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바흐 푸가 주제의 음악수사적 의미 고찰 : 평균율 클라비어곡집 제 1권 푸가를 중심으로 / 유명국 인기도
발행사항
청원군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2
청구기호
TM 780.7 ㅇ417ㅂ
형태사항
vi, 168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0433250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음악교육, 2004.2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9

I.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2. 연구의 방법 16

3. 연구의 제한점 16

II. WTC 제 1권 푸가의 특징 17

1. 푸가의 구성과 기원 및 발달과정 17

2. WTC의 구성과 양식적 특징 37

III. 수사학과 음악수사이론 48

1. 수사학의 기원(起源)과 발전(發展) 48

2. 음악수사이론의 성립 57

3. 마테존의 음악수사이론 71

IV. 푸가 주제의 음악수사적 의미 고찰 110

1. WTC 푸가의 분류 115

2. WTC 푸가에 사용된 'loci topici' 143

3. 올림바 단조 푸가(BWV 859)의 음악수사이론 적용 150

V. 요약 및 제언 165

〈참고문헌〉 171

ABSTRACT 176

〈표 1〉 바흐의 클라비어 푸가 작품 목록 24

〈표 2〉 주제 성격에 따른 분류 47

〈표 3〉 기질, 신체, 원소와 정서의 상관관계 78

〈표 4〉 WTC 제 1권 푸가의 하위 장르 분류표 118

〈표 5〉 다 장조 푸가의 모방 기법 121

〈표 6〉 바 장조 푸가의 주제 엔트리 도입 방식 130

〈표 7〉 사 장조 푸가의 주제 엔트리 도입 방식 135

〈표 8〉 라 단조 푸가의 기법 138

〈표 9〉 올림다 단조 푸가의 주제 엔트리 도입 방식 141

〈표 10〉 내림나 단조 푸가의 주제 엔트리 도입 방식 142

〈표 11〉 올림바 단조 푸가의 주제 엔트리 도입 방식 155

〈악보 1〉 WTC 제 1권 No.1 푸가 C장조 31

〈악보 2〉 WTC 제 1권 No.19 푸가 A장조 32

〈악보 3〉 WTC 제 1권 No.16 푸가 G단조 32

〈악보 4〉 WTC 제 2권 No. 3 푸가 C#단조 33

〈악보 5〉 WTC 제 1권 No. 6 푸가 D단조 34

〈악보 6-1〉 WTC 제 1권 No. 8 푸가 D#단조 35

〈악보 6-2〉 WTC 제 2권 No. 9 푸가 E장조 35

〈악보 7〉 도입 86

〈악보 8〉 서술 86

〈악보 9-1〉 단순 주제제시 86

〈악보 9-2〉 단순 주제제시 87

〈악보 9-3〉 복합 주제제시 87

〈악보 10〉 입증 87

〈악보 11〉 반박 88

〈악보 12〉 결론 89

〈악보 13〉 장식적 요소를 제외한 라 장조 푸가의 선율선 120

〈악보 14-1〉 다 장조 푸가의 모방기법 122

〈악보 14-2〉 다 장조 푸가의 모방기법의 배열 124

〈악보 14-3〉 다 장조 푸가의 모방기법 125

〈악보 15〉 다 장조 푸가에서 배열된 창안의 구조 126

〈악보 16〉 바 장조 푸가의 푸가기법 129

〈악보 17-1〉 사 장조 푸가의 기법 132

〈악보 17-2〉 사 장조 푸가의 기법 133

〈악보 17-3〉 사 장조 푸가 기법의 배열 134

〈악보 18〉 라 단조 푸가의 주제 엔트리 도입 방식 137

〈악보 19〉 올림다 단조 푸가의 주제제시 140

〈악보 20-1〉 Fischer, Ariadne musica, Fuga No. 10 148

〈악보 20-2〉 J. S. Bach, fugue in F, BWV 856 148

〈악보 21-1〉 Fischer, Ariadne musica, Fuga No. 5 149

〈악보 21-2〉 J. S. Bach, fugue in g, BWV 861 149

〈악보 21-3〉 W. F. Bach, Fantasia in d, F. 19 149

〈악보 22-1〉 올림바 단조 프렐류드의 주제, WTC 제 1권 14번 151

〈악보 22-2〉 올림바 단조 푸가 주제의 선율선 151

