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9

1. 문제제기 9

2. 도덕적 권위에 대한 이론적 설명 10

3. 기존 연구의 검토 15

4. 연구의 과제와 분석틀 17

1) 연구 과제 17

2) 분석틀의 구성 20

5. 연구의 의의 30

6. 연구의 대상과 자료 32

7. 논문의 구성 33

제2장 군부 권위주의체제 하에서의 천주교회 37

제1절 군부권위주의 국가 성격 37

1. 군부권위주의의 출현 37

2. 군부권위주의체제의 제도화: 유신체제 40

제2절 유신체제하에서의 시민사회 43

1. 무정형의 시민사회 43

2. 체제저항세력의 형성 45

제3절 군부권위주의 체제의 지배이데올로기 47

1. 반공이데올로기의 제도화 47

2. 발전이데올로기 50

제4절 한국 천주교회의 사회참여 활동 53

1. 사회현실에 대한 각성 53

1) 1960년대말 이전의 한국 천주교회 53

2) 천주교회의 현실인식 54

2. 천주교회의 사회참여와 조직화 57

1) 지학순 주교 구속사건 57

2) 정의구현 사제단의 결성 60

3) 한국 천주교 정의평화위원회의 재발족 62

3. 천주교회의 사회참여활동 강화 64

1) 반유신체제 저항 활동 64

2) 인권수호운동 68

3) 민생 운동 70

제5절 유신체제와 한국 천주교회 권위의 변화 77

1. 종교의 권위와 사회적 영향력 77

2. 한국 천주교회의 도덕적 권위 79

1) 한국 천주교회의 권위 79

2) 도덕적 권위로의 전화 81

3. 유신체제시기의 도덕적 권위의 기능 84

1) 국가의 탈정당화 84

2) 체제저항운동의 활성화 87

제3장 신군부권위주의 국가체제와 천주교회 92

제1절 신군부권위주의 국가 체제 92

1. 군부권위주의 체제의 재구조화 92

1) 군부권력의 복원 92

2) 전두환 정권의 성격 94

2. 계급구조화의 진전 95

1) 지배블럭의 강화 95

2) 신중간계급의 성장과 유화조치 97

3) 민중배제 정책의 지속 101

3. 지배이데올로기의 내면화 102

제2절 체제저항적 시민사회의 부활 104

1. 정치사회의 대표성 회복 104

2. 체제도전세력의 성장과 이념적 분화 107

1) 시민사회세력의 조직화 107

2) 이념적 급진화와 분화 110

3. 권위주의체제의 위기와 민주화 112

1) 도전연합의 결성 112

2) 6월 민주화 대투쟁 114

제3절 천주교회의 민주화 운동 117

1. 광주 민주화 항쟁과 천주교회의 역할 117

2. 탄압정국 하에서의 천주교회 121

3. 천주교회의 민주화 운동 126

1) 직선제 개헌 운동 126

2) 박종철고문치사 사건의 조작 폭로 129

3) 명동성당 농성시위 130

제4절 천주교회 도덕적 권위의 영향력 강화 133

1. 정치사회 역할의 대행 134

2. 진실의 대변자로서의 기능: 예언자적 역할 138

3. 극한 대립의 완화: 조정과 설득의 기능 141

4. 저항의식의 고취와 중산층의 동원 145

제4장 민주주의 이행 시기와 천주교회 150

제1절 민주주의(민주주주의) 이행 시기의 국가 성격 150

1. 6.29 이후의 국가 권력 150

2. 민주주의의 지체 155

3. 지배이데올로기의 공세 158

제2절 민주화의 구조적 기반으로서의 시민사회 161

1. 도전연합의 해체 161

2. 민중운동과 시문운동의 분화 165

3. 자율적 시민운동의 성장 168

제3절 민주화 이행시기의 천주교회 172

1. 6·29 선언 이후 천주교회의 민주화투쟁 172

2. 천주교회의 보수화 176

3. 천주교회의 다중 구도 180

4. 천주교 사회참여활동의 분화 183

제4절 민주화 이후의 도덕적 권위 187

1. 도덕적 권위의 성격변화 187

2. 도덕적 권위의 약화 190

제5장 천주교회 도덕적 권위의 사회학적 함의 193

제1절 도덕적 권위의 정치사회학적 의의 193

1. 도덕적 권위의 정치사회학적 기능 193

1) 국가의 탈정당화 193

2) 체제 저항적 동원 196

3) 정치사회의 역할 대행 198

4) 시민사회의 활성화 201

2. 도덕적 권위와 한국 민주화 204

1) 민주화 이행논의 204

2) 국가에 대한 압력 210

3) 체제저항운동과 지원 211

제2절 도덕적 권위의 종교사회학적 특징 213

1. 세속화: 종교적 영향력의 쇠퇴 213

2. 도덕적 권위의 종교사회학적 의의 216

3. 도덕적 권위의 사회적 기능 219

제3절 도덕적 권위의 사회 규범적 특성 222

1. 인간존엄성과 인권의식 신장 222

2. 사회정의의 원칙 확립 224

3. 공동선의 규범화 227

4. 도덕적 권위의 한계 231

제6장 요약 및 결론 234

1. 요약 234

2. 도덕적 권위의 미래 전망 240

참고문헌 243

표목차

〈표 1〉 민주화과정에 미친 천주교회 역할에 관한 요인들의 관계 30

〈표 2〉 한국사회의 계급구성(1960~1980) (단위% 1000인) 43

〈표 3〉 계급구성의 증감추세 98

〈표 4〉 유화국면의 재야정치조직 및 시민사회단체 창립 현황 109

〈표 5〉 천주교회 대정부 탄원 및 건의문 현황(1980~1983) 135

〈표 6〉 정치적 집합행위에 대한 중산층의 태도 (%) 147

〈표 7〉 활동영역에 따른 시민운동 단체 169

〈표 8〉 각 종교 신자들의 계급적 지위 비교(1992) (단위 %) 179

〈표 9〉 제도교회와 민중교회의 비교 181

〈표 10〉 정치적 입장에 따른 천주교회의 다중 구도 183

〈표 11〉 명동성당 시위 유형 분류 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