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요약
목차
第 Ⅰ章 序論 14
1節 硏究目的 및 範圍 14
2節 가톨릭의 歷史 16
3節 修道會의 歷史 20
4節 韓國의 修道會 24
第 Ⅱ章 修道服의 種類와 形態 26
1節 起源과 傳來 26
2節 現在 修道服 30
3節 修道生活의 段階와 服飾 35
第 Ⅲ章 韓國 가톨릭 女性 邦人 修道會 37
1節 영원한 도움의 聖母 修女會 37
2節 聖母 靈寶 修女會 43
3節 隣保性體 修道會 47
4節 聖家 小妃女會 51
5節 韓國 殉敎福者 修女會 56
第 Ⅳ章 韓國 傳統服飾을 應用한 修女服디자인 開發 64
1節 土着化 形態를 위한 開發의 意義 64
2節 形態 開發의 基本方向 65
3節 傳統服飾을 應用한 形態 提示 68
第 Ⅴ章 結論 92
參考文獻 94
Abstract 97
[그림 1] 中世의 修女服 28
[그림 2] 베일 後面. 한국순교복자수녀회. (현재) 34
[그림 3] 베일 後面. 영원한도움의성모수녀회·성모영보수녀회. (현재) 34
[그림 4] 베일 後面. 서울성가소비녀회. (현재) 34
[그림 5] 베일 後面. 인보성체수녀회. (현재) 34
[그림 6] 團領을 응용한 祈禱服 70
[그림 7] 철릭을 응용한 外出服 73
[그림 8] 團領의 깃과 무를 응용한 外出服 75
[그림 9] 腋注音을 응용한 日常服 77
[그림 10] 고구려 벽화 속 여인의 옷을 응용한 日常服 80
[그림 11] 저고리 日常服 82
[그림 11] 단속곳을 활용한 勞動服 84
[그림 12] 배자를 응용한 勞動服 85
[그림 13] 『樂學軌範』에 나오는 襪裙 87
[그림 14] 襪裙을 응용한 勞動服 88
[그림 15] 복건을 응용한 머리수건 側面 89
[그림 16 ] 아얌을 응용한 머리수건 90
[그림 17] 투구를 응용한 머리수건 91
[사진 1] 喪服을 입은 宣敎師(1900년대) 19
[사진 2] 初創期修女服(싸르트르 성바오로회) 29
[사진 3] 聖衣를 착용한 수녀 (現在) 31
[사진 4] 大禮服을 착용하고 기도중인 수녀들 (現在) 33
[사진 5] 영원한 도움의 聖母會着服式(1960~1970) 41
[사진 5-1] 請願式服裝(1970~1975) 41
[사진 5-2] 허리띠 部分(現在) 42
[사진 5-3] 베일 側面(現在) 42
[사진 5-4] 칼라 後面(現在) 42
[사진 5-5] 수도복 正面(現在) 42
[사진 5-6] 수도복 側面(現在) 42
[사진 5-7] 수도복 後面(現在) 42
[사진 6] 聖母靈寶修女會修道服(初創期) 44
[사진 6-1] 허리띠 部分(初創期) 44
[사진 6-2] 제 1회 着服者들(1961년) 45
[사진 6-3] 수도복 正面(現在) 45
[사진 6-4] 수도복 後面(現在) 45
[사진 6-5] 終身誓願(1995년) 46
[사진 6-6] 修道服(1973년) 46
[사진 7] 베일 後面. 隣保聖體修道會(初創期) 49
[사진 7-1] 베일 後面(現在) 49
[사진 7-2] 베일 심지 (現在) 49
[사진 7-3] 終身誓願服(初創期) 49
[사진 7-4] 修道服(初創期) 49
[사진 7-5] 첫誓願用옷 (初創期) 50
[사진 7-6] 着服式用옷 (初創期) 50
[사진 7-7] 請願服여름옷 (現在) 50
[사진 7-8] 修鍊服겨울옷 (現在) 50
[사진 7-9] 修道服여름옷 (現在) 50
[사진 8] 志願者服. 성가 소비녀회 (初創期) 52
[사진 8-1] 띠 52
[사진 8-2] 修鍊所시절 (1961∼1963) 경기도 소사 53
[사진 8-3] 여름옷 (現在) 53
[사진 8-4] 겨울옷 (現在) 54
[사진 8-5] 志·請願者服飾(1965∼1987 ) 54
[사진 8-6] 志·請願者服飾(1988∼現在) 55
[사진 8-7] 分院長會議를 통해 바뀐 現在의 服裝 55
[사진 9] 殉敎福者修女會設立당시 許願者服裝(1947년) 58
[사진 9-1] 제 1회 許願着服式(1954년) 58
[사진 9-2] 15주년 당시 許願者, 修鍊者, 請願者, 志願者, 入會者 59
[사진 9-3] 着服式(1970년대) 59
[사진 9-4] 請願者服裝(1980년대) 60
[사진 9-5] 日常服正面(現在) 60
[사진 9-6] 日常服(現在) 61
[사진 9-7] 農藝服 61
[사진 9-8] 大典禮用망토 正面(現在) 62
[사진 9-9] 大典禮用망토 後面(初創期) 62
[사진 9-10] 志願者服飾(1960~1070년대) 63
[사진 9-11] 請願者服飾(1960~1070년대) 63
[사진 9-12] 修道服겨울옷 (現在) 63
[사진 10] 團領. 耽陵君(1636∼1731), 경기 용인 出土 69
[사진 11] 작품 1. 團領을 응용한 祈禱服(正面) 70
[사진 11-1] 작품 1 (後面) 70
[사진 12] 철릭. 羅州丁氏(應斗, 1508∼1572), 경기도 고양 出土 71
[사진 13] 작품 2. 철릭을 응용한 外出服 73
[사진 14] 작품 3. 團領의 깃과 무를 응용한 外出服 75
[사진 15] 액주름. 廣州李氏彦雄(宣祖代), 경기도 과천 出土 76
[사진 16] 작품 4. 액주름을 응용한 日常服 77
[사진 17] 수산리 古墳壁畵 79
[사진 18] 작품 5. 고구려 벽화 속 여인의 옷을 응용한 日常服 80
[사진 19] 저고리. 南陽洪氏(1584∼1654), 경기 양평 出土 81
[사진 20] 작품 6. 저고리 日常服 82
[사진 21] 단속곳 (1900년대) 83
[사진 22] 작품 7. 단속곳을 응용한 勞動服 84
[사진 22-1] 작품 7. 部分 84
[사진 23] 배자. 坡平尹氏(1735∼1754), 충남 예산 出土 85
[사진 24] 작품 8. 배자를 응용한 勞動服 86
[사진 25] 작품 9. 襪裙을 응용한 勞動服 88
[사진 25-1] 작품 9 (部分) 88
[사진 26] 복건 89
[사진 27] 작품 10. 복건을 응용한 머리수건 89
[사진 28] 아얌 90
[사진 29] 작품 11. 아얌을 응용한 머리수건 90
[사진 30] 투구 9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