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자연적 산광(Diffuse Radiation)을 활용한 도심공원 편의시설 계획에 관한 연구 / 박지현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07.8
청구기호
TM 711.5 ㅂ327ㅈ
형태사항
[xii], 112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0759023
주기사항
책등표제: 자연적 산광을 활용한 도심공원 편의시설 계획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석사) --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실내설계, 2007.8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8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8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9

제2장 빛과 산광에 관한 이론적 고찰 23

2-1. 빛에 의한 공간의 해석 23

2-1-1. 실내공간에서의 빛의 역할 23

(1) 공간의 성격 결정 23

(2) 영역성 형성 23

(3) 유동성 부여 24

2-1-2. 빛의 건축적 구성 요소 24

(1) 빛과 그림자 24

(2) 투과와 여과 25

(3)/(2) 응집과 배분 26

2-1-3. 빛의 연출에 의한 공간 인식의 특성 27

(1) 투명성 27

(2) 인지성 28

(3) 방향성 29

(4) 상징성 30

(5) 위계성 31

(6) 시간성 32

(7) 환영성 32

(8) 장식성 33

2-2. 산광(散光)의 변화요소에 대한 고찰 34

2-2-1. Diffuse Radiation(散光)의 이론적 고찰 34

2-2-2. Diffuse Radiation(散光)의 종류에 의한 효과 36

(1) 투과 재료에 의한 여과의 빛 36

(2) 촉매적 역할의 반사광 38

2-2-3. Diffuse Radiation(散光)의 재료에 의한 효과 41

(1) 빛과 재료의 결합에 따른 공간의 인상 41

(2) 색채에 의한 형태와 공간의 다양한 경험 43

제3장 산광의 공간 적용 사례 분석 46

3-1. 순수 예술에서의 전개 46

3-1-1. 인상주의의 색채 발견 46

(1) Impressionism 46

(2) Claude Monet 47

3-1-2. Light Art에서의 응용 49

(1) Light Art의 등장 49

(2) Light and Space Art 50

3-2/3-3. 현대 공간 사례의 유형별 분석 54

(1) Type 1. Shiny Material 54

(2) Type 2. Purification Of Air 55

(3) Type 3. Winter Shadow 56

(4) Type 4. Watery Motion 57

(5) Type 5. Painted Space 58

(6) Type 6. Color Chink 59

(7) Type 7. Matched Color 60

(8) Type 8. Printing Of Light 61

(9) Living Ornamentation 62

(10) Optical Quilt 63

제4장 도심공원 편의시설 디자인 전개 65

4-1. 디자인을 위한 대상지 분석 65

4-1-1. 도시 공원 문화 65

(1) 도시 공원의 개념 및 현황 65

(2) 도시 공원 문화에 관한 국내?외 사례 67

4-1-2. 대상지 환경 분석 68

(1) 위치 및 대상지 개요 68

(2) 지리적 환경 분석 69

(3) 여의도 공원 실태 조사 73

(4) 대상공간의 구성 및 동선 문제제기 82

4-2. Space Programming 85

4-1-1. 디자인 어휘의 적용단계 85

4-2-2. 공간 계획 요소의 전개 88

(1) Motive Study 88

(2) 배치, 진입계획 91

(3) 공간 이용 계획 92

(4)/(3) 이용자 행태별 동선 계획 95

(5)/(4) Mass Study 96

4-2-3. 세부 공간 계획안 98

(1) B1F Floor Plan 98

(2) 1F Floor Plan 99

(3) 2F Floor Plan 100

(4) 수변 휴게 공간 101

(6) 2F CAFETERIA 110

(7) B1F LOUNGE 113

(8) 주·야간 조명 디자인의 활용 114

제5장 결론 118

참고문헌 121

ABSTRACT 125

감사의 글 129

〈표 2-1〉 산광의 분류 35

〈표 2-2〉 투과재료에 의한 여과의 빛 36

〈표 2-3〉 재료별 연출효과-1 37

〈표 2-4〉 재료별 연출효과-2 38

〈표 2-5〉 촉매적 역할의 반사광 40

〈표 2-6〉 빛과 재료의 결합에 따른 공간의 인상 42

〈표 2-7〉 색채에 의한 형태와 공간의 다양한 경험인상 44

〈표 3-1〉 인상주의의 표현 47

〈표 3-2〉 Claude Monet의 표현 대상 48

〈표 3-3〉 Light and Space Art에서의 빛과 공간 51

〈표 3-4〉 Light and Space Art의 표현 특성 및 건축공간으로의 확장 52

〈표 3-5〉 Type 1. Shiny Material 54

〈표 3-6〉 Type 2. Purification Of Air 55

