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11

1.1 연구배경 11

1.2 연구목적 12

1.3 연구범위 및 내용 13

제2장 기존연구 15

2.1 흙막이벽의 변위와 측방토압 15

2.2 흙막이벽에 작용하는 측방토압 20

2.2.1 Terzaghi·Peck의 측방토압 분포 21

2.2.2 Tschebotarioff의 측방토압 분포 23

2.2.3 NAVFAC 측방토압 분포 24

2.2.4 Hong.Yun 측방토압 분포 24

2.2.5 그외의 측방토압 분포 및 문제점 27

2.3 굴착에 따른 흙막이벽체와 주변지반의 거동 28

2.3.1 굴착에 따른 흙막이벽의 거동 30

2.3.2 굴착에 따른 주변지반의 거동 38

2.4 계측관리기준 46

제3장 현장계측 계획 52

3.1 현장개요 52

3.2 지반특성 54

3.2.1 지질학적 특성 54

3.2.2 토질 특성 54

3.3 현장계측 59

3.3.1 현장계측 현황 59

3.3.2 흙막이 구조물 및 계측기 설치 68

제4장 현장계측 결과 77

4.1 버팀보 및 앵커의 축력 77

4.1.1 버팀보지지 구간 77

4.1.2 앵커지지 구간 81

4.1.3 버팀보와 앵커 복합지지 구간 87

4.2 흙막이벽의 수평변위 99

4.2.1 버팀보지지 구간 99

4.2.2 앵커지지 구간 102

4.2.3 버팀보와 앵커 복합지지 구간 106

4.3 지하수위 112

제5장 고찰 117

5.1 겉보기 측방토압 117

5.1.1 측방토압의 산정방법 117

5.1.2 굴착 단계별 측방토압 분포 119

5.1.3 측방토압 분포의 제안 130

5.1.4 이론토압과의 비교 132

5.1.5 경험토압과의 비교 135

5.2 수평변위 137

5.2.1 굴착에 의한 영향 137

5.2.2 크리프성 변형특성 141

5.3 히빙 143

5.3.1 히빙 안전계수와 수평변위 143

5.3.2 유한요소 해석 145

5.3.3 해석결과 150

제6장 결론 153

참고문헌 155

Abstract 159

그림 2.1 변위와 토압과의 관계 16

그림 2.2 굴착지반의 응력상태 17

그림 2.3 굴착에 따른 토압의 변화 및 흙막이벽의 변형 19

그림 2.4 굴착단계별 측방토압의 변화 21

그림 2.5 Terzaghi·Peck의 버팀보지지벽의 측방토압 분포 22

그림 2.6 Terzaghi·Peck의 버팀보지지벽의 수정측방토압 분포 23

그림 2.7 Tschebotarioff의 버팀보지지벽의 측방토압 분포 24

그림 2.8 NAVFAC의 버팀보지지벽의 측방토압 분포 25

그림 2.9 NAVFAC의 어스앵커지지벽의 측방토압 분포 25

그림 2.10 HongㆍYun 앵커지지 흙막이벽의 측방토압 분포 27

그림 2.11 흙막이벽의 변형형태와 배면지반의 변형 29

그림 2.12 흙막이벽의 일반적인 거동 30

그림 2.13 지반조건에 따른 흙막이벽의 변형형태 33

그림 2.14 근입부 조건과 흙막이벽의 변형 34

그림 2.15 견고한점토, 잔류토 및 모래지반에서 흙막이벽 최대변위량 35

그림 2.16 굴착깊이와 흙막이벽 예상최대변위량과의 관계 35

그림 2.17 굴착저면의 강도와 흙막이벽 최대변위량의 관계 37

그림 2.18 히빙에 대한 안전계수와 흙막이벽 최대변위량과의 관계 37

그림 2.19 주변지반의 변형상태 39

그림 2.20 굴착에 따른 지반의 응력변화 39

그림 2.21 지표면 침하량 40

그림 2.22 지반조건에 따른 지표면 침하량 44

그림 2.23 토질조건에 따른 침하비 44

그림 2.24 굴착배면지반 침하량 45

그림 2.25 계측치의 활용방안 47

그림 2.26 Bjerrum이 제안한 각변위 한계 50

그림 3.1 연구대상 지역 위치도 53

그림 3.2 연구대상 지역의 전체 배치도 53

그림 3.3 대상 지역의 지질도 55

그림 3.4 A-3 및 A-4 공구 대표분석 계측지점 60

그림 3.5 버팀보지지 구간의 굴착단면도 및 토질주상도 68

그림 3.6 버팀보지지 흙막이벽 구간의 계측기기 70

그림 3.7 앵커지지 구간의 굴착단면도 및 토질주상도 73

그림 3.8 앵커지지 흙막이벽 구간의 계측기기 74

그림 3.9 복합지지 구간의 굴착단면도 및 토질주상도 75

그림 4.1 버팀보의 축력변화도 79

그림 4.2 앵커의 축력변화도 83

그림 4.3 A-3공구 버팀보와 앵커의 축력변화도 89

그림 4.4 A-4공구 버팀보와 앵커의 축력변화도 94

그림 4.5 버팀보지지 흙막이벽의 수평변위 100

그림 4.6 앵커지지 흙막이벽의 수평변위 104

그림 4.7 A-3공구 버팀보와 앵커 복합지지 흙막이벽의 수평변위 107

그림 4.8 A-4공구 버팀보와 앵커 복합지지 흙막이벽의 수평변위 109

그림 4.9 앵커지지 구간의 지하수위 분포도 113

그림 4.10 복합지지 구간의 지하수위 분포도 114

그림 5.1 버팀보 축력의 분담토압 117

그림 5.2 앵커 축력의 분담토압 118

그림 5.3 버팀보지지 단면의 굴착단계별 측방토압 120

그림 5.4 앵커지지 단면의 굴착단계별 측방토압 123

그림 5.5 A-3공구 버팀보와 앵커복합지지 단면의 측방토압 126

그림 5.6 A-4공구 버팀보와 앵커복합지지 단면의 측방토압 129

그림 5.7 지지방법별 측방토압 분포 제안 131

그림 5.8 이론토압과의 비교 133

그림 5.9 실측토압과 경험토압과의 비교 136

그림 5.10 지지 방법별 굴착깊이에 따른 최대수평변위 138

그림 5.11 지지 방법별 수평변위 비교 141

그림 5.12 굴착깊이와 시간의존적인 수평변위의 관계 142

그림 5.13 안전수와 시간의존적인 수평변위의 관계 142

그림 5.14 히빙에 대한 안정해석 143

그림 5.15 히빙에 대한 안전계수와 최대수평변위와의 관계 145

그림 5.16 Pentagon2D 프로그램 해석절차 146

그림 5.17 지지 방법별 Modeling 148

그림 5.18 지지 방법별 프로그램 해석결과 151

표 2.1 지반에 따른 내부마찰각 44

표 2.2 관리기준치를 결정하는 기준 48

표 2.3 구조물의 손상한계 50

표 2.4 구조물의 허용침하량 51

표 3.1 가설 흙막이 구조물의 제원 62

표 3.2 구간별 대상 계측수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