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2

II. 일제하의 조소예술과 김복진 17

1. 일제하의 조소예술과 작가 19

2. 일본 조소예술의 전개양상 22

3. 도쿄미술학교와 조각과 출신의 조선인 학생 25

4. 조선미전 조각부 출품의 조선인 작가 38

5. 김복진 제자들의 활동과 조선미전 41

6. 김복진의 조소 작품내역 48

III. 일반 조소작품 55

1. 김복진과 나부상 작품 56

2. 등단작품 (여인입상)의 의의 58

3. (나체습작)의 파괴 사건과 나부상들 63

4. 누드모델과 작품 71

5. 목조 여인상 (백화)의 의의 75

6. 노동자상과 민중미술론 83

7. 만년작 (소년)의 의의 88

8. 김복진의 조소론 95

IV. 기념조형물 104

1. 일제하 조형기념믈의 제작 현황 107

2. 김복진의 기념조형물 내역 118

3. 안창호의 데드마스크와 이국전 122

4. (최송설당동산)의 의의 125

5. 월리암스상과 러들로상 130

6. (다산 박영철상)과 (한양호상) 기타 132

7. 김복진의 기념조형론 136

V. 불상작품 140

1. 김복진의 불교입문과 불상조성 내역 141

2. 김제 금산사 미륵칠 본존상 150

가. 금산사와 미륵신앙과 증산교 157

나. 금산사 미륵전 본존상의 양식적 특징 163

3. 계룡산 소림원 미륵입상 168

4. 조선미전 출품작 (불상습작) 171

5. 예산 정혜사 관음전 관음보살좌상 175

6. 속리산 법주사 미륵대불 180

7. 김복진 불상예술의 특성 191

VI. 미술론과 미술비평 199

1. 김복진 미술른과 비평의 형식적 특징 200

가. 비평 태도 200

나. 비평언어와 형식의 문제 204

2. 신홍미술론과 광고미술론 210

가. 신흥미술론 211

나. 광고미술론 216

3. 전통론과 조선 향토색론 비판 221

가. 전통론 222

나. 조선 향토색론 비판 228

4. 민중미술론과 프롤레타리아 예술론 233

가. 민중미술론 233

나. 프롤레타리아 예술론 237

VII. 카프활동과 프롤레타리아 예술운동 247

1. 1920년대 사회주의 운동과 프롤레타리아 미술운동 249

2. 김복진의 사회주의 사상과 실천 258

가. 사회주의 사상의 입문 258

나. 조직활동과 옥중생활 261

3. 조선프로레타리아예술동맹의 결성과 전개 266

가. 토월회와 파스큘라 그리고 계급문예운동의 성립 267

나. 파스큘라와 염군사의 통합 274

다. 카프의 결성과 조직활동 277

라. 대외 활동과 조직개편 281

마. 카프의 도쿄지부와 제3전선파 288

4. 김기진과 박영희의 논쟁 그리고 김복진의 역할 293

가. 김기진의 비판과 박영희의 반격 293

나. 박영희의 전향선언과 김기진의 비판 300

5. 카프의 해체와 역사적 의의 304

가. 카프 활동의 저조 305

나. 카프의 해체 308

VIII. 결론 312

도판목록 315

참고문헌 321

김복진 연보 329

부록/ 치안유지법 위반 신문 조서 350

Abstract 407

[도판] 414

그림목차

1. 김복진 인물사진 414

2. 김복진과 허하백 부부의 가족사진(1939년) 414

3. 충북 청원 팔봉산 생가의 표석 414

4. 충북 청원 팔봉산의 김복진 무덤 414

5. 충북 청원 팔봉산 김복진 묘비 제막식(1995, 5) 414

6. 토월회 회원 기념사진(1922년경, 박승희, 이서구, 박승목, 김보진, 이제창, 김기진, 김을한, 송재삼) 415

7. 빈센조 라구사(Vincenzo Ragusa, (1841-1927), (일본부인(청원옥여상), 1878 동경예대자료관 소장 415

8. 김두일, (흉상습작), 1935, 조선미전 출품작 415

9. 문석오, (두상), 1935, 조선미전 출품작 415

10. 김경승, (소년입상), 1943, 조선미전 출품작 416

11. 윤승욱, (피리 부는 소녀), 1941, 조선미전 출품작 416

12. 윤효중, (아침), 1940, 조션미전 출품작 416

13. 윤효중, (현오), 1944, 조선미전 출품작 416

14. 조규봉, (두상), 1940, 조선미전 출품작 416

15. 건전대몽, (이승공동상), 1938, 일본 국회의사당 소장 417

16. 건전대몽, (흐름), 석고, 높이 92cm, 1911 동경국립근대미술관 소장 417

17. 조창문부, (대외후상), 1938, 일본 국회의사당 소장 417