〈표 3-7〉 Type 3. Winter Shadowf Air 56

〈표 3-8〉 Type 4. Watery Motion Air 57

〈표 3-9〉 Type 5. Painted Spaceir 58

〈표 3-10〉 Type 6. Color Chink 59

〈표 3-11〉 Type 7. Matched Color 60

〈표 3-12〉 Type 8. Printing Of Light 61

〈표 3-13〉 Type 9. Living Ornamentation 62

〈표 3-14〉 Type 10. Optical Quilt 63

〈표 4-1〉 도시공원문화의 사례 67

〈표 4-2〉 재건축에 따른 인구변화 예측 71

〈표 4-3〉 서울시 주요 도시공원 현황 79

〈표 4-4〉 여의도 공원 이용자 속성 분석 80

〈표 4-5〉 공간 구성 요소 84

〈표 4-6〉 디자인 어휘의 공간 적용 방안-1 85

〈표 4-7〉 디자인 어휘의 공간 적용 방안-2 86

〈표 4-8〉 디자인 어휘의 공간 적용 방안-3 87

〈그림 1-1〉 논문 진행 과정 21

〈그림 2-1〉 Penetration 25

〈그림 2-2〉 Filtraion 25

〈그림 2-3〉 안도다다오/ 빛의 교회 30

〈그림 2-4〉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 Unity 교회 31

〈그림 2-5〉 Heidi House/ Tokyo 33

〈그림 3-1〉 Monet 와 Courbet의 비교 48

〈그림 4-1〉 여의도 공원 및 대상지 전경 68

〈그림 4-2〉 여의도 1차 마스터플랜 69

〈그림 4-3〉 토지이용현황 71

〈그림 4-4〉 공원녹지현황 및 가로환경현황 72

〈그림 4-5〉 여의도 공원 배치도 74

〈그림 4-6〉 자연 생태의 숲 75

〈그림 4-7〉 문화의 마당 76

〈그림 4-8〉 잔디마당 76

〈그림 4-9〉 한국전통의 숲 77

〈그림 4-10〉 대상지 현황 78

〈그림 4-11〉 대상공간 현황 및 배치 82

〈그림 4-12〉 필요 공간 도출 84

〈그림 4-13〉 Grainstacks at the End of the Summer, Evenig Effect 88

〈그림 4-14〉 MOTIVE 전개과정 89

〈그림 4-15〉 Block Study 90

〈그림 4-16〉 대지주변 주요 동선 91

〈그림 4-17〉 지상층 진입계획 91

〈그림 4-18〉 지하층 진입계획 91

〈그림 4-19〉 B1F Zoning 92

〈그림 4-20〉 1F Zoning 92

〈그림 4-21〉 2F Zoning 93

〈그림 4-22〉 Mass Image 94

〈그림 4-23〉 공간 구획 94

〈그림 4-24/그림 4-25〉 이용자별 동선계획 95

〈그림 4-25/그림 4-26〉 Mass Study-1 96

〈그림 4-26/그림 4-27〉 Mass Study-2 97

〈그림 4-27/그림 4-28〉 B1F Floor Plan 98

〈그림 4-28/그림 4-29〉 1F Floor Plan 99

〈그림 4-29/그림 4-30〉 2F Floor Plan 100

〈그림 4-30/그림 4-31〉 수변 휴게 공간의 배치 101

〈그림 4-31/그림 4-32〉 수변휴게공간 - Design Motive 101

〈그림 4-32/그림 4-33〉 수변휴게공간 - 디자인 어휘 적용-1 101

〈그림 4-33/그림 4-35〉 수변휴게공간 - 디자인 어휘 적용-2 102

〈그림 4-34/그림 4-40〉 수변휴게공간-Image Collage 103

〈그림 4-35/그림 4-41〉 수변휴게공간 1F Design 104

〈그림 4-36/그림 4-42〉 수변휴게공간 2F Design 105

〈그림 4-37/그림 4-43〉 1F Store 배치 106

〈그림 4-38/그림 4-44〉 1F STORE - Design Motive 106

〈그림 4-39/그림 4-45〉 1F STORE - 디자인 어휘 적용 107

〈그림 4-40/그림 4-47〉 1F STORE - Image Collage 108

〈그림 4-41/그림 4-48〉 1F STORE Design 109

〈그림 4-42/그림 4-49〉 2F Cafeteria 배치 110

〈그림 4-43/그림 4-50〉 2F CAFE - Design Motive 110

〈그림 4-44/그림 4-51〉 2F CAFE - 디자인 어휘 적용 110

〈그림 4-45/그림 4-53〉 2F CAFE - Image Collage 111

〈그림 4-46/그림 4-54〉 2F CAFE Design 112

〈그림 4-47/그림 4-55〉 B1F LOUNGE Design 113

〈그림 4-48/그림 4-56〉 주·야간 조명의 활용-1 114

〈그림 4-49/그림 4-57〉 주·야간 조명의 활용-2 115

〈그림 4-50/그림 4-58〉 주·야간 조명의 활용-3 115

〈그림 4-51/그림 4-59〉 주·야간 조명의 활용-4 116

초록보기 더보기

건축공간에서 다루어야 할 빛이란 정량적인 대상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닌 본질적이고 주도적인 주제의 하나로서 존재한다. 건축은 형태와 형태로 인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존재하고, 이러한 형태와 공간은 빛에 의해 보여 지며 그 성격이 결정 된다.

