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Abstract 8

1. 서론 10

1.1. 연구배경 및 목적 10

1.2. 연구내용 11

2. 동화지구 수자원 현황 13

2.1. 동화댐 개요 13

2.2. 동화댐 건설계획 13

2.3. 동화댐 보조수원 현황 16

2.4. 동화댐 용수이용 계획 16

2.4.1. 생·공용수 17

2.4.2. 농업용수 18

2.4.3. 용수공급 계획 18

2.5. 동화댐 용수이용 현황 19

3. 댐 건설 전·후 일유입량 변화 20

3.1. 동화지구 유역개황 20

3.2. 댐 건설 전·후 일유입량 비교 26

4. 댐 건설 전·후 설계강우량 변화 30

4.1. 확률강우량 30

4.2. 가능 최대강수량(PMP) 33

4.3. 설계강우량의 시간분포 36

4.3.1. Mononobe(物部) 방법 36

4.3.2. 건교부 IDF 37

4.3.3. Huff분포 37

4.3.4. 미 기상국 분포 38

4.3.5. 댐 건설 전·후 확률강우량의 시간분포 40

5. 댐 건설 전·후 홍수유입량 변화 42

5.1. 홍수 도달시간 42

5.2. 유효 강우량 산정 43

5.3. 빈도별 홍수유입량 산정 45

5.3.1. 동화지구 단위유량도 45

5.3.2. 빈도별 홍수유입량 46

5.4. 홍수기 월별 빈도별 홍수유입량 51

5.4.1. 월별 확률강우량 51

5.4.2. 월별 확률홍수량 52

6. 태풍 루사에 따른 유출분석 55

6.1. 태풍 루사 실황 및 수문자료 조사 55

6.2. 태풍 루사 내습시 동화댐 유입량 분석 59

7. 결론 61

참고문헌 65

부록 66

부록 표A 2.1. 동화댐 표고별 저수면적, 저수용량 67

부록 표A 2.2. 동화댐 방류시설의 수위별 최대 방류능 68

부록 표A 3.1. 동화지구 장수관측소 일우량 관측자료 69

부록 표A 3.2. 동화지구 남원관측소 일우량 관측자료 72

부록 표A 3.3. 동화지구 전주관측소 일우량 관측자료 75

부록 표A 4.1. 동화지구 확률강우량 78

부록 표A 4.2. 동화지구 설계강우의 시간분포 79

부록 표A 5.1. 동화지구 월별 일최대 강우량의 연시계열 81

부록 표A 6.1. 태풍 루사 내습시 동화댐 유입량 분석결과 83

표목차

표 2.1. 동화댐 시설현황 15

표 2.2. 동화댐 용수이용 대상지역 생활용수 수요전망 17

표 3.1. 동화지구 요천유역 하천현황 23

표 3.2. 동화지구 인근의 기상 및 강우관측 현황 24

표 3.3. 동화지구 인근의 수위관측 현황 25

표 3.4. 동화댐 일유입량의 월변화 28

표 4.1. 기상관측소별 확률강우량 분석자료 기간 31

표 4.2. 동화지구 1일연속 확률강우량 선정 32

표 4.3. 지속시간 선정방법에 따른 누적강우량 환산방법 33

표 4.4. 확률강우량의 추정결과 비교 33

표 4.5. 동화지구 면적-지속기간별 가능최대강수량 35

표 4.6. 한국확률강우량도에 제시된 건교부 IDF 37

표 4.7. 동화댐 건설 전·후 빈도별 확률강우량의 시간분포 41

표 5.1. 동화댐 유역의 홍수도달시간 계산결과 43

표 5.2. 동화댐 유역 유출곡선지수 계산결과 44

표 5.3. 동화댐 건설 전·후 홍수유입 특성비교 47

표 5.4. 재현기간별 분포형별 첨두홍수량 50

표 5.5. 동화지구 월별 빈도별 확률강우량 51

표 5.6. 동화지구 월별 빈도별 확률홍수량 52

표 6.1. 태풍관련 호우현황 및 예년대비 강수량(2002.8.1 ~9.1) 55

표 6.2. 태풍 루사 내습시 홍수예경보 발효현황 57

표 6.3. 태풍 루사 내습시 동화댐주변 실시간 관측강우량 58

표 6.4. 태풍 루사 내습시 남원수위국 실시간 관측수위 59

그림목차

그림 3.1. 동화지구 하천유역 현황도 22

그림 3.2. 동화댐 퇴사전후의 수위-저수용량 곡선(1997-2046) 25

그림 3.3. 동화댐 건설전·후 일평균 유입량 비교 27

그림 3.4. 동화댐 건설전·후 일평균 누가유입량 비교 27

그림 3.5. 동화댐 주변 기상관측소 월강우량의 상관성(2000~2002) 29

그림 4.1. 확률강우량 산정절차 31

그림 4.2. 동화지구 PMP의 DAD 포락선도 36

그림 4.3. 동화지구 PMP의 DAD 포락선 39

그림 5.1. 동화지구 20분 SCS 합성단위도(유효우량 1.0㎜) 46

그림 5.2. 동화지구 1일 10년 빈도 홍수수문곡선(댐 건설후) 47

그림 5.3. 동화지구 1일 50년 빈도 홍수수문곡선(댐 건설후) 48

그림 5.4. 동화지구 1일 100년 빈도 홍수수문곡선(댐 건설후) 48

그림 5.5. 동화지구 1일 200년 빈도 홍수수문곡선(댐 건설후) 49

그림 5.6. 동화지구 1일 PMF의 홍수수문곡선(댐 건설후) 49

그림 5.7. 동화지구 PMF 수문곡선 50

그림 5.8. 동화지구 6월 200년 빈도 홍수수문곡선 53

그림 5.9. 동화지구 7월 200년 빈도 홍수수문곡선 53

그림 5.10. 동화지구 8월 200년 빈도 홍수수문곡선 54

그림 5.11. 동화지구 9월 200년 빈도 홍수수문곡선 54

그림 6.1. 태풍 루사로 인한 동화지구 3시간 최대강우량 56

그림 6.2. 태풍 루사로 인한 동화지구 레이다 합성강우량 57

그림 6.3. 태풍 루사 내습시 동화댐 유입수문곡선 60

초록보기

 As a basic study of hydrological redesign of Donghwa dam located at a second tributary of Seomjin river, the hydrological design amounts were estimated again using the cumulated hydrology data and the variation was checked. The management status of Donghwa area water resources was surveyed. And the probability rainfall, PMP and probability flood are estimated and the variation was analyzed. The amount of 200 year frequency rainfall with 1 day duration was 351.1 mm, which is 2.5% increased value from first design value, and the PMP was 780.2 mm. The time distribution of design rainfall was selected as Mononobe method. The concentration time was reestimated as 2.5 hour from existing 2.4 hr. SCS method was used to estimated the effective rainfall and the runoff curve number was changed from 90 to 78, so the maximum potential retention was 71.6 mm, 154% increased from initial design value. The flood estimates using SCS unit hydrograph showed a change from first designed 623 m³/s to 674 m³/s with 8% increase. The PMF showed 1,637 m³/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