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국문목차

표제지 = 0,1,3

감사의 글 = 0,4,1

목차 = i,5,2

표차례 = iii,7,1

그림차례 = iii,7,1

약어표 = iv,8,1

Abstract = v,9,3

국문초록 = viii,12,3

제1장 서론 = 1,15,1

제1절 연구목적 및 문제제기 = 1,15,3

제2절 연구방법 및 논문의 구성 = 4,18,3

제2장 한반도 통일에 관한 시나리오를 통해 본 통일한국과 주한미군 = 7,21,1

제1절 통일방안에 관한 기존연구와 이의 현실적 적용 = 7,21,6

제2절 예상 통일방안에서의 주한미군의 변화 = 13,27,1

1. 전면철수 = 13,27,3

2. 부분적 철수와 주둔성격의 변화 = 15,29,2

3. 동북아 다자간 안보공동체 형성 = 16,30,2

제3장 통일한국의 대외관계 전망 = 18,32,1

제1절 통일한국 등장에 의한 동북아 질서변화 = 19,33,2

1. 군사ㆍ안보질서 = 21,35,2

2. 경제ㆍ사회질서 = 22,36,3

제2절 통일한국과 주한미군에 대한 주변국의 예상 반응 = 25,39,1

1. 미국의 반응 = 25,39,2

2. 중국의 반응 = 26,40,3

3. 일본의 반응 = 29,43,2

4. 러시아의 반응 = 31,45,4

제4장 통일한국의 안보능력과 주한미군의 필요성 = 35,49,3

제1절 주변국들의 동북아정책과 안보전략 = 37,51,1

1. 중국 = 37,51,4

2. 일본 = 40,54,3

3. 러시아 = 43,57,2

제2절 통일한국의 안보능력 = 45,59,1

1. 통일한국의 안보전략 기조 및 예상 안보 위협국 = 45,59,3

2. 통일한국의 국가이익, 국가목표 및 상대적 안보역량 = 47,61,1

1) 국가이익과 국가목표 = 47,61,2

2) 상대적 안보역량 = 48,62,4

3. 주변국들의 군사력과 통일한국의 군사력 = 51,65,13

제3절 통일한국과 주한미군 = 64,78,1

1. 현존 한ㆍ미 동맹 = 64,78,2

1) 한ㆍ미 상호방위조약 및 협정 = 65,79,2

2) 한ㆍ미 안보협의체 및 연합방위체제 = 66,80,3

2. 주한미군의 전쟁수행 능력 = 68,82,3

3. 주한미군의 한국 안보기여 = 70,84,3

제5장 미국의 국익과 통일한국에서의 주한미군 = 73,87,2

제1절 미국의 동아시아 안보정책과 한ㆍ미 동맹 = 75,89,2

1. 미국의 동아시아 국가전략 = 76,90,4

2. 미국의 동아시아 안보전략과 한ㆍ미 동맹체제 = 79,93,1

1) 미국의 동아시아 군사안보전략 = 80,94,2

2) 미국의 동아시아 안보전략 실현방안 = 82,96,3

제2절 한ㆍ미간 공통 안보이익과 주한미군의 역할 = 85,99,1

1. 한ㆍ미간 안보이익구조 = 85,99,3

2. 주한미군의 역할 = 87,101,4

제6장 통일한국의 안보전략 모색 = 91,105,1

제1절 한ㆍ미 동맹체제의 재정립과 주한미군의 성격 재조정 = 92,106,1

1. 한ㆍ미 동맹체제의 지역동맹화 = 92,106,5

2. 바람직한 주한 미군의 역할 및 병력구조 = 96,110,6

제2절 동북아 다자간 안보협력체의 필요성 = 102,116,5

제7장 결론 = 107,121,3

참고문헌 = 110,12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