18. 북촌서망, (판원백동상), 1938, 일본 국회의사당 소장 417

19. 구본웅, (머리습작), 1927, 조선미전 출품작 418

20. 현호철, (자작상), 1937, 조선미전 출품작 418

21. 장익달, (두상), 1937, 조선미전 출품작 418

22. 이국전, (P여사지상), 1937, 조선미전 출품작 418

23. 이국전과 그의 (청년두상) 1930년대 419

24. 이성화, (묵), 1937, 조선미전 출품작 419

25. 안영숙, (제복시대), 1937, 조선미전 출품작 419

26. 한재홍, (소년), 1937, 조선미전 출품작 419

27. 홍순경, (수욕), 1937, 조선미전 출품작 420

28. 좌중삼삼, (소녀 3인), 1937, 조선미전 출품작 420

29. 좌중삼삼, (자소상), 1940, 조선미전 출품작 420

30. 김복진, (여인입상), 1924, 일본 입선작 420

31. 김복진, (여인입상)의 측면 421

32. 로댕, (이브), 청동, 높이 174cm, 1880-81/1899, 421

33. 김복진의 졸업작품 제작 관련 신문기사, 조선일보, 1925, 2, 22 421

34. 김복진의 (소녀)관련 보도기사 422

35. 김복진의 (소녀)관련 보도기사 422

36. 김복진, (나체습작), 1925, 조선미전 출품작 422

37. (나체습작) 파괴 관련보도 기사 422

38. 김복진, (여), 1926, 조선미전 출품작 423

39. 김복진, (입녀상), 1926, 일본 제전 출품작 423

40. 김복진, (삼년전), 1922, 제4회(1925) 조선미전 출품작 423

41. 사전조지승, (뜨게질하는 여자), 1925, 조선미전 출품작 423

42. 전봉래, (머리카락(발)), 1925, 조선미전 출품작 424

43. 김복진, (나부), 1937, 조선미전 출품작 424

44. 김복진, (백화), 1938, 조선미전 출품작 424

45. 김복진, (백화), 1938, 일본 제전 출품작 424

46. (백화) 제작 당시의 신문기사, 조선일보, 1938, 4, 6 425

47. 김복진, (소년), 1940, 조선미전 출품작 425

48. 로댕, (청동시대), 청동, 높이 180.5cm, 1877 425

49. 김복진, (노인(원제; 수)), 1936, 조선미전 출품작 425

50. 조창문부, (김기중상), 시멘트, 1934, 중앙고보 건립 426

51. 윤효중, (암각우차흉상), 시멘트, 1941, 서울적십자병원 구독 426

52. (민영휘 동상), 1927, 휘문중학교 건립 426

53. (언더우드 동상), 1928, 연희전문학교 건립 426

54. 일제말 공출로 인한 (언더우드 동상) 파괴후 (흥아기념탑) 건립광경, 1942 427

55. 윤효중, (언더우드 동상), 1955, 연세대학교 건립 427

56. 조창문부, (묘수), 청동, 높이 180cm, 1910, 함동구립조창조형관 소장 427

57. 조창문부, (도원), 1910, 427

58. 조창문부, (시의 흐름), 1917, 합동구립조창조형관 소장 428

59. 북촌서망, (사범대), 청동, 높이 90cm, 1918, 제2회 제전 출품작 428

60. 김복진, (양정고보 교장 안종원), 1935, 조소 스케치 429

61. 김복진, (장사 서상천), 1935, 조소 스케치 429

62. 김복진, (음악가 현제명), 1935, 조소 스케치 429

63. 김복진, (연희전문 부교장 유억겸), 1935, 조소 스케치 429

64. 김복진, (소프라노 정훈모), 1935, 조소 스케치 429

65. 김복진, (여류명사 김활란), 1935, 조소 스케치 429

66. 김복진, (경성여고 교사 손정규), 1935, 조소 스케치 429

67. 김복진, (피아니스트 김원복), 1935, 조소 스케치 429

68. 이국전, (A색 수상), 1937, 조선미전 출품작 430

69. 안창호의 옥중 인물사진 430

70. 김복진, (최송설당동상), 1935, 김천중학교 건립 430

71. 최송설당의 인물사진 430

72. (최송설당동상) 제막식 기념사진, 1935, 11, 30 431

73. 윤효중, (최송설당동상), 1950, 김천중고교 건립 431

74. 김복진, (월리암스상), 1937, 조선미전 출품작 431

75. 김복진의 (월리암스상) 제막식 기념사진, 1937, 공주 영명상수학교 431

76. 한복차림의 러들로부부 432

77. 러들로의 인물사진 432

