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국문목차
표제지 = 0,1,2
초록 = i,3,2
목차 = ⅱ,5,1
Ⅰ. 서론 = 1,6,24
Ⅱ. 사고의 재연으로서의 역사: 콜링우드 = 25,30,2
1. 과거에 대한 인식의 가능성 = 26,31,3
1) 이야기로서의 역사 = 28,33,11
2) 사고로서의 역사 = 38,43,8
2. 역사학적 인식의 논리 = 45,50,1
1) 사고의 재연 = 45,50,4
2) 살아있는 과거 = 48,53,5
3) 질문-대답의 이론 = 52,57,7
3. 자기지식으로서의 역사학적 지식 = 59,64,3
Ⅲ. 경험의 양상으로서의 역사: 오우크쇼트 = 62,67,2
1. 사고로서의 경험과 역사 = 63,68,2
1) 사고로서의 경험 = 65,70,6
2) 사고로서의 역사 = 70,75,6
2. 역사적 과거의 개념 = 76,81,10
3. 역사적 현재: 현재-과거 = 85,90,2
1) 역사적 과거의 파라독스 = 86,91,3
2) 현재-과거 = 89,94,5
Ⅳ. 역사인식론과 교육인식론 = 94,99,5
1. 교육의 기본가정으로서의 과거 = 98,103,9
2. 교육내용의 원천과 기준으로서의 과거 = 106,111,5
3. 교육방법으로서의 역사학적 인식 = 110,115,9
4. 교육목적: 인간의 자기이해 = 118,123,11
Ⅴ. 요약 및 결론 = 129,134,10
참고문헌 = 139,144,6
영문초록 = 145,150,6
이 연구는, 지식을 가르치고 배우는 모든 인간행위 속에는 시간적으로 과거에 속하는 것을 현재의 경험 속에서 재연한다는 시간이동의 의미가 항상 따라다닌다는 점을 밝히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① ‘메논의 파라독스’로부터 시작된 지식학습에 관한 문제와 관련하여 D.W.Hamlyn이나 H.Petrie 등이 제시하고 있는 기존의 교육인식론이 지식의 공간이동의 측면에 치중한 나머지 시간이동의 측면을 간과하고 있다는 점을 밝혔다. ② 지식과 지식학습이 갖는 시간이동의 측면을 드러내기 위한 사전 작업으로서 R.G.Collingwood와 M.Oakeshott의 역사인식론을 고찰하였다. ③ 양자의 역사인식론에서 제시되고 있는 역사학적 지식과 역사학적 탐구의 특성으로부터 지식과 지식학습의 특성을 추론하였다. 결론적으로 ① 교육을 통해서 가르치고 배우는 모든 지식은 역사성을 갖는다. ② 교육내용을 이해하는 방법은 과거 사고의 재연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③ 모든 지식 학습은 ‘자기이해’-또는 자기지식-를 그 본질적 특성으로 가진다. ④ 교사라는 존재는 총체적인 과거 인간 경험을 스스로 구현하고 있는 존재로서, 과거 인간 경험의 시간이동을 가능하도록 해주는 사람이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