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국문목차
표제지=0,1,4
목차=0,5,2
그림목차=iii,7,2
국문초록=v,9,4
I. 서론=1,13,3
II. 금강산도의 개념=4,16,1
1. 금강산 명칭의 변천과 의미=4,16,3
2. 근대 이전 금강산도의 전개=7,19,7
III. 근대 금강산도의 등장배경=14,26,1
1. 근대 화단의 동향=14,26,5
2. 근대 금강산도의 특성=19,31,10
IV. 금강산도의 전통의 반영과 신개념의 수용(1910년대~1940년대)=29,41,1
1. 전통 산수화의 영향=29,41,8
2. 일본화의 영향=37,49,4
3. 서양화의 영향=41,53,5
V. 금강산도의 전통 재해석과 발전(1950년대~1970년대)=46,58,1
1. 전통의 계승과 정형화=46,58,5
2. 전통의 변용과 현대화=51,63,4
3. 북한의 금강산도=55,67,8
VI. 결론=63,75,3
참고 문헌=66,78,6
Abstract=72,84,5
그림1. 노영,(칠니소병(漆泥小屛)의 담무갈, 지장보살현신도(曇無竭, 地藏菩薩現身圖), 1307년, 흑칠금니, 22.5×13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8,20,1
그림2. 정선,(금강전도(金剛全圖), 1734년, 지본수묵담채, 130.8×94.0cm, 호암미술관 소장, 국보 217호=9,21,1
그림3. 김홍도,(만폭동도(萬瀑洞圖), 18세기 후반, 비단에 수묵담채, 133.8×54.4cm, 개인소장=10,22,1
그림4. 김하종,(해산도첩(海山圖帖)-명경대도(明鏡臺圖), 1815, 견본수묵담채, 29.7×43.3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11,23,1
그림5. 필자미상,(내ㆍ외금강도), 19-20세기 초, 지본수묵담채, 각폭 94×32.8cm, 개인소장=12,24,1
그림6. 릴리안 메이 밀러, (만학천봉), 1928년, 다색목판화, 38×26cm, 가나아트 소장=24,36,1
그림7. 이상범,(총석정), 1940년대 전반, 비단에 수묵채색, 72×50cm, 개인소장=26,38,1
그림8. 홍순관,(총석정), 1940년대, 종이에 채색, 32×117cm, 개인소장=26,38,1
그림9. 이응노,(총석정), 1941, 종이에 수묵담채, 76×144cm, 진화랑 소장=27,39,1
그림10. 김인승,(총석정), 1940년경, 캔버스에 유채, 37×45.5cm=28,40,1
그림11. 김규진,(해금강총석정절경), 1920년, 비단에 채색, 195×880cm, 창덕궁 희정당(부분도)=30,42,1
그림12. 김규진,(외금강육곡병풍), 19-20세기 초, 견본채색, 123×32.7cm, 개인소장=31,43,1
그림13. 이상범,(보덕굴), 1930년대, 종이에 수묵담채, 26.9×35.8cm, 호암미술관=32,44,1
그림14. 이상범,(내금강보덕굴), 1940년대, 종이에 수묵담채, 89.3×36cm, 고려대 박물관=32,44,1
그림15. 이상범,(내금강진주담), 1941, 종이에 수묵담채, 132.5×248cm, 개인소장=32,44,1
그림16. 배렴,(헐성루조망금강산십이곡병풍), 1940년대 이전, 지본수묵담채, 각폭 135×45cm, 동아대 박물관 소장=33,45,1
그림17. 배렴,(추산비류), 1940년 제19회 조선미전 출품작=34,46,1
그림18. 김우범,(만폭동), 1919년, 종이에 수묵담채, 137.0×34.0cm, 개인소장(좌)=35,47,1
그림19. 김우범,(만물상), 1919년, 종이에 수묵담채, 137.03×4.0cm, 개인소장(우)=35,47,1
그림20. 정종여,(금강산 전망), 1942년, 지본수묵담채, 135×35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35,47,1
그림21. 허건,(묘길상), 1945년 종이에 수묵담채 41×46.5cm, 남농기념관 소장=36,48,1
그림22. 김은호,(금강산육곡병풍), 1945, 견본채색, 159.5×266.6cm, 서율역사박물관 소장=38,50,1
그림23. 임자연,(구룡폭), 1930-40년대, 종이에 수묵담채, 26.82×4.0, 통도사 성보박물관=39,51,1
그림24. 김인식,(삼선암), 1920년대, 종이에 수묵담채, 117.2×37.5cm, 통도사 성보박물관=40,52,1
그림25. 고희동,(외금강소견), 1939년, 종이에 수묵담채, 131.5×59.0cm, 개인소장=41,53,1
그림26. 고희동,(명경대), 1930년대, 종이에 수묵담채, 132.0×42.8cm, 개인소장=41,53,1
그림27. 구본웅,(금강산), 1952, 캔버스에 유채, 40.0×71.0cm, 개인소장=42,54,1
그림28. 배운성,(해금강 총석정), 1940년대, 캔버스에 유화, 37.0×50.5cm, 개인소장=43,55,1
그림29. 임용련,(만물상절부암), 1940년, 캔버스에 유화, 53.0×45.5cm, 개인소장=44,56,1
그림30. 변관식,(내금강보덕굴), 1960년, 종이에 수묵담채, 263×121cm, 호암미술관=48,60,1
그림31. 변관식,(금강산구룡폭), 1960전반, 종이에 수묵담채, 121×91cm, 개인소장=49,61,1
그림32. 김은호,(풍악추명), 1958년, 채색, 1130×2128cm, 한국은행 소장=49,61,1
그림33. 이상범,(외금강만물상팔곡병풍), 1940년대 후반~1950년대 초반, 지본수묵담채, 전체119×318.8cm. 개인소장=50,62,1
그림34. 박생광,(보덕굴), 1950~60년대, 종이에 수묵담채, 64.4×40.5cm, 개인소장=52,64,1
그림35. 박생광,(진주담), 1950년대, 종이 수묵담채, 40.0×65.2cm, 한빛문화재단=52,64,1
그림36. 이응노,(정양상 망금강), 1950년대, 종이에 수묵담채, 150×270cm, 개인소장=53,65,1
그림37. 이응노, 몽견금강, 1966년, 종이 수묵담채, 63.5×65.0cm, 개인소장=53,65,1
그림38. 문화춘,(내금강의 아침), 1970년, 조선화, 90×175cm=59,71,1
그림39. 정영만,(금강산), 1965년, 조선화, 163×291cm=60,72,1
그림40. 한상익,(금강산), 1974년, 유화, 74×54cm, 개인소장=61,73,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