〈악보 23-1〉 주제 153

〈악보 23-2〉 가상 주제 형태 153

〈악보 24〉 대주제의 한숨 모티브 154

〈악보 25〉 올림바 단조 푸가의 삽입구 선율선 156

〈악보 26-1〉 올림바 단조 푸가 주제의 가정된 음정 전위 157

〈악보 26-2〉 올림바 단조 푸가 주제의 가정된 선법 전위 157

〈악보 27〉 주제제시부 159

〈악보 28〉 반박 I 161

〈악보 29-1〉 입증 I 162

〈악보 29-2〉 입증 II 163

〈악보 30〉 반박 II 163

〈악보 31〉 결론 164

초록보기 더보기

본 논문은 J. S. Bach의 평균율 클라비어곡집 제 1권 푸가 주제의 음악수사적 의미를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바흐가 활동했던 바로크 시대의 음악은 합리적이고 객관화된 정서의 표현이란 측면에서 그 특징을 찾을 수 있다. 바로크 음악의 합리적인 정서 표현을 가능하게 한 배경은 데카르트의 「정념론」으로 대표되는 정서이론과 수사학에서 영향 받은 음악수사이론으로 볼 수 있다. 데카르트는 주관적이고 추상적으로 인식하던 정서를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것으로 설명하여 바로크적 정서 개념을 확립하였고, 음악수사이론은 객관화된 정서를 음악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적 체계를 제시해 주었다.

바흐는 두 권의 평균율 클라비어곡집을 통하여 48곡의 푸가를 작목하였다. 르네상스 시대의 리체르카레로부터 발달되었던 푸가는 대위법적 기교로 이루어진 가장 발달된 순수 기악 양식으로 바흐에 의해 그 구조적 절정을 이루게 된다. 푸가는 주제의 제시와 제시된 주제들을 대위법적 기법을 사용한 발전과 전조 과정을 거친 후 원조로 복귀하여 주제를 재진술하면서 곡을 마치게 되는데, 이러한 푸가의 특성으로 인해 푸가를 하나의 정형화된 형식으로 파악하기보다는 일련의 작곡 과정으로 보는 견해가 보다 일반적이다.

바흐의 평균율곡집 푸가들은 건반음악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데, 이는 푸가의 창작 단계 이전에서 이미 주제의 성격을 정하고 그 성격에 알맞은 푸가 기법들을 고안함으로써 주제를 예술적으로 다양하게 전개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기 때문이다.

평균율곡집의 각 푸가들은 모두 개성적이며 독창적인 기법을 사용하고 있기에 그 유형을 분류하기가 어렵다. 마테존은 『완전한 악장』에서 푸가를 단일 푸가, 이중 푸가, 카운터 푸가의 하위 장르로 분류했으며, 드레이퓌스는 이중 푸가를 주제의 수에 따라 세 타입으로 세분하고, 각 하위 장르가 통합되어 제시된 형태인 혼합 푸가를 제시함으로써 바흐의 평균율곡집 푸가를 분류할 수 있는 그 근거를 제시해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마테존의 음악수사이론을 바탕으로 푸가를 분류해 보았고, 음악수사이론의 구조적 측면과 표현적 측면의 제 이론을 이용하여 바흐가 각 푸가에서 강조한 푸가 주제의 성격과 그에 알맞은 푸가 기법을 어떻게 제시하여 배열하고 장식하고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전개하였다.

작품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작품이 지닌 배경과 작곡가의 의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바로크 음악에 큰 영향을 끼친 음악수사 이론을 이용하여 푸가를 분석하는 것은 이제까지 수사이론이 다른 이론에 비해 크게 주목받지 못했기 때문에 그 효용성과 중요성을 생각해 볼 때 필요한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음악수사이론이 바로크 시대 음악을 당대 음악 어법으로 해석하는데 적절한 가능성을 제시해 주기에 이 분야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기를 기대해 본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