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1장 서론 6

1. 문제제기 6

2. 이론적 논의 7

1) 문화의 세계화 7

2) 텔레비전 드라마의 국제적인 유통과 문화적 근접성 10

3) 수용자 연구 13

3. 기존 연구 검토 15

1) 트렌디 드라마의 국제적 수용에 대한 연구 15

2) 사극의 특징에 대한 기존 연구 17

3) [대장금]에 관한 연구 19

4. 연구 문제 및 연구 방법 21

2장 본론 25

1. 중국에서의 한류 현황 개괄 25

2. 중국 방송 환경과 [대장금]의 수용 30

1) VCD/DVD와 인터넷 다운로드 방식을 통해 시청 30

2) 호남성 방송국의 방송과 홍보 31

3. 중국 사극과 [대장금]의 비교 고찰 33

1) 중국 사극 개괄 33

(1) 중국 전통 사극 36

(2) 허구적 사극 39

2) 중국 사극과 [대장금]의 텍스트 비교 42

(1) 일반 서민의 이야기 45

(2) 인간관계의 특징 46

(3) 여성 영웅주의 48

(4) 새로운 남녀 관계의 구축 49

(5) 드라마 소재의 변화 50

4. 넷트 이지(net easy)와 소후(sohu)사이트 게시판 내용 분석 51

1) [대장금] 텍스트의 선호된 해독 51

(1) 전문성을 가진 여성 영웅에 대한 흥미 51

(2) 출연 배우에 대한 호감 56

(3) 권선징악과 헤피엔딩의 결말방식에 대한 선호 58

(4) 교훈적인 의미 발견 62

(5) 새로운 남녀 관계에 대한 호감 64

(6) 기술 제반의 매력 67

2) 맥락적 해독 : 친숙한 차이와 낯선 동질성의 매력 69

(1) 잘못된 역사 고증에 대한 지적 69

(2) 한국 여성상에 대한 새로운 인식 71

(3) 한국 전통 문화에 대한 관심 72

(4) 중국의 역사적 우월성에 대한 재인식 73

(5) 중국 제작진이나 중국 영화와 드라마 산업에 대한 조언 77

(6) 한국어 원어 선호 78

3장 결론 80

1. 분석 결과에 대한 논의 80

2. 연구의 함의 85

1) 이론적 함의 85

2) 현실적 함의 86

(1) 아시아 문화 교류에의 함의 86

(2) 상이한 정치체제간의 문화 교류에의 함의 87

3. 연구의 한계 87

참고 문헌 88

ABSTRACT 93

Abstract in Chinese 95

표목차

[표 1] 중국 드라마의 유형 41

[표 2] 사극의 유형 42

그림목차

[그림 1] 넷트 이지 [대장금] 게시판의 홈페이지 23

[그림 2] 소후 [대장금] 게시판 홈페이지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