78. 김복진, (다산 박영철상), 1940, 조선미전 출품작 432

79. 박영철 인물사진 432

80. 내등신, (동향원수 초상), 청동, 1934 433

81. 경성여자상업학교 교주 한양호의 인물사진 433

82. 김영중, (한양호동상), 1968, 서울여자상업고등학교 건립 433

83. 고촌광운, (남목정성동상), 높이 14m, 1893, 동경 황궁전광장 소재 433

84. 윤효중, (백씨흉상), 청동, 높이 59cm, 개인소장 434

85. 윤효중, (아부 흉상) 관련기사, 매일신보, 1945, 4, 21 434

86. 김복진, (경주 석굴암 본존상), 스케치, 1925 434

87. 최우석, (불상), 1925, 조선미전 출품작 434

88. 고촌광태낭, (손), 1918 435

89. 고촌광태낭의 인물사진 435

90. 고촌광태낭, (광운옹상), 1911 435

91. 고촌광운, (늙은 원숭이(노원)), 목조, 1893, 동경국립박물관 소장 435

92. 고촌광운, (기예천), 목조, 1940,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436

93. 고촌광운, (자모관음상), 목조, 높이 35.1cm, 1933, 일본 대원사 소장 436

94. 고촌광운, (관음상 목형), 목조, 높이 203.5cm, 1892, 동경예대 소장 436

95. 고촌광운, (관음립상), 목조, 높이 110.5cm, 제작년도 미상, 동경예대 소장 436

96. 고촌광운, (성관음립상), 목조, 높이 46.8cm,1914, 일본 세존현대미술 관 소장 437

97. 고촌광운, (성관음상)(극채색), 목조, 높이 122cm, 1924, 개인소장 437

98. 고촌광운, (성관세음상), 목조, 높이 26.1cm, 1932, 개인소장 437

99. 김복진, (금산사 미륵전 본존상), 소조입상, 1936, 금산사 미륵전 봉안 437

100. (금산사 미륵전 삼존상)의 파괴 이전 17세기의 삼존상 438

101. 김복진, (금산사 미륵전 본존상)의 세부 438

102. 김복진, (금산사 미륵전 본존상)의 측면 438

103. 금산사 미륵전 본존상 제작중의 관련 보도사진 438

104. 김복진, (소림원 미륵입상), 석고, 1935, 높이 117cm, 계중산 소림원 소장 439

105. 김복진, (소림원 미륵입상), 청동, 1999 재제작,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439

106. 김복진, (불상습작), 1936, 조선미전 출품작, (소림원 불상으로 추정) 439

107. 경주 석굴암 참배시의 기념촬영, 김은호, 박광진, 김복진 등 440

108. 김복진, (예산 정혜사 관음전 관음보살좌상), 석고, 1939, 높이 105cm, 정혜사 소장 440

109. 보응, (정혜사 관음전 후불탱화), 1943, 정혜사 봉안 현존 441

110. 도판 109번의 화기 부분 441

111. 김진민, (관음전), 정혜사 관음전 현판, 현존 441

112. 속리산 법주사의 (미륵불상조성기념비), 1964, 법주사 현존 442

113. 김복진의 법주사 미륵대불 관련 신문기사, 동아일보, 1939, 3, 16 442

114. 김복진, (법주사 미륵대불), 시멘트, 높이 33m, 1940(미완성) 442

115. 법주사 미륵대불 앞에서의 추담 주지스님과 팔봉 김기진, 1960년대 442

116. 김복진이란 작가명이 기록된 법주사 미륵대불의 복장기 442

117. 김복진, (법주사 미륵대불), 1960년대 443

118. 현존 청동 미륵대불 조성 당시의 신구 교체 장면 443

119. 법주사 미륵대불의 청동 제작광경, 1990 443

120. 현존 (법주사 청동 미륵대불), 1990, 법주사 봉안 현존 443

121. (가산 김수곤거사 사리합), 1939, 전북 백양사 부도구역 현존 444

122. 도판 121번의 세부 444

123. 고희동, (여름의 시골), 채묵화, 1922, 조선미전 출품작 445

124. 나혜석, (천후궁), 유화, 1926, 조선미전 출품작 445

125. 이용우, (흙의 향기), 채묵화, 1926, 제4회 조선미전 출품작 445

126. 김복진, [문예운동] 표지구성, 1926 446

127. 김복진의 옥중 인물사진1930 446

128. 김복진의 공판 관련 문서 4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