근대 건축에 이르기까지 빛은 예술 및 종교와 공간을 한 데 어우러지게 하는 중요한 요소였고 이후 철과 유리를 통해 투명성과 균질성을 획득함으로써 빛은 삶과 직접적인 관련성을 가지게 되었다. 하지만 현대 건축에서는 인공조명이 현저히 발달함으로 인해 건축 공간 내에서 자연채광의 존재가치를 등한시 하게 된 것이 사실이다.

빛은 비물질적인 실체로서 그 현상을 공간 내에 드러낼 때 빛을 받는 소재와 형태 및 기타 제반 조건들과 연계되어 새로운 시각적 이미지를 창출하며, 시각적 효과 및 인간의 감흥을 부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빛은 사람들에게 공간의 인상을 느끼게 하여 인간의 감정을 유발시키며 행동에도 영향을 미치게 할 수 있다. 빛은 사람들의 행동이 일어나는 공간에 인상을 부여함으로 공간의 연출요소로서도 유용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간을 활성화하고 무한한 공간의 가능성과 인상을 줄 수 있다는 빛의 잠재력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바탕으로 단순한 빛의 유입의 목적을 넘어 자연광을 인위적으로 연출하여 간접적으로 유입되는 “산광(Diffuse Radiation)"을 디자인 요소로 활용하는 방안을 조사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 내용을 활용하여 도심공원 내 공공 공간을 디자인 하는데 있어 건축적 요소를 산광을 통해 장식화 함으로써 유동성 있는 빛의 공간으로 보다 더 환경적이고 감성적인 체험공간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과 그 세부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먼저 일반적으로 공간으로 유입되는 빛의 역할과 건축적 구성요소에 대하여 알아보고 빛의 연출에 의한 공간 인식의 특징을 8가지로 분류하여 고찰해보았다. 또한 “산광”에 대한 기본 정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연구되어질 산광의 범위를 공간 내에 유입되어 실내 마감재와 마찰, 반사하여 확산하는 빛과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투과되는 재료에 의해 발산하는 빛으로 한정하여 정의하였다. 그에 따라 산광의 변화요소를 산광의 종류에 의한 효과 및 재료에 의한 효과로 분류하여 사례들을 조사·분석하고자 하였다.

제3장에서는 순수예술 중에서 순간적 빛의 변화를 포착하여 대기에 산란, 물체에 반사되어져 시각에 포착되는 빛과 색채를 묘사하였던 인상주의와 모네의 그림에서의 빛의 전개와 새로운 소재 사용 및 자연과 인공의 빛의 효과를 살려 시각적 이미지를 창조하였던 Light art, 더 나아가 공간적 설치 미술로 발전하였던 Light and Space art에서의 빛의 의미와 표현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2장에서부터의 분류한 내용 및 사례들을 바탕으로 재분류, 분석하여 10가지의 디자인 어휘들을 추출할 수 있었으며 각 어휘들은 다음과 같다.

1. Shiny Material : 재료적 물성과 반사가 관계되어 입체감 및 시각적 물성을 강조

2. Purification Of Air : 주로 구조체 및 중정에 반사되어 들어오는 간접 채광

3. Winter Shadow : 반투명한 재료를 통한 균일한 확산광

4. Watery Motion : 물결의 파장 등으로 인한 재질의 유동적인 움직임

5. Painted Space : 투과재료를 통한 공간 내 색의 확산

6. Color Chink : 구조체 틈이나 깊은 창으로 새어들어오는 색을 가진 빛

7. Matched Color : 다양한 배합의 색유리를 투과하는 빛의 조합

8. Printing of Light : 벽체의 패턴 사이로 발산하는 빛의 패턴

9. Living Ornamentation : 장식적 요소들과 빛의 조화에 의한 환영적 효과

10. Optical Quilt : 자연광과 인공광의 조화를 통한 장식적 효과

제4장에서는 디자인 적용 대상인 도심공원 편의시설의 계획을 위해 전반적인 도시공원 문화에 대한 경향 및 대상지인 여의도 공원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 편의시설의 필요성을 분석하고 필요 공간의 구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3장에서 추출하였던 디자인 어휘들의 공간에 대한 적용방안을 연구하여 그 결과를 각 세부공간의 디자인 프로세스 단계에 도입하여서 진행하고자 하였다.

빛은 자신의 비물질성 만큼이나 건축에 사용되는 구성요소들을 비물질화시켜 그 요소들의 의미를 측정 불가능한 감각적 이미지로 전환시킨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비물질적인 요소인 빛을 공간 연출 요소로서 활용함으로서 새로운 시각적 이미지를 창출하고 색, 재료 시간, 현상으로 인한 변화를 통해 표현되어질 수 있는 공간의 다양성에 대해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는 채광이라는 1차적 목표 외에도 공간에 미적 아름다움과 함께 사용자에게 심리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공간 분위기 조성을 위한 디자인 요소로서 “산광”이라는 자연광으로 인한 효과를 활용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또한 최근 친환경적이고 감성적인 디자인경향에 비추어 볼 때 공공시설을 계획함에 있어서 효율적이고 감각적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