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사회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농촌관광개발의 주민참여에 관한 연구 / 홍종규 인기도
발행사항
수원 :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7.2
청구기호
TM 338.4791 ㅎ256ㅅ
형태사항
vi, 88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0725732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기대학교 대학원, 여가관광개발학, 2007.2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10

제1장 서론 12

제1절 문제 제기 12

제2절 연구 목적 14

제3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5

1. 연구 범위 15

2. 연구 방법 15

제2장 이론적 배경 17

제1절 사회연결망 이론의 개념 및 분석 17

1. 복잡계 이론의 논의 17

2. 사회 연결망 이론의 배경 25

3. 사회 연결망 분석 개념 26

4. 사회 연결망에 관한 연구 30

제2절 농촌관광개발의 이해관계 33

1. 이해관계 개념과 유형 33

2. 이해관계 분석 36

3. 관광개발의 이해관계자에 관한 연구 39

제3절 농촌관광개발의 갈등과 주민참여 41

1. 갈등관계 개념과 유형 41

2. 지역주민 참여 개념과 계량화 42

제3장 연구방법 설계 44

제1절 조사대상지 44

제2절 조사 설계 및 분석방법 45

1. 설문지 구성과 측정척도 45

2. 자료 수집 49

3. 분석 방법 50

제4장 결과 및 고찰 52

제1절 표본의 일반적 특성 52

제2절 관광영향의 인식 53

1. A마을 주민의 관광영향 인식 53

2. B마을 주민의 관광영향 인식 59

3. 관광영향 분석 결과 종합 64

제3절 이해관계 분석 66

1. A마을의 이해관계 분석 66

2. B마을의 이해관계 분석 69

3. 이해관계 분석 결과 종합 72

제4절 사회적 관계 분석 74

1. A마을의 의사결정 중앙성 분석 74

2. B마을의 의사결정 중앙성 분석 77

3. 의사결정 중앙성 분석 결과 종합 80

제5절 사회적 관계와 참여 81

1. A마을의 사회적 관계와 참여 영향 81

2. B마을의 사회적 관계와 참여 영향 83

3. 사회적 관계와 참여 영향 결과 종합 85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86

참고문헌 89

부록 : 설문지 : 농촌관광사업 참여에 관한 연구 92

Abstract 97

〈표 2-1〉 사회 연결망 선행 연구 30

〈표 2-2〉 1차적 이해관계자와 2차적 이해관계자의 비교 35

〈표 2-3〉 관광개발 관련 이해관계자의 유형 36

〈표 2-4〉 관광개발과정에서의 이해관계자 협력과정 38

〈표 3-1〉 설문항목 구성내용 47

〈표 3-2〉 설문조사 일정 49

〈표 4-1〉 표본의 일반적 특성 52

〈표 4-2〉 A마을의 농촌관광사업 참여 현황 54

〈표 4-3〉 A마을의 경제적 영향요인에 따른 관광영향 인식 55

〈표 4-4〉 A마을의 사회·문화적 영향요인에 따른 관광영향 인식 57

〈표 4-5〉 A마을의 환경적 영향요인에 따른 관광영향 인식 59

〈표 4-6〉 B마을 농촌관광사업 참여 현황 59

〈표 4-7〉 B마을의 경제적 영향요인에 따른 관광영향 인식 61

〈표 4-8〉 B마을의 사회·문화적 영향요인에 따른 관광영향 인식 62

〈표 4-9〉 B마을의 환경적 영향요인에 따른 관광영향 인식 64

〈표 4-10〉 관광영향 인식 비교 64

〈표 4-11〉 이해관계 분석 결과 비교 73

〈표 4-12〉 A마을의 연결정도 중앙성 75

〈표 4-13〉 A마을의 연결정도 중앙성 값 76

〈표 4-14〉 B마을의 연결정도 중앙성 78

〈표 4-15〉 B마을의 연결정도 중앙성 값 79

〈표 4-16〉 의사결정 분석 결과 비교 80

〈표 4-17〉 A마을의 위치적 변수 및 참여도 81

〈표 4-18〉 A마을의 위치적 변수와 참여의 상관관계 83

〈표 4-19〉 B마을의 위치적 변수 및 참여도 83

〈표 4-20〉 B마을의 위치적 변수와 참여의 상관관계 84

〈표 4-21〉 사회적 관계와 참여 영향 결과 비교 85

〈그림 2-1〉 구텐베르크-리히터의 법칙 19

〈그림 2-2〉 거듭제곱법칙 20

〈그림 2-3〉 단어 빈도 분포 21

〈그림 2-4〉 1995년 한국과 2000년 일본의 도시 분포 21

〈그림 2-5〉 한국 성 및 지역에 따른 성의 분포 22

〈그림 2-6〉 수입에 따른 미국 기업의 크기 분포 23

〈그림 2-7〉 복잡계에서 축척 증가에 따른 복잡성의 감소와 창발 24

〈그림 2-8〉 관광개발에서 이해집단 구성도 35

〈그림 3-1〉 NGQ의 기본형태 46

〈그림 3-2〉 행렬 유형 50

〈그림 3-3〉 행렬 처리 과정 51

〈그림 4-1〉 A마을의 경제적 영향요인에 따른 관광영향 인식 54

〈그템 4-2〉 A마을의 사회·문화적 영향요인에 따른 관광영향 인식 56

〈그림 4-3〉 A마을의 환경적 영향요인에 따른 관광영향 인식 58

〈그림 4-4〉 B마을의 경제적 영향요인에 따른 관광영향 인식 60

〈그림 4-5〉 B마을의 사회·문화적 영향요인에 따른 관광영향 인식 61

〈그림 4-6〉 B마을의 환경적 영향요인에 따른 관광영향 인식 63

〈그림 4-7〉 A마을의 갈등요인에 관한 구조적 등위성 66

〈그림 4-8〉 A마을의 구조적 등위성에 따른 이해관계 67

〈그림 4-9〉 B마을의 갈등요인에 관한 구조적 등위성 69

〈그림 4-10〉 B마을의 구조적 등위성에 따른 이해관계 70

〈그림 4-11〉 A마을의 연결정도 중앙성 분석 74

〈그림 4-12〉 B마을의 연결정도 중앙성 분석 77

초록보기 더보기

