = 95,103,3

2.고유위험수준결정에 대한 차이 = 97,105,3

Ⅴ.결론 = 100,108,1

A.연구결과의 요약 = 100,108,2

1.정보제시 순서의 효과 = 101,109,2

2.가설구조와 신념수정 = 102,110,1

3.판단과 최종행위 결정 = 102,110,2

4.응답요구 방식과 신념수정 = 103,111,2

B.연구의 의의 및 미래의 연구 = 104,112,2

참고문헌 = 106,114,7

설문지 = 113,121,16

Abstract = 129,137,3

초록보기

회계감사의 목적이 부정적발에서 재무제표의 적정성에 대한 의견표명으로 바뀐 이후 감사인들의 주된 관심사는 회계감사를 수행함에 있어 효과성과 효율성을 어떻게 동시에 달성하느냐 하는 것에 집중되었다. 이때 감사인은 최초에 가지고 있던 정보 이외에 추가적인 정보를 평가하게 되는데 Einhorn & Hogarth의 신념수정모형에서 제시하고 있는 것처럼 추가정보의 유형, 정보의 제시순서, 정보의 방향 등에 따라 서로 상이한 최종판단을 하게 된다면 감사의 효율성과 효과성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감사판단과정은 감사인 개인의 지식이나 경험에 의한 주관적 판단에 의하기 때문에 감사판단에 오류의 가능성이 항상 존재한다. 이로 인하여 피감사회사의 재무제표에 대한 감사의견이 왜곡 표시되어 감사의 질이 떨어지고 회계정보이용자가 오도될 가능성이 있으며 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감사증거를 수집 평가하는 연속적 과정에서 감사인의 판단과 의사결정은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는 감사계획시 감사위험을 판단함에 있어 가상기업에 대한 배경정보와 추가적 정보를 제공하고 Einhorn & Hogarth의 신념수정모형을 이용하여 정보제시 순서의 효과, 가설구조효과에 따른 놀람 효과, 최종판단과 최종행위결정, 응답요구 방식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