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국문목차

표제지=0,1,4

목차=i,5,2

표목차=iii,7,1

그림목차=iv,8,1

논문요약=v,9,3

I. 서론=1,12,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1,12,4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4,15,2

3. 연구의 범위와 제한점=5,16,2

4. 용어의 정의=6,17,1

II. 교육연극과 미술교육=7,18,1

1. 교육연극의 개념과 이해=7,18,2

가. 연극의 교육적 가치=8,19,3

나. 교육연극의 개념과 목적=10,21,4

2. 교육연극과 미술교육=13,24,1

가. 미술과 연극=13,24,10

나. 교육연극과 미술교육=22,33,31

III. 미술교육을 위한 교육연극의 활용 방안=53,64,1

1. 교육연극 적용을 위한 기본 전제=53,64,1

가. 몸을 통한 신체와 정신의 통합=53,64,5

나. 놀이로서의 미술 수업=57,68,4

다. 구체적 상황의 제시=60,71,3

2. 교육연극을 활용한 미술교육방법=62,73,2

가. 초등학교 미술교육에서의 교육연극의 적용=63,74,4

나. 미술과에서의 교육연극적 방법=66,77,10

IV. 교육연극을 활용한 초등미술지도의 실제=76,87,1

1. 수업 과정의 이해=76,87,10

2. 교육연극을 적용한 미술과 교수-학습방안=85,96,1

가. 움직임 활동을 적용한 미술과 교수-학습방안=85,96,15

나. 언어활동을 적용한 미술과 교수-학습방안=99,110,17

V. 결론 및 제언=116,127,4

참고문헌=120,131,10

ABSTRACT=130,141,4

표목차

(표 II-1) 드라마적 인지과정과 실재와 실제, 허구와 모방과의 관계=25,36,1

(표 II-2) 미술과 연극 그리고 교육연극을 적용한 미술교육=52,63,1

(표 III-1) 3학년 미술교과에서의 교육연극적 지도방법=68,79,1

(표 III-2) 4학년 미술교과에서의 교육연극적 지도방법=69,80,1

(표 III-3) 한 제재에 대한 다양한 교육연극적 지도방법 적용 예시=71,82,1

(표 III-4) 마임놀이 대본의 예시(장혜영, 2003:145)=74,85,1

(표 IV-1) 교육과정 해설서에 제시된 수업단계와 교수ㆍ학습 지도과정=77,88,1

(표 IV-2) 교육연극 수업 모형=78,89,1

(표 IV-3) 교육연극 수업모형을 적용한 미술과수업과정-1=79,90,1

(표 IV-4) 교육연극 수업모형을 적용한 미술과수업과정-2=80,91,2

(표 IV-5) 교육연극 수업모형을 적용한 미술과수업과정-3=81,92,2

(표 IV-6) 교육연극 수업모형을 적용한 미술과수업과정-4=83,94,1

(표 IV-7) 교육연극 수업모형을 적용한 미술과수업과정-5=84,95,1

(표 IV-8) 교수-학습 모형의 비교=85,96,1

(표 IV-9) '음악이나 소리를 듣고 선으로 표현하기' 수업지도안=90,101,4

(표 IV-10) '선을 이용하여 대상의 움직임 표현하기' 수업지도안=94,105,3

(표 IV-11) '기본형을 이용하여 대상의 움직임 표현하기' 수업지도안=97,108,3

(표 IV-12) '생활 속의 장면을 그린 작품 감상하고 표현하기' 수업지도안=103,114,4

(표 IV-13) 이중섭의 '아이를 주제로 한 작품 감상하기' 수업지도안=111,122,5

그림목차

(그림 IV-1) 구성VIII(유채, 442×640cm, 1923년)=92,103,1

(그림 IV-2) 개그림(드로잉, 영상, 가변크기, 2004년)=94,105,1

(그림 IV-3) 춤(유채, 260×390cm, 1910년)=97,108,1

(그림 IV-4) 계단을 내려오는 누드(유채, 89×149cm, 1912년)=97,108,1

(그림 IV-5) 야묘도추(수묵담채, 22.5×27.1cm, 조선시대)=105,116,1

(그림 IV-6) 라 그랑드 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유채, 205.7×305.8cm)=105,116,1

(그림 IV-7) 도원(종이에 유채, 65×76cm, 1954년경)=112,123,1

(그림 IV-8) 과수원의 가족과 아이들 I(종이에 잉크와 유채, 20.3×32.8cm)=112,123,1

(그림 IV-9) 물고기와 노는 세 아이(종이에 유채, 25×37cm, 1953년경)=112,123,1

(그림 IV-10) 아버지와 두 아들(종이에 유채, 30.5×41.5cm, 통영시절)=112,123,1

(그림 IV-11) 판잣집화실(종이에 수채, 26.8×20.2cm, 1954년경)=112,123,1

(그림 IV-12) 춤추는 가족2(종이에 유채, 22.7×30.4cm, 1951-1955년경)=112,123,1

(그림 IV-13) 해와 아이들(종이에 연필과 수채, 32.5×49cm, 1952-1953년경)=113,1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