농가 소득의 하락, 젊은 세대의 외부지역 유출로 인해 농촌지역의 여건은 악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관광을 도입하여 지역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많은 곳에서 농촌관광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관광개발로 인해 농촌지역에 미치는 영향이 긍정적이며, 성공적인 개발이 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확답을 할 수 없다. 농촌관광은 아직 초기 단계이고, 개발상에 존재하는 많은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추진했다기보다는 사업의 성과와 확장에 급급하여 추진하면서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개인의 개별적 속성 차원에서 연구되던 것을 관계적 속성으로 보는 사회적 연결망을 적용하여 지역주민 간의 이해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농촌관광개발에서 주민의 참여는 자율적인 참여를 통해 추진되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지역주민간의 이해관계 차이로 인해 마을 내부에서 다양한 갈등을 겪고 있다. 농촌관광사업의 성공요인 중에 중요한 부분은 주민참여 문제로 농촌관광 마을내부에서도 서로간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조직체에 참여가 활발하며, 상호신뢰를 가지고 주민들간의 활동이 활발할 때 성공가능성은 높아진다. 농촌지역 관광개발에 있어 농촌관광개발사업에 따른 이해관계를 분석하면 거시적인 측면에서 성공적인 관광개발의 문제를 관광개발에 따른 마을의 구조를 분석하여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해관계자의 구조를 확실하게 나타낸다면 그 지역사회의 이해관계에 대한 사회, 문화적 상황을 파악하게 되고, 참여와 성공적인 개발을 이끌어 가는 방향에 대해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지는 경기도의 농산어촌체험관광마을 35곳 중에서 농촌관광마을사업이 2003년 지정되어 4년차에 접어든 경기도의 마을 2곳을 연구의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A마을은 2003년 녹색농촌체험마을로 지정되었고, 행정자치부의 정보화마을, 경기도의 슬로우푸드사업 지정마을이기도 하며, 농림부의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대상지역으로 선정되어 있다. 마을의 가구수는 28세대이며, 총 74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B마을은 2003년 농촌전통테마마을로 지정되었고 행정자치부의 정보화마을로 지정되어 있다. 마을의 가구수는 45세대이며, 총 143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2.0, NetminerⅡ 2.6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표본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빈도분석, 관광영향 분석을 위한 다차원척도법(MDS), 이해관계는 구조적 등위성 분석, 의사결정 중앙성 분석과 참여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관광영향 인식에 관한 연구결과는 분석 대상인 두 마을 모두 대부분의 주민들이 긍정적인 영향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경제적 효과에서 별다른 효과를 느끼지 못한다고 대답한 주민들이 있었으며, 차량이 늘어나고 사람들이 많이 찾아와서 소음이 증가했다고 부정적으로 보는 주민들 또한 있었다. 이렇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인식하거나 부정적으로 인식한 주민들은 마을사업에 참여하지 않는 집단으로 농촌관광사업으로 인해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농촌관광마을사업으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이해관계에 대한 연구결과는 마을의 사업운영으로 얻게 된 이익의 분배에 있어 마을 공동체로 운영하는 과정에서 많은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갈등을 겪고 있었다. 농촌관광을 통하여 발생한 이익을 어떻게 분배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로 사업에 열정적으로 참여하고도 똑같은 분배로 참여의 범위 및 노력의 투자에 따른 분배가 되지 않아서 일어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고, 지도자 및 일부 사람들에게 이익이 집중되는 경향으로 참여에 대한 방법 및 적절성에 대해 문제가 되고 있었다.

셋째, 농촌마을의 사회적 관계에 따른 연결망과 연결망에서 구조적 위치가 참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결과는 A마을의 중앙성 분석 결과는 이장이 중앙에 위치하여 있으며, 총무와 노인회장, 부녀회장이 높은 중앙성을 보여 전체적인 연결망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B마을은 가장 높은 중앙성은 역시 이장이 차지하고 있지만 위원장과 마을사무장과의 관계가 형식적인 관계로 이장과의 연결 고리를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고받지 못해 지도자간 연결망에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치적 요소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연결의 유효 크기만이 연결이 많을수록 참여도가 높게 나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마을의 연결망 구성이 잘 되어 있는 A마을이 주민의 참여 및 사업이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관광영향 인식 또한 긍정적인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마을의 원활한 연결망 구성을 통해 협력적인 관계를 만들 수 있음을 나타내어 준다.

하지만 마을의 외부적인 영향요인에 대한 고려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향후 마을의 내구적인 관계와 더불어 외부적인 영향요인 고려를 통한 마을의 비교분석 연구가 요구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