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지방자치시대에 대응한 지역복지 전달체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한선희 인기도
발행사항
대전 : 충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2
청구기호
TM 352.14 ㅎ158ㅈ
형태사항
iii, 106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0701238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충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자치행정학, 2007.2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6

제1절 연구의 목적 6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9

1. 연구의 범위 9

2. 연구의 방법 9

제2장 지역복지전달체계에 관한 이론적 고찰 10

제1절 지방자치와 지역복지 10

1. 지방자치와 지역복지의 개념 10

2. 지역복지의 중요성과 특성 11

3. 지역복지서비스의 내용 13

4. 지방자치제와 지역복지의 관계 15

제2절 지역복지전달체계에 관한 일반론 16

1. 지역복지전달체계의 개념 및 중요성 16

2. 지역복지 전달체계의 원칙 19

3. 지역복지전달체계의 유형 21

4. 지역복지전달체계의 패러다임 변화 24

5. 외국의 지역복지전달체계 사례분석 26

제3절 민간부문의 지역복지 참여이론 30

1. 복지다원주의론(Welfare Pluralism) 30

2. 민관파트너쉽이론(Public-Private Partnership) 32

3. 거버넌스이론(governance) 34

제4절 선행연구의 검토 35

제5절 분석의 틀 37

제3장 지역복지전달체계 실태분석 39

제1절 지역복지전달체계의 변천과정 39

제2절 공공부문의 현황과 문제점 42

1. 조직적 측면 42

2. 인력적 측면 46

제3절 민간부문의 현황과 문제점 52

1. 조직적 측면 53

2. 인력적 측면 61

제4절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연계실태 64

1. 현황 및 문제점 64

2. 지역사회복지협의체 구성·운영 65

제5절 대전광역시 사례분석 : 복지만두레 67

1. 개념 및 도입배경 67

2. 조직구성 및 주민참여 71

3. 추진성과 및 시사점 77

제4장 지역복지전달체계의 개선방안 81

제1절 공공 지역복지전달체계 개선방안 81

1. 조직적 측면 81

2. 인력적 측면 86

제2절 민간 지역복지전달체계 개선방안 88

1. 조직적 측면 88

2. 인력적 측면 92

제3절 민관파트너쉽 강화를 통한 연계성 제고 94

1. 지역복지서비스 연계체계의 구축원칙 95

2.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연계방향 96

3.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활성화 100

제5장 결론 102

참고문헌 106

ABSTRACT 109

〈표2-1〉 실업률 및 빈곤동향(2004년) 17

〈표2-2〉 사회복지서비스 만족도(2004년) 18

〈표2-3〉 공공주도와 민간주도 지역복지 전달체계의 비교 24

〈표2-4〉 외국과 우리나라의 지역복지 전달주체 및 전달경로 비교 29

〈표2-5〉 민·관파트너십의 개념 32

〈표2-6〉 민·관 파트너쉽의 출현배경 33

〈표3-1〉 중앙부처별 동사무소 기능개편안 비교 41

〈표3-2〉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정원 및 1인당 담당 수급세대 수 49

〈표3-3〉 인구대비 복지분야 공무원수 비교 49

〈표3-4〉 일선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의 기존업무 및 신규추가업무 현황 50

〈표3-5〉 시·도별 사회복지관 분포현황(2005.12월) 53

〈표3-6〉 시 군 구단위 이용시설 분포현황(2003.6월) 54

〈표3-7〉 사회복지 생활시설 현황(2003년) 55

〈표3-8〉 복지공급자원 참여현황(04.12.30) 76

〈표3-9〉 복지만두레 보호대상자 현황(04.12.30) 77

〈표4-1〉 공공부문과 민간부문간의 복지욕구별 역할 분담 99

〈그림2-1〉 분석의 틀 38

〈그림3-1〉 우리나라 사회복지 전달체계 흐름도 43

〈그림3-2〉 지역사회복지협의체 기본모형 66

〈그림3-3〉 복지만두레 Net-work 망 72

〈그림3-4〉 복지만두레의 중첩(重疊)결연 예시 73

초록보기 더보기

The level of social welfare system in Korea has been significantly improved thanks to economic development; however, still not sufficient in terms of total volume of welfare resources and the efficiency of service delivery compared with that of welfare nations including other OECD countries.

No matter how well designed welfare policies are, they have very little use if they are not delivered effectively to end users. Delay or duplication of welfare service delivery by complicated and inefficient systems causes waste of welfare resources or even distrust about the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itself.

Due to the centralized decision making structure of the Korean government, all the important policy decisions have been made by the nation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have simply implemented those policies. However, because most welfare recipients are widely dispersed throughout the nation and demands for welfare services vary region by region that it is quite obvious that social welfare that does not include regional aspects has very little meaning.

There has been heated discussion on the social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in general during last 30 years and focus on those discussions mainly are inefficient service delivery mechanism and lack of specialization of the current welfare system. In addition in the advent of local autonomy there has been a demand for a regional welfare delivery system that accommodates regional demands by allowing the locals' participation in the service delivery process. Given the fact that it is hard to expect any dramatic increase of social welfare budgets, it is critical to establish an efficient regional welfare delivery system that fits region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implementation strategy at the local level to effectively provide locals with regional welfare services that match the demands as to keep abreast with the trend of localization and decentralization. To this end, reviewed the concept and meaning of regional welfare services that has recently gained increasing interest of people due to the changing welfare environments and welfare paradigm shift;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regional welfare delivery system as a key to the improvement of service quality through theoretical researches;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regional welfare delivery system in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s; and identified the difference with the system of other nations through comparative stud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research and analysis, I suggest practical measures to improve the current regional welfare delivery system; and as a model case at the local level, I analysed the "Bokji-mandurae" program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government, which is a citizen participatory private welfare network, to overcome the limit of theoretical analysis.

The suggestions made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improve the current regional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to be more easily accessible, efficient and responsible one are as follows:

First, local governments should be the in the center of regional welfare delivery system. Second, local governments and local residents should be the operators of the delivery system. Third, the delivery system should encourage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locals. Fourth, it is essential to secure expertise of social welfare workers who are in the forefront of the service in order to deliver the welfare service to local welfare recipients. Fifth, civil association such as a local social welfare association should be involved in the regional welfare service delivery process. In addition, a mechanism for public-private partnership should be built to effectively secure and utilize civil welfare resources such as welfare service volunteers.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