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8

I. 서론 10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0

2. 연구 문제 13

3. 용어의 정의 13

가. 스크립트를 활용한 일정관리 프로그램 13

나. 수업 방해행동 14

1) 자리를 이탈하는 수업 방해행동 14

2) 과제를 이행하지 않는 수업 방해행동 14

3) 소음을 만드는 수업 방해행동 14

4. 연구의 제한점 15

II. 이론적 배경 17

1. 스크립트를 활용한 일정관리 프로그램의 특성 17

가. 일정관리 프로그램 17

나. 스크립트 이론 21

다. 스크립트를 활용한 일정관리 프로그램 22

2. 자폐아동의 문제행동 특성과 중재방법 24

가. 자폐아동의 문제행동 특성 24

나. 자리를 이탈하는 방해행동에 관한 연구 26

다. 과제를 이행하지 않는 방해행동에 관한 연구 29

라. 소음을 만드는 방해행동에 관한 연구 31

마. 자폐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시각적 지원의 중재방법 32

3. 자폐아동의 수업 방해행동과 일정관리 프로그램 34

III. 연구 방법 39

1. 연구 대상 39

가. 연구 대상 아동 선정 기준 39

나. 연구 대상 아동의 특성 40

2. 연구 도구 40

가. 스크립트를 활용한 일정관리 프로그램 40

나. 비디오 녹화 43

다. 행동 발생 기록지 44

3. 실험 설계 45

4. 실험 장소 및 절차 46

가. 실험 장소 46

나. 실험 기간 46

다. 실험 절차 46

1) 예비관찰 46

2) 표적행동의 설정 49

3) 기초선 49

4) 중재 50

5) 유지 52

5. 표적행동의 관찰 및 측정 53

가. 관찰 및 자료수집 방법 53

나. 관찰자간 신뢰도 53

6. 자료처리 54

IV. 결과 및 논의 56

1. 결과 56

가. 연구 대상 아동의 자리 이탈 행동 발생률 비교 56

1) 연구 대상 아동의 방해행동 발생률의 변화 56

2) 각 아동별 방해행동의 관찰 59

나. 연구 대상 아동의 과제를 이행하지 않는 행동 발생률 비교 62

1) 연구 대상 아동의 방해행동 발생률의 변화 62

2) 아동별 방해행동의 관찰 65

다. 연구 대상 아동의 소음을 만드는 행동 발생률 비교 66

1) 연구 대상 아동의 방해행동 발생률의 변화 66

2) 아동별 방해행동의 관찰 70

2. 논의 72

V. 결론 및 제언 78

1. 결론 78

2. 제언 80

참고문헌 82

Abstract 89

부록 91

[부록 1] 기능평가 면접지 92

[부록 2] ABC 행동관찰 기록표 95

[부록 3] 스크립트를 활용한 일정관리 프로그램 96

[부록 4] 행동발생 기록지 97

[부록 5] 기초선, 중재, 일반화, 유지 기간의 아동별 행동발생률(%) 98

[부록 6] 일화기록표 99

표목차

[표 IIㆍ1] 시각적 단서 사용 교수의 근거 33

[표 IIIㆍ2] 연구 대상 아동의 특성 41

[표 IIIㆍ3] 방해행동의 조작적 정의 42

[표 IIIㆍ4] 일정관리 프로그램의 구성 내용 44

[표 IIIㆍ5] 기능평가에 따른 연구 대상의 아동별 행동기능 47

[표 IIIㆍ6] 관찰자간 신뢰도의 평균과 범위(%) 54

[표 IVㆍ7] 자리 이탈 행동의 발생률의 평균과 범위(%) 56

[표 IVㆍ8] 각 아동별 자리를 이탈하는 방해행동의 변화 60

[표 IVㆍ9] 과제를 이행하지 않는 행동의 발생률의 평균과 범위(%) 62

[표 IVㆍ10] 각 아동별 과제를 수행하지 않는 방해행동의 변화 66

[표 IVㆍ11] 소음을 만드는 행동의 발생률의 평균과 범위(%) 67

[표 IVㆍ12] 각 아동별 소음을 만드는 방해행동의 변화 71

그림목차

[그림 IVㆍ1] 자리를 이탈하는 방해행동 발생률의 변화 57

[그림 IVㆍ2] 과제를 이행하지 않는 방해행동 발생률의 변화 63

[그림 IVㆍ3] 소음을 만드는 방해행동 발생률의 변화 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