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Abstract 10
I. 서론 13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3
B. 용어의 정의 17
(1)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ADHD) 17
(2) 감각처리능력(Sensory Integration) 17
(3) 감각통합(Sensory Integration) 17
(4) 단축감각프로파일(Short Sensory Profile-SSP) 18
II. 이론적 배경 19
A. 감각처리 19
(1) 감각처리의 개념 19
(2) 감각처리와 통합의 중요성 및 발달 20
(a) 출생전기(Prenatal period) 25
(b) 신생아기(Neonatal period) 25
(c) 생후6개월(First six months) 26
(d) 생후 6개월~1세까지(Second six months) 26
(e) 2세(Second year) 26
(f) 3세~7세까지(Third through seventh uears) 27
(3) 감각처리능력의 평가방법 27
B.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장애(ADHD) 30
(1)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장애(ADHD)의 정의 및 특성 30
(2)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장애(ADHD)의 감각처리능력 34
III. 연구방법 35
A. 연구대상 35
B. 측정도구 36
(1)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37
(a) SSP 단축프로파일 척도의 문항 분석 및 내용 타당도 37
(b) SSP 단축프로파일 척도의 구성 요인 분석 38
(c) 검사에 사용될 SSP 단축프로파일 척도의 문항 확정 및 내적 합치도 41
(d) 채점자간 신뢰도 43
C. 연구절차 44
D. 자료 분석 45
IV. 연구 결과 47
A. 일반아동과 ADHD아동의 감각처리능력 비교 47
B. 일반아동과 ADHD아동의 연령별 비교 48
(1) 일반아동의 연령별 비교 48
(2) ADHD아동의 연령별 비교 51
C. 일반아동과 ADHD아동의 성별 비교 53
(1) 일반아동의 성별 비교 53
(2) ADHD아동의 성별 비교 54
D. ADHD아동의 일반교육을 받은 기간에 따른 감각처리능력비교 55
E. ADHD아동의 약물치료경험 유무에 따른 감각처리능력비교 58
V. 논의 및 제언 60
참고문헌 65
부록 72
[부록 1] SSP 척도의 설명된 총분산(총 35문항) 73
[부록 2] 연구에 사용된 SSP 설문지 74
국문초록 80
[그림 1] 감각기관과 감각투입의 통합과 산출 24
[그림 2] SSP 단축프로파일 검사의 스크리 도표 39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