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문화재 보존과 활용을 통한 지역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부여지역을 중심으로 / 박판용 인기도
발행사항
대전 : 충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2
청구기호
TM 353.7 ㅂ352ㅁ
형태사항
iv, 125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0701232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충남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2007.2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8

제1절 연구의 목적 8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10

제2장 문화재 보존과 활용의 이해 12

제1절 문화재의 개념 및 분류 12

1. 문화재 개념의 확대 12

2. 문화재의 분류 및 보호구역 18

3. 문화재의 지정 및 해제 23

제2절 문화재의 보존과 활용 27

1. 보존과 활용의 개념 27

2. 보존과 활용의 방향 28

3. 문화재 보존의 영향요소 30

4. 문화재 활용의 과정 및 단계 36

제3절 지역발전과 문화재 보존 41

1. 지역개발과 문화재 41

2. 문화재 보존과 도시개발의 조화 44

3. 문화재와 지역관광 48

제4절 선행연구 검토 51

제5절 연구 분석의 틀 53

제3장 부여지역의 역사와 문화재 현황 56

제1절 역사속의 부여 56

1. 삼국시대의 부여 56

2. 통일신라·고려시대의 부여 57

3. 조선시대 이후의 부여 58

제2절 부여지역의 문화재 현황 61

1. 문화재 일반현황 61

2. 시대별·지역별 분포현황 62

제4장 문화재 보존과 활용의 관계요소 분석 66

제1절 문화재 보존의 영향요소 분석 66

1. 법률적 관계 66

2. 행정조직 역량 71

3. 보존관리 예산 74

4. 문화재의 가치 78

5. 시민 의식수준 84

제2절 문화재 활용의 단계별 분석 88

1. 활용의 원칙 88

2. 활용의 단계별 분석 89

3. 문화콘텐츠의 가치 94

4. 전통문화 특화사례 96

제5장 부여지역의 문제점 및 활성화 방안 98

제1절 부여지역의 문제점 98

1. 문화재 보존의 문제점 98

2. 문화재 활용의 문제점 101

제2절 부여지역 활성화 방안 102

1. 문화유산 전담부서(기구) 설치 102

2. 백제문화권 문화유산의 가치 제고 103

3. 다양한 관광자원의 개발 104

4. 의식 전환을 위한 지역주민 교육 104

5. 문화유산을 활용한 전통문화콘텐츠 개발 106

제6장 결론 107

참고문헌 110

〔부록 1〕 국가지정문화재의 지정기준 (제1조 관련) 114

〔부록 2〕 보호물 또는 보호구역의 지정기준 (제3조제1항 관련) 121

〔부록 3〕 부여지역의 지정문화재 목록 123

ABSTRACT 128

〈표 2-1〉 문화재 분류에 따른 정의 15

〈표 2-2〉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의 내용 17

〈표 2-3〉 문화재 지정권자별·유형별 분류 18

〈표 2-4〉 지정문화재 현황 (2006 .8. 30현재) 19

〈표 3-1〉 부여군의 연혁 60

〈표 3-2〉 부여지역 지정문화재 현황 (2006. 3. 31현재) 62

〈표 3-3〉 부여지역 문화재 시대별 분포현황 (2006. 3. 31현재) 63

〈표 3-4〉 부여지역 문화재 지역별 분포현황 (2006. 3. 31현재) 65

〈표 4-1〉 충청남도와 경상북도의 지정문화재 현황 비교 70

〈표 4-2〉 문화재청 문화재 보존관리 예산 추이 75

〈표 4-3〉 경주와 부여의 문화재 예산 현황 77

〈표 4-4〉 세계문화유산 등록기준 81

〈표 4-5〉 경주와 부여·공주의 지정문화재 현황 비교 83

〈그림 2-1〉 연구 분석의 틀 55

초록보기 더보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assive perspective that designation of cultural heritage violates the private ownership in to broader one. Cultural heritage can be a useful tool for revitalization of a local society.

Buyeo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is taken asa case study and analyzed by comparison with other cities in Korea. The following aspects are analyzed as impact elements related to heritage conservation; legal,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issues. In addition, heritage values and public awareness are also considered in this analysis. In terms of use and adaptation of cultural heritage, its process and procedures are also considered as impact elements. To establish and systemize the analysis,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are conducted together. In addition, related international conventions of UNESCO or other international organization as well as internet source are also provided for the conceptual background.

In the main body of the study,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cultural heritage are identified pursuant to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and 'definition of UNESCO Convention'. As cultural heritage policies have been evolved from the passive conservation approach to an active approach such as re-use and adaptation, new policy direction is explored according to the impact elements of heritage policy such as administrative, human resources, budgetary and legal aspects. Mainly the analysis is conducted by two points of view; one is comprehensive approach by a central government and the other is regional approach by local governments. Meanwhile, the procedure and the process for use of cultural heritage are discussed through introducing the adaptation principle, value of cultural contents and cases of commercialized traditional culture.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Buyeo, the historical background from Three Kingdom times to post-Joseon times are briefly introduced before going into the analysis. On the base of such analysis frame,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Buyeo area are explored and discussed.

In conclusion, the study offers the following suggestions in order to revitalize depressed situation in Buyeo area; establishment of local cultural heritage organization, reinforcement of value of Baekje cultural heritage, development of diverse cultural and tourism resources and promotion of public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form a conclusion that cultural heritage can provide a promising opportunity for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in a local community.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